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음악(670-678) 분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음악(670-678) 분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vising for Music(670-678) field in the 5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음악 분야는 이론 중심적인 다른 학문 분야와 달리 이론에 실제가 동반되는 학문이기 때문에 문헌분류표의 주제 분야 중에서 비교적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온 분야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인 KDC에는 이론 부분에 관한 항목의 부족과 논리적 체계성의 결여, 성악 및 기악 부분의 전개구조에 대한 일관성 결여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KDC에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된 679 한국음악 및 동양전통음악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음악 분야의 전개항목에 대해 학문적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이고 확장된 분류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 분야에 관한 문헌연구와 국내외 문헌분류표 및 음악전문분류표의 비교분석, 면담조사를 통한 분류 및 이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음악대학 및 음악학부(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의 교과목에서 선정된 개론서를 바탕으로 음악의 개념 및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개론서의 목차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의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국내외 문헌분류표 및 음악전문분류표로는 DDC, LCC, NDC, CLC, BCMC를 선정하였으며, 이는 KDC 개정시 참고자료로 사용되거나 음악 분야의 주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선정된 분류표는 학문적 범주에 따라 영역별로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제시된 KDC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이론 부문의 경우에는 음악학 분야의 항목이 분산적으로 전개되어 있었으며, 음악사와 악보연구에 관한 하위 항목이 세분되어 있지 않았고 이에 대한 주기사항도 없었다. 그리고 음악이론 분야에서는 이론에 대한 전개항목이 매우 부족했으며, 음악이론 및 기법에 관한 항목이 분산되어 있거나 작곡 분야의 항목과 혼재되어 있었다. 둘째, 음악의 실제 부문의 경우에는 작곡 분야의 전개구조에서 주제 내용에 벗어난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부 항목은 학문적 논리에 맞지 않는 계층관계로 전개되어 있었다. 그리고 성악 분야에서는 예배음악(전례음악) 및 의식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는 주기사항과 세부 항목이 없었고, 서양가곡에 대한 하위 장르가 서양대중음악 항목의 주기사항에 잘못 전개되어 있었다. 또한 오페라와 뮤지컬을 학제적 특성에 맞지 않는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악 분야에서는 기악의 연주형태와 기악음악에 해당하는 항목이 학문적 분류기준의 일관성이 배제된 형태로 전개되어 있었으며, 기악음악에 대한 세부항목도 매우 미비하였다. 또한 건반악기, 전자악기, 타악기를 전개한 요목명에 전자악기의 명칭이 제외되어 있었고, 타악기의 전개항목에서는 악기분류기준이 적용되지 않은 채 일부의 종류만 나열되어 있었다. 이에 학문적 배경과 다른 문헌분류표를 참고하여 제안한 KDC 음악(670-678) 분야의 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이론 부문에서는 분산되어 있는 음악학 분야와 음악이론 분야의 세목을 각각의 해당 영역으로 이치하여 세부 항목을 추가 전개하였으며, 음악기법에 해당하는 내용을 다루는 연주 항목의 명칭을 음악기법으로 수정한 다음 작곡 분야에 혼재되어 있던 세부 항목을 변경된 음악기법 항목 아래로 재전개하였다. 둘째, 음악의 실제 부문에서는 작곡 분야에 해당하는 항목 하위에 연주기법과 음악이론에 관한 내용이 혼재되어 있어 이를 해당영역으로 이치하였으며, 편곡의 하위 항목으로 전개되어 있던 이조 항목을 학문적 근거에 따라 동일한 수준으로 구분한 다음 해당 항목을 설명하는 주기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성악 분야에서는 합창의 구체적인 연주형태에 대한 세부 항목을 추가로 전개하였으며, 예배음악(전례음악) 및 의식음악 항목 하위에 해당하는 음악을 포함주기로 기술하였다. 또한 서양대중음악의 주기사항에 잘못 전개되어 있던 하위 장르에 대해 참조주기를 사용하여 서양가곡에 바르게 분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페라와 뮤지컬에 대한 항목을 학문적 근거에 따라 재구분한 다음 해당 장르를 포함주기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악 분야에서는 분산되어 있는 기악음악을 신설된 기악합주 형식(악식) 항목 아래에 재분류하였고, 부족했던 기악음악을 보완하기 위해 세부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기악의 연주형태는 논리적 계층성에 따라 재전개하였다. 그리고 전자악기에 해당하는 항목이 전개되어 있는 요목에 전자악기의 명칭을 추가하였고, 타악기에 학문적 악기분류기준을 적용하여 하위 범주를 설정한 다음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타악기의 종류를 주기사항으로 기술하였으며, 타악기에 해당하지 않는 악기의 종류를 해당 악기군에 분류할 수 있도록 주기를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제시된 수정전개표(안)은 실무의 자료조직 담당자와 학계의 분류이론 및 음악 분야 전문가에게 실효성과 타당성을 확인받았으며,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안된 수정전개표(안)은 학문적 특성 및 범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논리적 체계성에 맞지 않았던 구조적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음악 자료 분류의 타당성과 자료접근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평가받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음악(670-678)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은 학문적 논리성에 기반을 둠과 동시에 다른 문헌분류표를 비교 분석한 내용이 반영된 결과로서 앞으로 KDC의 개정작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music has raised relatively more problems in classification scheme because it is a study where theory goes along with practice unlike other studies that are just theory-centered. Especially, Korea Decimal Classification still has problems like the lack of headings and logical organization of the music theory, lack of consistency in the unfolding structure of the vocal and instrumental section, etc.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ystemic and extended classification scheme in music except for the 679 Korean music and traditional Eastern music that was recently much studied. For this matter, literature studies of the music field, analysis of national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scheme, music specified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s through interview were carried out. The literature study grasp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music based on the introductory textbooks chosen in a university's college of music, and set up the category of study based on the introductory textbook's table of contents. DDC, LCC, NDC, CLC and BCMC were chosen for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scheme and the music specified classification scheme. The chosen classification scheme are comparatively analyzed in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academic category. The problems of KDC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e musicology were dispersed in the area of music theory. The subordinate subjects were not subdivided for music history and music sheet study, and also there was no reference to the notes about it. There was also a severe lack of unfolding subjects for the theory in the music theory section. The subjects about the music theory and techniques of music were dispersed or were mixed up with the subjects of the composition section. Second, in the area of music practice there were subjects that were off topic in the unfolding structure of composition section. Some subjects unfolded in layered connections that did not go along with an academic logic. Also, there were no notes or subordinate headings to help understand worship music and ritual music in the vocal music section. The subordinate genres on western songs were wrongly shown in the notes under the western popular music. Also, opera and musical were not divided according to their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Lastly, in the instrumental section, the headings on instrument performance methods and instrumental music were unfolded without consistency in terms of standard academic classification. The subordinate headings on instrumental music were also very poor. Also, the unfolding list on keyboard instrument, electronic instrument and percussion instrument had no names for electronic instruments and for percussion instruments' unfolding headings, instrumental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not applied. The academic background and revising for KDC music(670-678) filed made by referring to other classification schem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usic theory section, the dispersed musicology section and music theory section were put into their proper section with the subordinate headings added. The contents that were relevant to techniques of music but were named as performance headings were fixed to be named as techniques of music. Then the subordinate headings that were mixed up with the composition were put under the revised techniques of music. Second, in the music practice section, the mixed contents of techniques of music and music theory in the subordinate section to the composition were sorted out and were put under their proper places. The transposition headings that were under the arrangement headings were divided equally according to scientific evidence and the notes were added. Also, in the vocal section, the subordinate headings about the performance methods in chorus were added, along with notes to worship music and ritual music. The subordinate genres that were wrongly put under the western popular music were righty classified under the western song music by adding notes. The headings of opera and musical were resorted out according to academic grounds and the relevant genre was suggested to be an notes. Lastly, in the instrumental section, the dispersed instrumental music was resorted out under the new instrumental forms headings. Subordinate headings were added to supplement the lack of instrumental music and the instrumental performance methods were reapplied in a logical order. Also, the names for electronic music were added in the list that was related to electronic music. The academic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applied to percussion instruments, and subordinate areas were chosen so the types of percussion instruments that fit into each area were put in as notes. Notes were added so types of instruments that were not relevant to percussion instruments could be put into its relevant instrument section. The amendments that was sugges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evaluated on effectiveness and validity by the person in charge of data organization work and the professional for classification theory in the academia. As the amendments had evidence based on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ategory, it was evaluated to raise the validity in music data classification and the efficiency in data access because it solved the structural problem of not fitting to the logical schemes. The amendments of the music(670-678) filed tha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y used as resources to revise the next version of KDC because it is based on academic logic and also reflects results from analysis of other classification sche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