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순-
dc.contributor.author이명자-
dc.creator이명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4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4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인문사회영재의 '인문사회적 통찰력' 신장을 위한 PBL(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있다. 이 연구의 진행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문사회영재'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인문사회적 통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습모형으로써 PBL모형을 고찰 한 후, 첫째, 초등 인문사회영재의 '인문사회적 통찰력'을 신장을 위한 PBL의 문제를 개발하여 교수-학습 계획안을 설계하고,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초등 인문사회영재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인문사회영재는 '사회적 민감성이 높고, 언어와 정보·사회과학의 구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인 생산 능력을 가진 자'라고 할 수 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에서 ‘인문사회영재학급' 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고, 본 연구자가 직접 2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초등 인문사회영재의 '인문사회적 통찰력' 의 하위 능력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고차원적인 사고력', '높은 언어 수행력', '리더십'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능력들을 기르기 위해 인문사회와 관련이 깊은 초등 교과인 도덕, 국어, 사회교과의 목표들을 분석하였고, 이들 교과의 인지적 목표인 ‘변화’, ‘다양성’, ‘상호작용’의 개념을 형성시킬 수 있는 범 교과 학습에서 ‘다문화 교육’을 프로그램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PBL 수업 모형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 맞게 설계한 조연순(2004)의 PBL 모형을 적용하였다. PBL 모형에 따라 학생들에게 제시할 문제 개발은 '교육과정 고려하기, 학습자 특성 파악하기, 잠정적 문제선정과 문제지도 그리기, 역할과 상황 설정하기, 문제 시나리오 작성'의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문제 상황은 '시민단체의 일원이 되어 다문화 가족을 지원하는 홍보하기'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문제 만나기 - 문제해결계획 세우기 - 정보탐색 및 재탐색 - 해결책 고안하기 - 발표 및 평가'의 5단계로 계획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초등 인문사회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PBL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몇 가지 특성들이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문제만나기' 단계에서 교사의 안내를 충분히 받아야 됨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안내 없이 학생들이 잠정적으로 해결책을 고안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교사가 인문사회 영재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행과정에서 겪는 혼란이었다. 인문사회 영재의 높은 ‘사회적 민감성’과 ‘높은 호기심’으로 인해 '동기유발'과 '문제해결 계획세우기' 단계에서 예상 시간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강한 자기중심성’으로 인하여 상호협력과 상호존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더 알아야 할 것'에 대한 합의 과정과 전체 정보 공유를 위한 모둠 자료 제작 활동이 원활하지 않아 교사가 깊은 개입을 하게 되었다. 일반아동과 비교해 보지 않아서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문헌 분석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영재아는 높은 사회적 민감성, 강한 호기심, 과제 집착력을 보이며 완벽을 추구한다는 특성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 참여한 인문사회 영재들도 이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결과를 바탕으로 인문사회영재를 위한 PBL 프로그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였다. 1. PBL 교수-학습 과정 단계마다 '잠정적 해결책 고안하기' 단계를 추가하였다. 2. '문제 만나기' 단계와 '문제해결 계획세우기' 단계의 시간을 보다 더 할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론을 통해 인문사회 영재의 PBL 프로그램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사회영재를 위한 PBL 프로그램 개발·적용에 있어서 영재아의 특성을 고려하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인문사회 영재의 '사회적 민감성'을 최대로 자극할 수 있는 실생활 맥락의 사회 이슈가 되는 동기 유발 자료나 문제를 제공하면, 인문사회 영재들의 문제에 대한 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쉽게 문제 해결자가 될 수 있게 해 준다. 둘째, 학습과정에서 '문제만나기'와 '문제해결 계획세우기'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면, 다각적이고 깊이 있는 탐색활동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후 단계에서 교사의 별 다른 안내 없이도 활발한 활동이 일어나며 이는 학습과정에서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사고 활동 그리고 리더십 발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인문사회적 통찰력을 신장 시킬 것이다. 그러나 본 수업에서 나타난 특성들이 프로그램과 상관없는 영재아의 반응인지 본 프로그램의 효과인지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정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문사회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이 현재 부족한 상태이므로 영재들의 인문사회적 통찰력 신장을 위한 현실맥락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rogram of study is to develop PBL program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e study consists contents as follows: With definition of 'the gif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rough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s and inquiry into PBL model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first, I chose themes to enhance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econd, I decided teaching plan by developing PBL problems. Third, I applied the developed program to class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diagnosed the problems and finally ma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is PBL program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s a person 'who has highly social sensitiveness and can solve problems and produce creative outcomes using structures of language, information and social scie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0 students in the 'class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I conducted 28 hours' classes and analyzed reactions from learners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through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s, I selecte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high-level thinking power', 'high-level linguistic performance' and 'leadership' for sub-elements 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 order to select themes, I analyzed the goals of elementary subject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Ethics,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and decided the them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an forms concepts of 'change', 'diversity' and 'interaction', goals of knowledge. As a result, common features in the final products by learners suggested recognition of 'diversity' among people in society and their desirable interaction and aimed to happy world respecting human right. From results of 'sharing impressions' and 'self-evaluation', it turned out leadership el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inking power and linguistic performance improved. Second, for the PBL model, I applied Jo Youn Soon(2004)'s model which was designed for Korean educational circumstances on elementary students and developed problems 'Considering the curriculum, figuring out learners' characteristics, selecting potential problems & mapping, setting roles and situations and making problem scenarios' in order and planned curriculum consisting of 'facing problems-planning for solving problem-searching and re-searching information - inventing solutions - presentations and evaluation'. The developed situation problem was 'to introduce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member of civil groups'. Third, as the results of putting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project with the total 28 hours of class, there were problems in each program and its application. For problems provoked from learning stage of the PBL program was brisk 'suggestion of potential solutions' without guidance by teacher in 'facing problems', It was similar to 'generating hypothesis' after 'discussing problems' in model by Barros & Myers(1993)' PBL generally used in medical schools(making small groups and assigning tutor-suggesting problems on imaginary patient-discussing problems-generating hypothesis, distinguishing events, pointing out study problems-collecting information-evaluating usefulness on information resources-reevaluating problems-demonstrating results and presentation-self evaluation and evaluation by co-workers). Then there were problems in the process because teacher didn't consider the gifted children's characteristics. Because of learners' higher 'social sensibility' and 'curiosity', it took longer hours in 'prompting motivation' and 'planning for solving problems' than expected. And it was not active in reaching agreements for 'things to know more' and making comprehensive material for sharing the entire information because of learners' strong self-direction so teacher had to intervene deeply in them. I did not compare them with ordinary children but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s, the gifted children show higher social sensibility, strong curiosity and obsession for commitment and pursue perfection and it was applicable to learners, this study's research subjects. So, synthesizing these results, I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mes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e related to subjects like Ethics,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and to select themes which are social issues in real life context is effective. As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includes important contents and functions for nation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suggests 35 themes which fosters abilities to lead to world which changes integratedly, if it is restructured fit to the gifted children's level and features, it will be proper to develop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ights'. Second, the learning stages for PBL for the gifted students basically consist of facing problems-planning for solving problem-searching and re-searching information - inventing solutions - presentations and evaluation' and if, in particular, 'potential solutions' for the final results are discussed in each stage, learners can play more leading problem solver and suggest practicable solutions. Third,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the entire process were 'social sensibility', 'strong curiosity' and 'self-direction'. 'Higher social sensibility' has influences on challenging minds against the problems and will to solve them in the entire process and in order to control learners' 'higher curiosity' and 'strong self-direction', it requires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From thes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I suggest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PBL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for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BL program for the gifted childre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econd, if the program is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of their 'higher social sensibility', it will influence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power and leadership and then social insights will grow.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study should be identified whether it is the gifted student's reaction or the effect by the program through futur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2 Ⅱ. 이론적 배경 3 A. 인문사회 영재교육 3 1. 인문사회 영재의 정의 및 특성 3 2.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방향과 목표 5 3. 인문사회 영재교육 내용 및 방법 8 B. PBL(문제중심학습) 11 1. PBL의 개념 11 2. PBL의 특징 12 3. PBL의 과정 14 C. 영재교육에서의 PBL 적용 연구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8 A. 연구자 18 B. 연구 절차 18 1. PBL 프로그램 주제 선정 20 2. PBL 프로그램 개발 20 3. PBL 프로그램 적용 및 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7 A. PBL 프로그램 개발 27 1. PBL 문제 개발 27 2. PBL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36 B. PBL 프로그램 적용 41 1. 문제 만나기 42 2. 문제해결 계획세우기 47 3. 정보 탐색하기 54 4. 해결책 고안하기 65 5. 발표 및 평가 69 C. 영재를 위한 PBL 모형 제안 78 Ⅴ. 결론 및 제언 81 참 고 문 헌 85 부 록 89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68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 인문사회영재를 위한 PBL(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BL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c.format.pageix,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