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우식-
dc.contributor.author한진영-
dc.creator한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한 마을에 모여 살고 있는 친족 공동체 연결망 내의 신뢰에 귀속 지위와 성취 지위가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난 50년간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농촌의 인구는 급속히 감소하였고 농촌은 위기를 맞이했다. 이로 인하여 농촌에 기반을 두고 부계혈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전통적인 가족 형태는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가족의 범위 또는 의미가 달라졌는데 이는 결국 가족 및 친족 내에서 신뢰가 변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사회에서 가족 및 친족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면서 정치적인 기능, 경제적인 기능 그리고 사회 안전망의 역할 등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 및 친족 집단을 하나의 연결망으로 보고 이를 분석 대상으로 다루는 연구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마을에 살고 있는 가족 및 친족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가족 및 친족 집단에서 발생하는 신뢰에 귀속지위와 성취지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서 연결된 결점의 수를 알 수 있는 연결망 변수인 연결 중심성을 사용하였다. 중심성은 연결 망 내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며 권력과 영향력이라는 개념과 연결되어 많이 쓰이고 있다. 연결 중심성에는 선택을 받는 내향 연결 중심성과 선택을 주는 외향 연결 중심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택을 받는 점에 집중하여 내향 연결 중심성을 사용한다. 신뢰받는 사람으로 선택되는 것은 연결망 내 행위자의 인기 정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신뢰를 전반적 신뢰와 영역별 신뢰로 나눈다. 영역별 신뢰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특성 의존적 신뢰, 관계 의존적 신뢰, 과정 의존적 신뢰, 능력 의존적 신뢰 그리고 제도 의존적 신뢰로 나누었다. 특성 의존적 신뢰는 4촌 이상의 확장된 가족에 기반을 둔 신뢰이고, 관계 의존적 신뢰는 4촌 이내의 가족에 기반을 둔 신뢰이다. 과정 의존적 신뢰는 반복적인 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평판에 기반을 둔 신뢰이다. 능력 의존적 신뢰는 자원 소유 및 동원 능력에 기반을 둔 신뢰이다. 제도 의존적 신뢰는 공식적인 제도 특히 정부에 기반을 둔 신뢰이다. 중심성의 측정을 통해서 가장 신뢰받는 인물을 알아보고, 가장 신뢰받는 인물의 특성을 통해서 신뢰의 성격을 알아본다. 그리고 신뢰에 귀속 지위와 성취지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회귀분석을 통해서 알아본다. 연결망 분석은 UCINET 6.0을 사용했고, 일반적인 통계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인 가족에 대한 특정화 된 신뢰와 사회에 대한 일반화 된 신뢰가 과거에 비해서 현재에 그 정도가 근소하게 낮아졌다. 사람들은 감정적인 지지를 보내는 사람과 친구 관계를 맺고 평판이 좋은 사람을 신뢰하지만 동시에 경제적인 도움을 주는 사람과 친구 관계를 맺고 제도적인 자격이 있는 사람을 신뢰한다. 그러나 여전히 가족 및 친족은 신뢰를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둘째, 귀속 지위와 성취 지위는 과거와 현재 모든 시점에서 영향을 주고 있다. 사회는 일반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귀속 지위가 강하게 영향을 주고 어느 시점에서 성취 지위가 강하게 영향을 주는 극단적인 대비는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귀속 지위는 상대적으로 과거의 시점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고, 성취 지위는 상대적으로 현재의 시점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위와 신뢰와의 관계에서 현재로 올수록 상대적으로 신뢰에 대하여 여성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과거의 시점에서는 남성이 더 신뢰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의 시점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직업 변수 중에서 모두 여성으로 이루어진 주부가 현재에서 더 신뢰받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가족 및 친족 집단을 연결망으로 보고 그들 사이의 신뢰의 기반이 무엇이며 그에 대한 지위의 영향이 어떠한지 밝히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한정된 지역을 보는 미시적인 연구이다. 미시적인 연구는 거시적인 연구의 바탕이 되기도 하고 이를 통해서 거시적인 모습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지역만을 보기 때문에 일반화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도시 지역으로 논의를 확장시키기에 무리가 있다. 둘째, 자료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적으로 응답자의 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의 기억은 재구성되고 현재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scribed status and achieved status in the network on family community. Over the past fifty years,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caused drastic decrease in population in the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family unit based on the rural communities and paternal blood relative had to be changed. Hence, because of change, the domain and meaning of the family altered. This meant that trust also had to be changed within the core family and relatives. In Korean society, the core family and its relatives has a special meaning and takes important roles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welfare part. relatively however, there are a few research in the family of network. So my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network of family and relatives the object of study and find out the effects between ascribed status and achieved status, in regards of trust in network of family and relatives.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rust, I use the degree centrality. The degree centrality calculates and shows me the number of ties about the actors. The actors who have many ties to other actors may be positioned in the center and have power. There are two types of 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and in-degree centrality. As such, my main focus on this study is in-degree centrality. Because if actors receives many ties, they are often said to be prominent, or to have high prestige(Hanneman & Riddle, 2005). I categorized the general and domain trust. The domain trust classifies five kinds of trust, characteristic-based trust, relational-based trust, process-based trust, capability-based trust and institutional-based trust. Characteristic-based trust is based on family especially the extended families like relatives. Relational-based trust is based on family especially narrow family. Process-based trust based on reputation. Capability-based trust is based on ability. Institutional-based trust is based on institution, the government. I researched whose most likely be trusted people by measuring in-degree centrality using UCINET 6.0. Moreover, I checked the character of trust through and how ascribed and achieved status influence on trust by analysing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ust of family and the relatives decrease slightly in comparison in the past. They want to be friends who supports their emotion and trusts people who has high and good reputation. But ironically, they want to be friends who supports their economic help and trusts people who guarantees this by the institutions like certificate. Nevertheless, the roles on important of family and relatives is trust. Second, ascribed and achieved status influences the trust on both the past and the present. Generally, because society changes constantly,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Simply, ascribed and achieved status have little effect on the past and present. Third, femal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rust especially in the present. In the past, males have affected the influence on trust. But it is no the case in the present. However, housewives who are all female gain the actors trust. This article, therefore,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regarding family and relatives as a network in social network analysis. Despite these contribu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this study aims on very small families in rural regions, it is hard to be generalized. Such the data depends on only people's memory. In conclusion, despite of some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rust and status in family community. It revealed that status influences on trust and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6 A. 신뢰 6 1. 신뢰의 개념 6 2. 신뢰의 구성요소 9 3. 신뢰의 기능 및 중요성 10 4. 신뢰의 생산방식 11 B. 사회연결망과 중심성 14 1. 사회연결망 14 2. 중심성 16 가. 중심성의 개념 16 나. 중심성과 신뢰와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17 C. 지위 18 1. 귀속지위와 신뢰와의 관계 19 2. 성취지위와 신뢰와의 관계 20 Ⅲ.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22 A. 연구문제 22 B. 연구방법 27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7 가. 귀속지위 27 나. 성취지위 27 다. 신뢰 28 2. 조사방법 및 분석 방법 33 가. 자료수집 33 나. 연구대상 34 다. 분석방법 36 3. 조사도구 36 Ⅳ. 신뢰의 특성 41 A. 인구 통계학적 배경 41 B. 일반화 된 신뢰와 특정화 된 신뢰의 측정 44 1. 사회와 가족에 대한 신뢰 정도 측정 44 2. 사람을 사귀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비교 45 3. 사람을 신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48 가. 사람을 신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비교 48 나. 사람을 신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의 세대 간 차이 51 4. 소결 53 C. 전반적 신뢰와 영역별 신뢰의 특성 54 1. 전반적 신뢰 54 2. 영역별 신뢰 58 가. 과정 의존적 신뢰 58 나. 특성 의존적 신뢰 60 다. 관계 의존적 신뢰 65 라. 능력 의존적 신뢰 68 마. 제도 의존적 신뢰 71 3. 신뢰 간의 연관정도 분석 73 4. 소결 78 Ⅴ. 신뢰와 지위 80 A. 지위와 신뢰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80 1. 전반적 신뢰 82 2. 영역별 신뢰 86 가. 과정 의존적 신뢰 86 나. 특성 의존적 신뢰 89 다. 관계 의존적 신뢰 94 라. 능력 의존적 신뢰 96 마. 제도 의존적 신뢰 101 3. 지위와 신뢰 간의 대응 분석 103 B. 소결 106 1. 회귀분석의 결과 106 2. 변수의 신뢰에 대한 영향력 정도 정리 107 3. 연구문제의 확인 114 가. 연구 문제의 확인 114 나. 가장 신뢰받는 인물 117 Ⅵ. 결론 120 A. 요약 및 결론 120 B. 논의점 123 참고문헌 125 국내문헌 125 국외문헌 129 부록-1 133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09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친족 공동체 연결망에서 신뢰와 지위 사이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rust and Status in a Social Network of Family Community-
dc.creator.othernameHan, Jin Young-
dc.format.pagex,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