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피터 브뤼겔의 농민화 연구

Title
피터 브뤼겔의 농민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asant Painting of Pieter Bruegel : with Focus on Urbanites' Eyes
Authors
전수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본 논문은 16세기 플랑드르 화가 대(大) 피터 브뤼겔(Pieter Bruegel the Elder, 1524/30-1569) 회화의 농민화에 관한 연구로, 사회사적 관점에서 16세기 플랑드르 지역에 등장한 초기 장르화의 부상과 후원자들과의 관계를 조명하고 있다. 이는 최근의 연구와 같이 화가 브뤼겔 자신이 흔히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농민 출신이 아니라 도시의 지식인이었다는 점을 전제로 출발하였다. 즉 1970년대 스베틀라나 알퍼스(Svetlana Alpers)의 연구를 근간으로 하여 도시의 후원자들 사이에서 농민화 유행하게 된 이유와 작품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후원자의 관점에서 브뤼겔 작품의 주문자들은 해상무역을 통해 부유해진 16세기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대도시 출신들로 당시 사회를 주도하던 인문학자들이었다. 그들은 복잡한 도시를 떠나 전원생활을 동경하여 시골에 별장을 소유하거나 주말여행으로 시골마을을 방문하여 노동하는 농민의 모습과 마을 축제를 구경하며 이와 같은 모습을 담은 그림을 소유하기를 원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충족 시켜준 대표적인 화가가 바로 브뤼겔이었다. 양식사적인 관점에서 브뤼겔은 파노라마적인 풍경화를 배경으로 노동하는 인간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이는 브뤼겔이 16세기 플랑드르의 풍경화를 선도한 요하임 파티니르(Joachim Patinir)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월별노동 장면을 대 자연과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한편 축제 모티프는 시골마을을 배경으로 광장에서 축제를 즐기는 농민들의 모습이 외설스러울 정도로 과감하게 사실적으로서 표현되고 있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전원 산책’이라는 도시민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반영으로 도시민의 시선을 통해 표현된 민속학적 사실주의로 설명이 된다. 즉 농민들의 축제 전통을 도시의 후원자들에게 회화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바로 브뤼겔의 농민화이다. 이러한 농민들의 노동과 축제의 모티프를 담은 회화는 후원자들의 로마식 빌라의 다이닝 룸에 걸렸는데 이들에게 농민의 노동은 음식의 생산으로, 축제는 만찬의 의미로 읽혀졌다. 이곳에서 후원자들은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는 ‘저녁 만찬’을 가지면서 브뤼겔의 회화가 의미하는 인간의 숭고한 과업인 농민들의 노동과 자유로운 농민들의 생활과 축제를 담은 그림들을 애호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당시 농민화의 기능과 입지는 브뤼겔의 후원자인 니클래스 용겔링크(Niclaes Jongelink)와 얀 누와르(Jan Noirot)의 재산목록을 통해 확인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사적 관점에서 브뤼겔의 농민화가 16세기 근대화로 변화된 도시민들의 세계관과 복잡한 도시생활에 대한 반작용의 산물이며 그들의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의 회화적 표현이었음을 밝히고 있다.;This study is on study the peasant paintings by the Pieter Bruegel the Elder(1524/30-1569),a 16th century Flemish painter, and its relationship with patrons related to appearance of early genre paintings in Flandre region in the 16th century from the viewpoints of social and mode history. This study started under the premise that Bruegel himself was a urban intellectual, not peasant class, as studied recently. Namely, Reasons for the peasant paintings having been in fashion among patrons in cities together with functions of the work were considered by applying in a broader social context by Svetralna Alpers in 1970s. Bruegel's patrons were from large cities representing 16th century Flandre that became rich through oversea trade, and furthermore they were humanist that liberal arts scholars leading their society at the time. This Bruegel's rich patrons desired for rural life outside of the complicated cities to own a villa in a countryside or to visit a country village for the weekends watching the appearance of laboring peasants and village fairs, and wanted to own paintings containing such scenes. This representing case was Bruegel's peasant painting. In the aspect of style Bruegel represented laboring peasant in the background with panoramic landscape. This is under a strong influence from composition by Joachim Patinir of his country's landscape master and Bruegel expressed within enormous nature and peasants' labor through medieval traditional icons of monthly labor as a human task. In the meanwhile, the village fair motif is indicated by festive peasant resolutely obscene with realistic expression. This is explained by folklore realism focus on urbanites' eyes that reflected urbanities's leisure calling 'walking countryside. In other words, Bruegel's peasant painting is conveying peasant's festive tradition to patrons who living urban cities. With such backgrounds, peasant paintings containing motifs of peasants' labor and a fair came to be hung in patrons' dining rooms according to the rules for interior decoration for their Roman-style villas, which was due to peasants' labor being read as production of foods and a fair as meaning of banquet. In this place, the patrons came to have 'dinner banquet' mutually sharing their knowledge and like paintings holding peasants' labor according to the knowledge of Stoic philosophy and life and fairs of peasants yearning for rural life. Such position of peasant paintings at the time could be demonstrated through asset lists of Niclaes Jongelink and Jan Noirot who were Bruegel's patrons. In its final, this study is presenting in aspect of social historical that Bruegel's peasant painting is the results of urbanities's changed world view from modernization and reaction of complicated city. And these paintings are pictorical expression of urbanities's desire to rural country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