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김시정-
dc.creator김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5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60-
dc.description.abstractThe advancing pace of change due to development i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has led people in today’s modern society to be immersed in stimulating contents and pursue more instant fun and feeling. However, culture contents that stimulate and satisfy people’s feeling in the midst of fast-changing lifestyle as well as provide a fresh experience are still quite limited.Among the culture contents, the figure industry that developed along with film industry and in particular, the art-toy within the figure industry, which sprung naturally in relation to pop arts, have begun to diversify their routes for character creation, as new forms of media are being established. Art-toys are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as art-toys of various characters gained designer’s attention and exhibitions of not only famous toys from big companies but also of designers who designed the art-toy products themselves began opening up. To people in modern society who pursue instant stimulation and satisfaction, the idea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on something other than paper is quite refreshing. Although the public’s demand for art-toy is estimated to be high, most forms of art-toy that are planned developed until present are catered only to professionals, designers, artists or maniacs. Therefore,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propose a design strategy to popularize art-toys that can satisfy the emotional needs of modern public, and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marketing strategies after series of survey/observation.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commercial value of ‘mustoy’, which is a prototype of an art-toy designed for public, an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service and sales marketing related to the design of more popularized art-toys and the enhancement of the drawing experience. Therefore, more specific suggestions on marketing strategies will be proposed later on based on the insight extrapolated from this research.;정보 통신과 기술의 발달로 변화가 가속화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화려한 콘텐츠에 익숙해져 있으며 더욱 자극적인 재미와 감성을 추구한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 일 외에 여가 생활의 시간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변화가 생겨나고 있는데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가 함께하는 오늘날에 이 라이프스타일의 주기는 더욱 짧아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유행 속에서 현대인의 감성을 자극하고 충족시켜주며 체험을 통해 신선한 경험을 주는 문화 컨텐츠는 아직도 지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 컨텐츠 중 영화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피규어 산업과 피규어 산업의 범주 안에서 팝아트와 맞물려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아트토이는 다양한 매체가 생기면서 캐릭터의 생성 루트도 그만큼 다양해지고 있다. 다양한 캐릭터 속에서 디자이너들의 아트토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유명 디자인 회사의 토이뿐만 아니라 제품을 디자인한 디자이너가 제작한 아트토이 전시가 생기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1990년대 미국의 팝아트 영향을 받은 홍콩 젊은 예술가들에 의해 아트토이가 유행하였고 지금은 일본, 싱가포르, 아시아를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에까지 하나의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아트토이는 패션 스포츠 산업과 결합해 상품성을 띠고 있으며 세계적인 기업과 브랜드의 마케팅 도구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미국 뉴욕 현대 미술관이나 시카고의 필드 뮤지엄 숍 등에서 판매될 뿐만 아니라 예술성 높은 전시물로 인정받고 있다. 말초적 자극에 익숙해져있는 현대인들에게 종이가 아닌 어떤 개체에 자신이 직접 원하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은 신선한 자극이다. 현대인들이 아트토이를 통해 재미와 감성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충분할 것이라고 짐작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아트토이의 형태들이 전문가 또는 디자이너, 아티스트, 매니아 층을 위해 제작, 고안된 형태들이 대부분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현대인의 감성을 충족시켜주는 아트토이의 대중화를 위해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고 조사를 통해 도출한 마케팅 인사이트를 통해 향후 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아트토이 대중화 디자인 형태와 마케팅 전략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토이의 상위 범주인 피규어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아트토이의 정의와 국내외 현황에 대해서 이해한다. 둘째 아트토이에 대한 조형적 특성과 마켓의 특성에 대한 이해한다. 피규어와 아트토이에 대한 일반적 고찰은 전문서적 및 학술지, 온라인 뉴스 및 블로그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셋째 피규어와 아트토이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아트토이의 대중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과 마케팅 전략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넷째 가설 검증을 위해 기존 아트토이와 가설을 실체화한 프로토타입인 무스토이의 사용자 에스노그래피 조사를 실시한다. 다섯째 에스노그래피 조사 결과를 통해 유의미한 가설은 유지하고 새로이 도출된 인사이트로 프로토타입을 수정 보완하는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에스노그래피 사용자 관찰을 통하여 대중화 아트토이의 시험적 형태인 무스토이의 제품성을 확인하고 대중성이 증대된 아트토이의 디자인과 그리기 경험에 있어서 서비스 및 판매 마케팅 방향을 보완하는 것으로, 마케팅 전략에 대해서는 도출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향후 구체화된 전략을 제안하기로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1 Ⅱ. 피규어와 아트토이에 대한 일반적 고찰 3 A. 피규어에 대한 일반적 고찰 3 1. 피규어의 정의 3 2. 피규어의 종류 4 3. 피규어의 특성 6 B. 아트토이에 대한 일반적 고찰 8 1. 아트토이의 정의 8 2. 아트토이와 팝아트 9 3. 아트토이의 브랜드 현황 11 Ⅲ. 아트토이 대중화 방안을 위한 가설 18 A. 아트토이의 특성 18 1. 아트토이의 디자인 특성 18 2. 아트토이 마켓의 특성 20 B. 아트토이 대중화 방안을 위한 가설 23 1. 아트토이의 대중화 디자인 전략 가설 24 2. 아트토이의 대중화 마케팅 전략 가설 25 Ⅳ. 사용자 에스노그래피를 통한 아트토이 대중화 방안 가설 검증 26 A. 조사 목적 26 B. 조사 계획 27 1. 조사 대상 27 2. 조사 방법 및 계획 28 C. 조사 결과 29 1. 일반인 그룹_비디오 촬영 29 2. 일반인 그룹_심층 인터뷰 32 3. 전문가 그룹_비디오 촬영 38 4. 전문가 그룹_심층 인터뷰 42 D. 조사 분석 및 전략 제안 48 1. 디자인 마케팅 인사이트 48 2. 디자인 마케팅 전략 제안 51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8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403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아트토이 대중화를 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design marketing strategy for popularizing the art-toy-
dc.creator.othernameKim, Si Jung-
dc.format.pagevi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