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재선-
dc.creator정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71-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현대 여성들의 자아의식과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태도 또한 변화되고 있다. 산업사회의 발전은 소비를 자극하기 위해 매스미디어를 통해 '유행'이라는 아름다움의 사회적 기준을 제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여성들의 '아름다운' 외모를 위한 소비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여성의 소비 활성화의 또 하나의 주요한 요인은 여성의 경제적 독립이다. 이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미국 신여성 플래퍼의 등장은 근대화 및 소비자본주의의 발달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1920년대 세계 제1차 대전 종전 직후는 이상주의에 대한 환상이 깨어진 잃어버린 세대의 시대였으며, 사람들은 이상주의의 상실로 인해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가치관의 혼란과 미래에 대한 신념의 상실은 물질적인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경제적 번영과 맞물려 여성의 직업창출과 소비문화의 확산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에서 플래퍼의 파격적인 외모는 상품화되어 널리 유행하였고, 플래퍼 스타일의 옷은 모든 여성들의 소비욕구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장 보들리야르(Jean Baudrillard)는 현대는 소비사회이며 현대의 소비는 이미 일차적인 사용을 넘어선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무엇을 소비하고, 무엇을 입어 어떠한 모습으로 표현되는가 하는 문제는 자신이 누구인가를 말하는 것과 같으며, 이는 다시 그 사람의 지적 수준과 존재 가치까지 판단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플래퍼적 현대여성의 심리에 대한 문헌조사와 작품 제작을 통해, 현대여성이 가지는 아름다움에 대한 태도의 허구적 측면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욕구와 심리를 표현한 조형 작품과 관련 문헌자료의 조사를 통해 아름다움에 대한 여성의 심리를 옷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사치의 대상 또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한정되는 옷의 의미를 외모의 아름다움을 위해 소비되는 도구로 확장시킴으로써 아름다움의 허구적 측면이라는 주제표현의 매개체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아름다움을 위한 소비욕구의 심리와 갈등이나 고민, 이와 더불어 요구되는 여성 스스로의 자각 등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행위의 목적과 의미를 발견하는 발전적 사고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본 연구자의 작품 9점에서 여성의 신체가 배경색과 동일하게 나타나는 점은 유행이나 사회적 기준에 이끌려 자신을 잃어버린 여성의 모습을 나타내며, 캔버스에 평면화 되어 부착된 옷을 통해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가 허상에 지나지 않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As the post modern industrial society has progressed, women's self awareness and the attitude toward beautiful appearance also have changed. This industrial society got to suggest a social standard of beauty with 'a trend' through mass media so as to stimulate their consumption. And with this, women's consumption for 'beautiful' appearance became more activated. Another factor that makes women's consumption activated is their economic independence. We can not consider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and spending capitalism without the appearance of Flapper, the American modern woman, in the late 19C ~ the early 20C that can be its start point. The days after the First World war in 1920s, were of lost generation whose fantasy on idealism was broken and so people got to persue new value owing to the loss of idealism. This confusion of value and the loss of belief for the future progressed to creation of job and consumption culture for women. In this social environment, Flapper's exceptional appearance became merchandised and 67 prevailed widely. The clothes of Flapper style were sufficient to stimulate consumption desire of all the women. Jean Baudrillard said that this post modern society is the consumption society and this post modern consumption has the social meaning b yond initial usage. The issue what to consume, what to wear, and how to express themselves with their appearance can be almost the same as the meaning who they are. And, in turn, it affords to estimate their intellectual level and existential value. I would review modern women's fictitious aspect on the attitude towards beauty through literary research and creating works about modern women's psychology of Flapper. This study expressed the women's psychology about beauty with the material of the clothes through creating pieces and related literary which expressed mod rn women's desire and psychology for beautiful appearance. I tried to use clothes as the material for this subject, the fictitious aspect of beauty, by br adening its limited meaning of luxury or the necessities of life to the device for beautiful appearance. The psychology of consumption desire for beauty, onflict, anxiety, and self-awareness required by these issues can be converted towards progressive thought as discovering purpose and meaning of pursuing beauty. The nine products of mine express the women, who lost themselves by being led to the trend or the social standard, with the same color of women's body and the background. And the attached clothes to the canvas with the plane shape explain that the women's blind persue for beauty is a merely fictitious th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플래퍼와 현대여성의 심리 = 3 2.1 플래퍼의 의미와 외모에 대한 여성심리 = 3 2.2. 현대사회의 아름다움과 플래퍼의 사회화 = 6 3. 여성의 외모주의 심리와 현대예술 = 14 3.1 여성의 외모주의 심리 = 14 3.2 현대예술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과 옷 = 18 4. 작품제작 및 분석 = 32 4.1 제작의도 = 32 4.2 제작과정 = 34 4.3 작품분석 = 36 5.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985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여성의 플래퍼적 심리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옷을 통한 표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dern women's psychological expression of Flapper : Based on the expression by clothes-
dc.creator.othernameChung, Jae Sun-
dc.format.pagev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