View : 621 Download: 0

암환자의 포괄적 건강관리 요구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Title
암환자의 포괄적 건강관리 요구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comprehensive healthcare needs of cancer patient and the quality of life
Authors
백형원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
Abstract
The survey aim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comprehensive needs for cancer patient and the quality of life and examin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 in the society that belongs to patients and their family and provide the ba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ncer patient’s life. To attain these goals, it surveyed 100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or treated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Research tools consist of general property, a comprehensive level of requirement, and the quality of life. These are the results. 1. In the level of requir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property of study subjec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service requirement at age. (F=3.50,p=0.034) 2. In the level of requirement according to property for diseas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service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cancer (F=3.87, p=0.006), spiritual requirement (F=3.29, p=0.014), requirement for information on inheritance (t=0.74, p=0.037), requirement for physical symptom on the type of medical treatment (F=2.22, p=0.047), and service requirement (F=2.31, p=0.040). 3.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operty for disease of study subject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hole of the quality of life on the procedure of cancer (F=2.14, p=0.004) and a functional peace in the society at the subordinate position. (F=4.87, p=0.001) 4. In the relation between comprehensive degree of requirement for a cancer patient and the quality of life, there is a significantly inverse proportion between physical degree of requirement for a cancer patient & the quality of life (r=-.353, p=<0.05), and psychological degree of requirement & the quality of life (r=-0.421, p<0.05). 5. At the end, regression model is analyze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followed by 19% that accou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gree of requirement 6. Of the factor propert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the psychological requirement and physical requirement was a fluent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it supposed to be higher the psychological requirement and physical requirement, lower the quality of life. (β=--0.268, p<0.05. β-0.232, p<0.01 ) At the result of the survey,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cancer patient and service requirement; the progress degree of cancer and service; spiritual requirement, the time for diagnosis and social support requirement; information on inheritance, information and requirement for education; the type of medical treatmen , physical symptom and requirement for service. In addition, it showed that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quirement of cancer patient who were hospitalized or treated after diagnosis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Since the degree of psychological requirement, of all other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cancer patient,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for mediation to satisfy psychological requirement, the result of the survey is considered to provide available basis in terms of considering a field of the degree of requirement to improve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본 연구는 암환자의 포괄적 요구도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암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환자 개인과 가족, 가족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의 영역에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추출한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1개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거나 외래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 100명 (남성 37명, 여성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포괄적 요구도, 삶의 질의 총 3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암환자들의 요구도 조사는 총 6영역으로 정보 및 교육요구, 병원시설 및 서비스 요구, 심리적 문제 요구, 신체증상 요구, 종교적/영적요구, 사회사회적 지지요구 순으로 정보 및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고 사회적 지지요구가 가장 낮은 요구를 나타냈다. 2. 암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중 연령에 따른 서비스 요구도에서 49세 이하에서 50세 이상 대상군에 비해 서비스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3. 암환자의 질병특성중 암의 진행정도 4기에서 1, 2, 3기에서 보다 서비스 요구도와 영적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력에서는 가족력이 있는 대상군에서 가족력이 없을 때 보다 정보요구도가 높았고, 진단시기별로 13-60개월 진단군에서 1-12개월과 60개월 이상 진단군에 비해 사회적 지지요구가 높았다. 치료형태별로는 항암치료를 포함한 치료를 받는 환자군에서 신체증상요구와 서비스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암환자들의 삶의 질은 2.16으로 보통정도의 수준이었으며 삶의 질은 정서적 안녕이 2.56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적기능 안녕이1.37로 낮았으며, 특히 암의 진행정도에서 1기, 2기, 3기 대상자 보다 4기 대상자의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4. 암 진단시기에 따른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평균점수를 비교했을 때, 암 진단후 5년이상 생존한 집단군의 삶의 질 점수가 2.30으로 가장 높고, 1-12개월 생존집단이 2.16, 13-60개월 생존 집단이 2.06의 순으로 13-60개월의 중간 생존집단의 삶의 질 점수가 가장 낮았다. 5. 암환자의 포괄적 요구도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암환자의 신체적 요구도와, 심리적 요구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신체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암환자의 연령과 서비스요구, 암 진행정도와 서비스, 영적요구, 암 진단시기와 사회적 지지요구, 가족력과 정보 및 교육요구, 치료형태와 신체증상, 서비스요구가 유의한 관계에 있었고, 암 진단후 치료중인 암환자의 신체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는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역별 요구도 중 신체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가 암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결과는,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신체적 요구와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중재해야 할 요구도영역을 선정함에 있어 유용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