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김미선-
dc.creator김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ink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responses of children regarding using the name tag, which is used to choice an interest center, by interviewing and doing participant-observation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se goals are below. 1. What do kindergarten teachers think about using the name tag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1-1. Why do kindergarten teachers use the name tag? 1-2. What problem do kindergarten teachers think concerning actually using the name tag? 2. What were responses of children regarding using the name tag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n participants of this study is 6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are handling 24 children who are 5 years in G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In-cheon. Research methods are interview and participant-observation. 6 interviews for teachers and 21 participatory observation for children were conducted from March 26, 2012 to April 30, 2012. Contents of research methods is recorded through videography, audio tape records and field note recor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ncoding and categorizing according to Bogdan and Biklen(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That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about using the name tag, which is used to choice an interest center,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re as follows. The reason for using the name tag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is to prevent conflict between children by limiting the number in an interest center.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the name tag, which is related to planning of the play for the children, was helpful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play which is planned by children. Furthermore, kindergarten teachers looked forward to revitalizing the play for children by using the name tag and kindergarten teachers used the name tag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name tag was used naturally. However,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variety of problems regarding actually using the name tag for the Free choice activities.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the rule, the name tag was used, was excessive and was for the teachers instead of the children. Besides,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children was nervous in order to obey the rul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Moreover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play for the children can be limited through the name tag and that violating the rule for the free play is a problem. The responses of children concerning using the name tag, which is used to choice an interest center,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re below. According to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teachers, children used the name tag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moderate number in interest centers was distributed and controled through the name tag. Children could select the play, children wanted truly, and could practice the planed play by themselves and could experience the various play by exploring interest centers carefully. However, atmosphere of the classroom was competitive because of conflicts between children who wanted to go into an interest center. The free play for the children was limited by the rule in relation to the name tag. Therefore, the children couldn't do the play that they wanted because an interest center was full and this situation made the play be disturbed during the class and children monitored each other whether the name tag was attached or not. In addition, children couldn't do integration activities by using the name tag in interest centers.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children practice the free play while children violate the rule be associated with using the name tag in the class.;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을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가? 1-1.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실제 사용함에 있어 교사가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인 지역 유치원에 재직 중이며 만 5세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 6명과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G유치원의 만 5세 학급 유아 24명이다. 연구 방법은 면담과 참여관찰로써, 2012년 3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6회의 교사 면담과 총 21회의 유아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 및 참여관찰 내용은 비디오 촬영, 오디오 녹음 및 현장 노트 기록을 통한 전사로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Bogdan과 Biklen(2011)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해 교사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가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하는 이유는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통해 흥미영역의 인원수를 제한함으로써 유아들 간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서였으며, 교사들은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가 유아의 놀이계획과 연계되어 유아 자신이 계획한 놀이를 인식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함으로써 유아들의 놀이가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었고,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는 당연히 사용해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가졌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실제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사용함에 있어서 교사는 다양한 문제점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들은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하는 규칙이 유아들을 위한 규칙이 아닌 교사들을 위한 규칙이며 과용된 규칙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규칙을 지키느라 유아들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불필요한 긴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통해 유아들의 자유로운 놀이가 제한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유아들이 자유로운 놀이를 위해 규칙을 위반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유아들은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하는 교사의 교육적 의도를 실현하고 있었다. 즉,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통해 흥미영역의 적정 인원수가 분배·조절되었고, 유아가 흥미영역을 신중하게 탐색함으로써 자신이 진정으로 할 놀이를 선택하였으며, 자신이 계획한 놀이를 잘 실행하고, 다양한 놀이 경험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자신이 원하는 흥미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유아들 간의 경쟁으로 경쟁적인 교실 분위기가 유발되었고,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와 관련된 규칙에 의해 유아들의 자유로운 놀이가 제한되고 있었다. 즉, 흥미영역 내 정해진 인원이 모두 들어가 있어서 유아가 원하는 놀이를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겨났고,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때문에 놀이를 진행하고 있는 중간에도 방해를 받는 상황이 생겨났으며, 유아들은 서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의 부착여부를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부착함으로써 유아가 흥미영역 간 통합 활동을 할 수 없게 되는 상황 또한 생겨났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과 관련된 교실 내 규칙을 위반하면서 자유로운 놀이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4 C.용어의 정의 4 Ⅱ.이론적 배경 6 A.자유선택활동의 개념과 의의 6 1.자유선택활동의 개념 6 2.자유선택활동의 의의 7 B.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의 운영 9 C.관련 연구 12 Ⅲ.연구방법 16 A.연구 참여자 16 1.연구 참여자 선정 16 2.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8 B.자료 수집 19 1.예비 연구 20 2.본 연구 21 C.자료 분석 22 Ⅳ.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 24 A.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사용하는 이유 24 1.흥미영역의 인원수 제한 24 2.놀이 계획의 인식 및 실행 27 3.놀이의 활성화 28 4.당연히 사용해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 29 B.흥미영역 선택 이름표를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교사가 느끼는 문제점 32 1.과용된 규칙 32 2.자유로운 놀이의 제한 34 3.규칙의 위반 39 Ⅴ.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아의 반응 42 A.흥미영역 선택 이름표의 교육적 의도 실현 42 1.흥미영역의 인원수 분배 및 조절 42 2.흥미영역의 신중한 선택 및 이동 43 3.놀이 계획의 실행을 위한 도구 45 4.다양한 놀이의 경험 47 B.경쟁적인 교실 분위기 유발 49 C.자유로운 놀이의 제한 53 D.자유로운 놀이를 위한 교실 내 규칙 위반 64 Ⅵ.논의 및 결론 68 A.논의 68 B.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7 부록 81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43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ink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Responses of Children about Using a Name Tag, which is Used to Choice an Interest Center,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Kim, Mi Seon-
dc.format.page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