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청소년동반자의 성격 5요인 및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Title
청소년동반자의 성격 5요인 및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on Effect of Youth Companions's Calling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environment with Burnout
Authors
임정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2005년 시범 운영되기 시작하여 2012년 현재 8년째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의 청소년동반자는 상담과 복지가 결합된 복합적이면서도 전문적인 역할과 직무기대를 요구받는 상담집단이다. 전통적 심리 상담 모델이 찾아오는 내담자에 대한 개입이었다면, 청소년 동반자는 고 위험 청소년 집단을 직접 찾아가서 개입하는 모형이다. 이와 같은 전통적 상담 모델에서 벗어난 청소년 동반자가 경험하는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소진에 대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있었다. 그러나 국내의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의 짧은 역사 만큼이나 아직 청소년 동반자의 심리적 소진과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변인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소진의 변인으로 청소년동반자의 성격요인과 환경변인인 직무환경위험변인에서 소명의식과 집단자존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전국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현재 근무하는 청소년동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89부의 설문지를 우편 및 메일, 그리고 직접방문 등의 형식으로 배포하여 총 268부가 수거되어 약 68%의 수거율을 보였으며, 이중 미완성본을 제외하고 총 26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개인 성격 변인에서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변인은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이었으며, 이 중 신경증은 청소년 동반자의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위험요인의 4가지 하위요인인 도전기회부족, 역할과다, 역할갈등, 역할모호 모두가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성격변인 중 외향성, 성실성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도 소명의식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넷째, 성격 5요인 중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며, 직무환경위험요인에서는 도전기회부족, 업무갈등, 직무환경위험요인 전체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도 집단자존감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환경위험요인의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와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자존감이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소진에 있어 청소년 동반자의 성격변인(외향성과 성실성, 신경증)과 직무환경위험요인을 부분 또는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다.;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youth companions's calling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environment with burnou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4 youth companions working in the youth companion program at public institu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 through direct visit, mail, or e-mail. In summary of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youth companions's call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burnout, did not play as any mediator role o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environment with burnout. Secondly, youth companions's collectiv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burnout, also, played as mediator on extrovers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factors of five personality factors. Lastly, youth companions's collectiv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burnout, also, played as mediator on whole of job environment and lack of challenge, conflict in roles of job environment. Specially, youth companions's collective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confusion in roles of job environment and burn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