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걷기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itle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걷기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 walking program for office workers
Authors
최혜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걷기프로그램이 사무직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걷기활동, 신체활동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2개 회사에 소속된 사무직 근로자 중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WHO, 2005) 프로토콜 기준에 의거하여 낮은 신체활동 수준에 속하는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참여자는 실험군 26명, 대조군 24명으로 총 50명이었다. 걷기프로그램의 내용은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하여 자기조절 훈련과 함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를 향상시킴으로서 걷기, 신체활동 변화를 유도하고 지지하도록 마련되었다. 2011년 10월 10일부터 12월 16일까지 10주간 시행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만보기가 제공되었고 실험군에게는 총 6회의 이메일 교육, 2회의 개별 전화코칭과 3회의 자조모임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중재 전 사전검사, 중재 6주 및 중재 10주 사후검사 등 총 3차례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걷기활동(걷기활동량, 걷기실천자수, 운동보행수), 신체활동(중등도 이상 신체활동량,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신체계측을 통해 생리적 지표(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재시점 별 변화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 비교는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비교에서는 걷기활동량이 중재 6주에, 걷기실천자수는 중재 6주 및 중재 10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외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운동보행수, 신체활동, 생리적 지표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중재시점별 비교에서는 중재 6주 및 중재 10주에 걷기활동량,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량, 신체활동량, 허리둘레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중재 6주에는 실험군의 이완기혈압 및 실험군 내 혈압위험군의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중재 10주에는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대조군의 중재시점별 비교에서는 중재 6주 및 중재 10주에 걷기활동량,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량, 신체활동량이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운동보행수는 중재 1주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재 10주에는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걷기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의 걷기활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리적 지표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군의 허리둘레와 이완기혈압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한 걷기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 및 이에 따른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alking program implemented for office workers in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walking activities,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indexes. The sample consisted of 50 insufficiently active office workers who met the criteria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for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WHO, 2005).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companies in Seoul. Of the 50 participants, 26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to the control group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Guided by Social Cognitive Theory, the walking program is a self-regulation training intended to induce changes in physical activities and maintain thereafter by enhanc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step counter, six didactic sessions via e-mail, two individual telecoaching and participated in three support group meetings over 10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step counter only.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walking activities(score of walking activities, number of participants following the walking protocol, number of moderate-intensity steps), physical activities(score of moderate to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score of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indexes(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were assessed for three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at 6weeks and at 10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score of walking activities at 6 weeks, number of participants following the walking protocol at 6 and 10 week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moderate-intensity steps, physic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index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 of walking activities, score of moderate to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score of physical activities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improved at 6 and 10 weeks.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6 weeks and self-efficacy significantly improved at 10 weeks.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 of walking activities, score of moderate to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and score of physical activities significantly improved at 6 weeks and 10 weeks while the moderate-intensity steps significantly decreased between at 1 week and at 6 weeks/10 weeks. The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at 10 weeks. The walk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walking activities for office workers as well as controlling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Findings suggest that occupational nurses can use the walking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ies and promote health for office wor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