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
dc.contributor.author권미영-
dc.creator권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2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5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291-
dc.description.abstract성조숙증은 여아에서는 8세 이전 2차 성징이 나타난 경우로 정의하며, 초경까지 진행되는 경우를 진성성조숙증, 일시적 현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가성성조숙증으로 구분한다. 최근 국내 성조숙증의 발생빈도가 증가되면서 이들의 특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기 2차 성징을 주호소로 내원하여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여아의 진단별 분포와 진단명에 따른 신체발육, 성호르몬 분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9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서울시 소재 S아동전문병원에 2차 조기성숙을 주호소로 내원한 여아 중 기질적 원인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한 성조숙증 여아들을 진성조숙증과 가성조숙증으로 분류하고, 내원 당시 연령, 출생 시 체중, 2차 성징 발현 나이, 부모 및 조부모 키, 키, 체중, 골연령, 체질량지수 등을 하였다. 또한 성호르몬 검사결과로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에스트라디올 그리고 성선호르몬자극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진단명별 신체발달과 성호르몬 분비의 특성을 t-test와 X2 test를 이용하여 비교 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는 총 113명으로, 성조숙증 여아의 신장 및 체중 표준편차는 높았으며, 역연령에 비해 골 연령이 많았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평균70백분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인예측신장치는 평균 155.7cm로 나타났다. 진단별 분포는 진성조숙증이 47명(38.9%), 가성조숙증이 66(61.1%)였다. 진성조숙증집단에서는 신장 및 체중 표준편차점수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또한 성호르몬 검사상 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그리고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의 기저치가 가성조숙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성선호르몬 자극검사에서도 LH최고치, LH최고치와 FSH최고치의 비가 진성조숙증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진성조숙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체중표준편차점수,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그리고 에스트라디올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p<0.05)으로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나타났다(X2=63.07, p=0.000). 본 연구는 최근 증가되고 있는 성조숙증 여아에서 전형적 사춘기 형태를 보이는 진성조숙증과 비전형적 사춘기 형태를 보이는 가성조숙증의 분류를 통하여 신체발달 및 성호르몬 분비를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조숙증 여아의 특성과 진성 성조숙증으로의 이행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 들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기에, 성조숙증 여아가 증가되어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성조숙증 여아에 대한 발생원인과 발생빈도를 밝히는 광범위한 연구는 물론 조기성숙으로 인한 학교 및 사회생활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recocious puberty is defined as the onset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before age of 8years in girls. True precocious puberty results from the premature activa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axis and mimics the physical pubertal development but Pseudo precocious puberty is independently from the activation of gonadotropic axis. Recently, As the prevalence of precocious is increased in Korea, There is rising social concerns about precocious puber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trum of diagnosis made in consecutive group of children for precocious signs and evaluated the physical growth and female sex hormone characteristic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Retrospective analysis the medical record of 113 girls for evaluation of signs of precocious puberty except for organic causes( eg. brain or ovary tumors) between September 2010 and October 2012 at ‘S’ children’s hospital in Seoul was done. According to the final diagnosis, these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were divided into True precocious puberty and pseudo precocious puberty. Physical growth features including Age of visiting, age of onset, birth weight, families heights, height, weight, bone age, body mass index(BMI), etc were analyzed and endocrine investigations including basal luteinizing hormone(L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Estradiol(E2) as well as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stimulated level of LH and FSH. Differences between groups true precocious puberty and pseudo precocious puberty were assessed by Student’s t test for continuous variable or by X2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ffecting variable factors to diagnose true precocious puberty. SPS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20.0 was used in all analysis,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s p<0.05 Of the 113 girls was diagnosed as precocious puberty, height SDS(standard deviation score) and weight SDS(standard devia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when compared to normal pubertal girls. Furthermore, the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showed higher BMI percentile(above 70 percentile) and more advancement bone age than chronological age. The predicted adult height was 155.7cm. Among 113 girl with sexual precocity, 47girls(38.9%) were diagnosed as true precocious puberty and 66girls(61.1%) as pseudo precocious puberty. Height SDS and Weight S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ue sexual precocity compared to pseudo sexual precocity(p<0.05). Hormone studies showed that the level of basal LH, FSH, E2 and GnRH-stimulated peak LH, peak LH/FSH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rue precocious puberty(p<0.05). The Affecting of variable factors were weight SDS, LH, FSH and E2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X2=63.07, p=0.000) (p<0.05). In conclusion, retrospective analysis of 113 girls who had early breast development before 8 years old resulted that true sexual precocity was 44 girls(38.9%),who may need for medical attention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e Affecting of variable factors for true sexual precocity were weight SDS, LH, FSH and E2. Further study is needed for more evaluation of girls with sexual preco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6 A. 여아에서의 성조숙증 발생 및 특성 6 B. 성조숙증 여아의 신체발육 8 C. 성조숙증여아의 성호르몬 분비 10 III. 연구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대상자 선정 및 자료 수집 방법 13 C. 변수의 정의 14 D. 자료분석 방법 16 IV. 연구결과 1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성조숙증 집단별 특성 비교 19 D. 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V. 논의 36 VI. 결론 41 참고 문헌 43 부록 1 Bayley-pinneau 의 성인신장예측치 49 ABSTRACT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19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성조숙증 여아의 신체발육과 성호르몬분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hysical growth and hormonal differences i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dc.creator.othernameKwon, Mi Young-
dc.format.pageix,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