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일의 목적/의미 및 부모지지와 구직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itle
일의 목적/의미 및 부모지지와 구직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s Purpose/Meaning, Parental Support and Job Search Behavior
Authors
장수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4학년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이고 의미 있는 구직행동을 하도록 진로상담 할 때에 고려해야 하는 변인들을 제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성별 차이 및 각 변인들이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구직행동에 기여하는 변인으로, 일을 자신의 삶의 목적과 연결시키는 ‘일의 목적/의미’와 개인 외적 변인으로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지지’, 그리고 필요한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해 나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20여개 대학의 4학년 남녀 대학생 997명(남학생: 500명, 여학생: 49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구직행동 척도, 일의 목적/의미 척도, 부모지지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은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행동, 일의 목적/의미, 부모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일의 목적/의미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남녀 집단 모두 일을 자신의 삶의 목적과 보통 이상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구직행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었고, 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부모지지를 더 높게 지각했다. 둘째, 일의 목적/의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일의 목적/의미와 구직행동 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이는 자신의 일을 자신의 삶의 목적과 연결시키는 경향이 직접적으로 구직행동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부모지지와 구직행동과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효과크기가 크지는 않지만, 대학생에게도 여전히 부모지지가 중요한 자원이며, 구직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에서 진로 목표 설정과 진로관련 행동을 동시에 발달시키는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그 중에서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는데, 진로 상담에서 고려해야하는 몇 가지 중요한 함의가 있다. 첫째, 여학생 집단이 일을 자신의 삶의 목적과 의미 있게 연결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구직활동은 덜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여학생의 진로상담에서는 일의 목적/의미의 강조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구직행동을 하도록 구체적인 안내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둘째, 일의 목적/의미와 구직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구조적 관계검증을 통해, 진로상담에서 일의 목적과 의미뿐만 아니라, 진로에 대한 자신의 행위를 조직해 나갈 수 있다는 믿음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까지 함께 고려해야, 실제적인 구직행동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일의 목적/의미와 구직행동을 연결하려는 시도를 통해, 진로 상담이 단순히 취업성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직업 만족 및 삶의 만족과도 연결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지지와 구직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구조적 관계검증을 통해, 대학교 4학년에게도 여전히 부모지지는 구직행동을 하게 하는 중요한 자원인 것을 검증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가족 중심적인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 영향력일수 있다. 따라서 부모지지가 적은 영향력이긴 하지만 여전히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진로상담에서 부모지지를 탐색 및 활용하여, 구직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This study suggested a few variables for realistic and meaningful job search behavior, considering career counseling for senior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gender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nd the causal structural model that each variable make an effect on job search behavior. So this research model hypothesized that work’s purpose/meaning and parental support would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nd CDMSE would mediate in the relationship not only work’s purpose/meaning and job search behavior, but also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job search behavior. Participants were 977(male: 500, female: 497) college students in seoul, capital area and meta city, analyzed for the research model. The statistical package SPSS/PC V.18 and AMOS V.18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test among the variables shows that work’s purpose/meaning has not group difference in gender. But the result of job search behavior, parental support and CDMSE revealed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oy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se variables than girls. Second, the result of causal structural model show that CDMSE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work’s purpose/meaning and job search behavior. Third, the result causal structural model show that CDMSE has a par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job search behavior. This study emphasis on integrated approach in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th career goal setting and behavior related career. Focused which variable effect on job search behavior, there i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in career counseling for realistic and meaningful job search behavior. First implication in career counseling for girls is that emphasis on not only work meaningful connected with her life purpose but also realistic job search behavior. Second implication in career counseling is that care about not only work’s purpose and meaning but also CDMSE, if they are both satisfied, it could effect realistic job search behavior Third implication is that even though they are college students still parental support is important resource for job search behavior. It may be because of the unique of Korea culture, powerful family relationship and influence. Thus, it is more helpful intervene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 in career counse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