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추근영-
dc.creator추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73-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ociety of emotion arrived, modern consumer culture has changed from the consumer culture that placed a value in the existing effectiveness to the consumption that places a value in joy and happiness, and also from the consumption of satisfying needs to the one of satisfying desires that expresses self-identity. As if to reflect such changes of the consumer culture, modern commercial spaces seek changes to satisfy users’ diverse desires through becoming large in scale and complex. The complex commercial spaces that have become large in scale provide various experiences to the users within the space. For the various experiences, there are the ones that consist of programs such as event, play, watching, eating, and recess, and the ones that provide using five senses like vision (form, structure, color), smell, touch, and taste. The researcher reckons the structural device for the users to efficiently recognize and experience those experiences provided diversely as the void space. This study sets the targeting space for design as the void space for vitalization of complex commercial space that has become large in scale and studies the method of design for it. If the void space for a commercial space is judged with commercial value, which is a modern perspective, then it would be explained as an empty space or dead space, but in the modern commercial space, where it is becoming large in scale and complex, that explanation changes. The void space of complex commercial space is a mediating space that makes disparate programs adhere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space and buffer space. Also, sinc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character, openness, and attractiveness of color, it is suitable for helping vitalization of the space. As a thesis in design, this study plans the void space that is equipped with diverse functions and design by selecting a complex commercial space that has declined based on the data gained through theoretical study of the void space and a complex commercial space. With the result propos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 it suggests a method of design for the void space for vitalization of complex commercial space.;현대의 소비문화는 감성의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의 효용성에 가치를 두던 소비문화에서 즐거움과 행복에 가치를 두는 소비로, 또한 욕구 충족의 소비에서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는 욕망 충족으로서의 소비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소비문화의 변화를 반영하듯 현대의 상업공간은 점차 대규모화, 복합화를 통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화 된 복합상업공간은 이용자에게 공간 안에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다양한 경험에는 이벤트, 놀이, 관람, 식음, 휴게 등의 프로그램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과 시각(형태, 구조, 색채), 후각, 촉각, 청각 미각과 같은 오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험이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제공되는 경험을 이용자가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경험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를 연구자는 보이드(Void)공간이라고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화된 복합상업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대상공간을 보이드(Void)공간으로 설정하고 그에 대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한다. 상업공간의 보이드(Void)공간은 근대적 관점인 상업적 가치로 판단한다면 비어있는 공간 혹은 죽은 공간으로 설명되겠지만 대규모화 복합화 되어가는 현대 상업공간에서는 그 설명이 달라진다. 복합상업공간의 보이드(Void)공간은 이질적 프로그램들을 밀착시키는 매개공간이며, 전이공간, 완충공간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공공성, 개방성, 주목성의 성격을 갖고 있어 공간의 활성화를 돕는데 적합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 논문으로서 복합상업공간과 보이드(Void)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자료를 근거로 쇠퇴한 복합상업공간을 선정하여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춘 보이드(Void)공간을 계획한다. 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시되는 결과물로 복합상업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보이드(Void)공간의 디자인 방법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연구 방법 및 내용 2 Ⅱ.현대 복합상업공간과 보이드(Void)공간의 이론적 고찰 및 관계 4 A.현대 복합상업공간의 이론적 고찰 4 1.복합상업공간의 등장 및 발전 4 2.현대 복합상업공간의 개념(UrbanCulturalLifestyleCenter) 7 B.현대 복합상업공간의 보이드(Void)공간 10 1.보이드(Void)공간의 정의 10 2.보이드(Void)공간의 유형 11 3.현대 복합상업공간의 보이드(Void)공간 기능 및 역할 14 Ⅲ.복합상업공간의 보이드(Void)공간 사례조사 16 A.사례조사 대상 선정 및 분석 방법 16 B.사례조사 18 1.보이드(Void)공간 비활용 사례 18 가.가든 파이브 18 나.쥬네브 19 다.현대 아이파크몰 20 2.보이드(Void)공간 활용 사례 22 가.경방 타임 스퀘어 22 나.대성 디큐브시티 24 다.신세계 센텀시티 26 C.사례조사 분석 및 정리 27 Ⅳ.복합상업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보이드(Void)공간 디자인 29 A.디자인 개요 (Background) 29 B.디자인 분석(Analysis) 30 C.디자인 기본계획(MasterPlan) 41 D.디자인 세부 계획(Drawing/Detaildesign) 50 E.디자인 최종안 78 F.디자인 종합 및 평가 81 Ⅴ.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6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166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복합상업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보이드(Void)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촌 "M" 쇼핑몰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Methods to Design Void Space for Vitalization of Complex Commercial Space: Studied on the case of Shinchon "M" Shopping Center-
dc.creator.othernameChu, Geun Young-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