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시뮬라크르로서의 그리드

Title
시뮬라크르로서의 그리드
Other Titles
Grid Simulacre
Authors
김현성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과도한 기술 문명의 발전으로 테크놀로지는 발전되었고 그 결과 대중을 다스릴 수 있는 미디어가 탄생되었다. 미디어는 이제 우리의 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이와 연관하여 맥루한(Herbert Marshall Mcluhan)은 자신의 저서「지구촌」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새로운 과학 기술적 인간은 초기처럼 ‘광야의 자연’같은 자연을 더 이상 경험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직접 경험으로서의 자연을 상실할 때 우리는 평형바퀴, 즉 자연 법칙의 표준을 상실한다. 마약을 먹었든 먹지 않았든, 인간의 정신은 위험한 추상세계 속으로 자유롭게 표류해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1) 우리의 머릿속에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보다는 인공적으로 어느 정도 연출된 자연이 더 자연적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실제 자연 현상을 관찰할 때 사진 속의 스펙터클한 모습의 장관을 기대하기에 이르러 실제 자연에서는 흥미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간은 과학기술이라는 도구에 의해 의식을 확장하여 실제 없는 공간을 경험하게 된다. 즉, 가상공간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공간에 대한 경험은 반복될수록 개인을 방황하게 한다. 왜냐하면 가상공간이 현실감으로 존재하여 실제 현실과의 혼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러한 현상을 본인이 그리드를 사용하는 작업과 연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인이 이렇게 가상공간과 현실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본인 스스로 컴퓨터 게임에 중독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게임 중독이 갖는 영향력은 게임의 완벽함이 현실의 불완전함을 충족시키면서 개인의 의식을 사로잡는 것에 있다. 현실감을 희석시킬 수 있는 위기인 것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먼저 본인의 작업에서 중요한 모티브인 그리드에 대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정리해보고 나아가 현실의 위기를 만들어 내는 가상현실의 문제점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가상현실의 철학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인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는 시뮬라크르의 자전으로 인해 인간이 가장된 삶 즉 조작된 삶을 살아가기 때문에 더 이상 실제하는 현실을 경험할 기회를 상실했다고 본다. 본인은 그의 이론이 현실과 가상현실 속의 인간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본인은 본인의 작업과 시뮬라시옹 이론을 연관하여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한편 본인은 그리드(Grid)를 본인의 심적 상황에 중점을 두어 고찰해 보았다. 본래 그리드는 비어 있는 캔버스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리드로 작업을 하면서 본인은 그 안에 맴돌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드가 방향성을 찾기 위한 도피처도 되지만 한편으로 본인을 구속하는 도구가 되고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살펴보았던 가상공간과 접근하게 되는 현대인의 심리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작업 기제로서 그리드와 더불어 작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조작하기’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조작하기’는 완성된 그리드에 ‘+기호’를 덧긋는 행동을 말한다. 이는 그리드를 사실성 있는 사물로서 나타내고자 하는 본인의 노력인 것으로 시뮬라시옹의 저지작용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작업에 사용한 보드롱(Boardlong)재료의 의미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보드롱은 우선 본인이 실제 작업을 하기 전에 견본을 만들어 보기 위해 사용한 재료였다. 그러나 실제로 작업을 한 후의 모습보다 견본으 로 만들어진 보드롱 그림이 본인에게는 흥미로웠다. 그에 따라 본인의 작업은 원형의 외관을 알아보기 위해 제작된 모형이 본래의 원형을 대체하게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본인은 실재하지 않는 사물을 마치 있는 듯이 재현해내는 보드롱 그림이 시뮬라크르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이에 본인은 본 논문을 앞으로의 전개될 작업의 밑거름으로 삼고자 한다.;Today the excessive advancement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brought about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s its result, a media capable of ruling the public has been created. Therefore, the media now has a remarkable effect on our perception. Herbert Marshall Mcluhan made the following remarks in his book titled "Global Village".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human beings will be no more able to experience the nature analogous to the 'nature of wilderness', like the one in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We lose the wheel of balance, namely the standard for nature's law, when we lose the nature which is part of our direct experience. Human spirit tends to drift freely toward the dangerous abstract world" Generally, we tend to consider that the nature which is somewhat artificially treated is more natural than the original nature itself. We lose our interest in the real nature as we expect spectacular views in photos when we observe natural phenomenon. Likewise, human beings experience a non-existing space in reality by using a tool called 'scientific technology' to extend their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experience the virtual world. However, the more the virtual experience is repeated, the more individual human beings drift along. That is because the virtual space exists as real feeling to create confusion with real world. This researcher tries to think by linking such a phenomenon with work using a grid. Above all, why I beca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in virtual space and reality is that I have an experience of being addicted to computer games myself. The influence that game addiction has is based on the perfection of computer game compensating for the imperfect reality and holding the consciousness of individual a hostage. The addiction to computer game is a crisis that is able to dilute the sense of the real. This paper summaries the grid which is an important motif in my research according to the historic era, and furthermore, tries to get to the bottom of the problem of virtual reality creating a crisis in reality. Therefore, we will look into the theory of Baudrillard's Simulation who is a theoretician of post-modernism in order to facilitate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bout the virtual reality. He considers that human beings lost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reality due to the so-called 'La Precession des Simulacres' which leads human beings to lead faked lives, namely manipulated lives. I thought that his theory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status of human being in the reality and virtual world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Thus I came to think my work in association with 'Simulation Theory'. I studied the Grid focusing on my psychological state. Originally, the grid was used to alleviate the fear of empty canvas. However, I had a thought that I was repeating in the same circle while I was working with the grid. I realized that the grid became a tool binding me while I took refuge in that grid for direction. Therefore, it seemed to me that my feeling toward the grid was similar to the psychology of modern human beings accessing toward the virtual world mentioned before. I also thought about the 'manipulation' which possessed a significant meaning along with the grid as a motif of work. 'Manipulation' refers to the action of adding the '+ symbol' to the completed grid. This is my effort to represent the grid as an object with reality. Therefore, I thought about those actions by associating with the Simulation attitude. Finally, I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signification of Boardlong material that I used on the work. Boardlong was the material in order to make a model before starting to work on actual job. But Boardlong painting made for a model seemed more interesting to me rather than the result after actual work. Following this, my work resulted from the model which substituted the original one as it was produced to recognize the outer appearance of the original. Through this paper, I was able to get my ideas organized that Boardlong painting that represented unexisting object as if it was existing, had a similar characteristic as Simulacres'. So I would like to have this paper as a ground for the work which will be proceeded ahea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