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연-
dc.contributor.author김민희-
dc.creator김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의 질 및 외모만족도와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현재 이성교제 중인 남, 녀 대학생 250명(남학생: 117명, 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아버지와의 관계, 어머니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이성관계의 질에 관한 대학생의 자기보고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와의 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는 Armsden 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에 기초하여 Raja, McGee와 Stanton(1992)이 수정한 개정본(IPPA-R)을 옥정(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Self-Esteem Scale’을 어주경(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외모만족도는 Secord와 Jourard(1953)의 43문항으로 구성된 Body Cathexis Scale 중 이금희(2007)가 한국 사람의 정서와 차이가 있거나 중복되는 신체의 세부적 문항을 제외한 19문항을 사용하였다. 이성관계의 질은 Bowden(1977)의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를 이인수, 유영주(1986)가 한국 실정에 맞고 미혼의 남녀 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척도 11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의 질은 자아존중감, 이성관계의 질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 부모-자녀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이성관계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모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관계의 질은 이성관계의 질에 직접 또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부모-자녀관계의 질과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넷째, 외모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만 이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와 이성관계의 질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모-자녀관계의 질은 이성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이성관계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외모만족도는 이성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이성관계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가족관계 변인이나 심리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이성관계의 질 향상 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 total of 250 college students (mean age= 22.9, 46.8% boy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the higher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In other words, parent-child relationships hav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the higher self-esteem was. Thus, appearance satisfaction has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self-esteem. Third, it was found out that not only did parent-child relationships have a direct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it also had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self-esteem. Fourth,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only through a self-esteem. In conclus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had not only a direct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 self-esteem. So, self-esteem functioned as partial mediation. On the other hand,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only through a self-esteem. So, self-esteem functioned as complete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neficial for the programs which are aimed at improving the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declaring one's family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이성교제의 중요성 5 B. 이성관계의 질과 관련된 변인 6 1. 부모-자녀관계의 질 7 2. 외모만족도 9 3. 자아존중감 10 C. 부모-자녀관계의 질 및 외모만족도가 이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11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4 A.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14 B. 용어의 조작적 정의 16 Ⅳ.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조사도구 19 C. 연구절차 23 D. 자료분석 23 Ⅴ. 연구결과 24 A. 기초분석: 주요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성차 24 B. 부모-자녀관계의 질, 외모만족도및 자아존중감과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 25 C. 부모-자녀관계와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28 D. 외모만족도와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33 Ⅵ. 논의 및 결론 35 A. 기초분석: 부모-자녀관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이성관계의 질의 성에 따른 차이 35 B. 부모-자녀관계의 질,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 36 C. 부모-자녀관계와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38 D. 외모만족도와 이성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39 참고문헌 43 부록 48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74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부모-자녀 관계의 질 및 외모만족도와 대학생의 이성관계 질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Appearance Satisfaction on Dating RelationshipSatisfaction:The Mediating Role ofelf-Esteem-
dc.creator.othernameKim, Min Hee-
dc.format.pagevi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