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박민희-
dc.creator박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5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18-
dc.description.abstract여성결혼이민자는 결혼을 통해 생활환경의 변화를 겪고, 이주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들의 스트레스는 사회·문화적 적응에서부터 가족관계, 생활, 자녀양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도구의 제한으로 스트레스의 일부 요인만을 측정할 뿐 종합적으로 평가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느끼는 종합적인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1. 여성결혼이민자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문항은 문헌고찰과 초점집단인터뷰를 근거로 4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과 2차례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6개 요인에 대한 26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정을 마친 26개의 문항은 전문 번역사를 통해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고 이를 한국어에 능통한 원어민으로부터 감수를 받았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이해정도가 어려운 문항은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전국 5개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323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에 사용하였다. 2. 도구의 타당도 검정은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로 보았으며, 도구의 구성 타당도는 요인분석과 집단비교, 수렴타당도를 통해 검정되었다. 우선 구성된 문항의 양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에 의해 문항분석을 실시하였고, 도구의 최종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가족경제 스트레스 요인, 양육 및 차별 스트레스 요인, 문화 스트레스 요인, 정서 스트레스 요인의 4개 요인을 구성하는 21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도구의 6개 요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에 대해 61.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비교법에 의한 구성타당도 검정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 한국어 수준, 주관적 경제수준 및 시댁식구와 동거여부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현재의 삶에 불만인 집단과, 한국어를 잘 못하는 집단, 경제수준이 어려운 집단, 시댁식구와 함께 사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각각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높아 집단비교법에 의한 구성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수렴타당도는 우울 측정도구와 여성결혼이민자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상관관계를 보았는데, 우울이 높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준거타당도는 인지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상관관계를 보았는데, 인지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높아 준거타당도도 검정되었다. 3.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최종 도구의 내적일치도로 보았는데, 전체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값이 .903이고, 하부 요인의 Cronbach 값은 .692~.892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정되었다. 이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검정된 여성결혼이민자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다 국가의 여성결혼이민자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스트레스의 속성과, 한국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요인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를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실무 및 연구영역에서 폭 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n instrument that comprehensively assesses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After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44 items were initially selected, and those items were submitted to experts for consultation and two rounds of content validity evaluation, resulting in six factors and 26 preliminary items. The preliminary item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y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the translation was reviewed by native speakers of each language who are fluent in Korean. The level of comprehension for these items was evaluated using a pilot survey, and a 21 item final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females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residing in five regions in Korea.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by factor analysis, group comparisons, and convergent validity. Items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and Item Response the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e 21 items in four factors including 1) household economic 2) parenting and discrimination 3) cultural and 4) emotional stressors, explaining61.3% of the total variance of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by group comparisons in life satisfacti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 with in-laws. Levels of str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immigrants with low life satisfaction, low Korean proficiency, low economic status, and living with in-laws. With regard to convergent validity, the stress assessment measu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stress assessment to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Stress Scale-10.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03 for the overall instrument and .692-.892 for four factors. The data indicated that the stress assessment measure developed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measure is unique in that it was designed considering attributes of stress which female marriage immigrants of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experienced in commo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an use this instrument to systematically assess stress and identify areas of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정의 6 II. 문헌 고찰 7 A.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요인 7 B. 이민자 스트레스 도구 17 III. 연구 방법 24 A. 연구 설계 24 B. 연구의 절차 25 C. 윤리적 고려 34 Ⅳ. 연구 결과 35 A. 문항 구성 35 B. 예비도구의 사전조사 54 C.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56 D. 개발된 최종도구 74 Ⅴ. 논의 76 A. 문항 구성 76 B. 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정 77 C. 도구의 특징 83 Ⅵ. 간호학적 의의 86 Ⅶ. 결론 및 제언 87 A. 결론 87 B. 제한점 88 C. 제언 89 참고문헌 90 부 록 103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90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Stress Assessment Measur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dc.creator.othernamePark, Min Hee-
dc.format.pagevi, 14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