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문신영-
dc.creator문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70-
dc.description.abstract제석천도는 제석천 신앙의 주존을 그려놓은 불화의 하나로 제석천이 한반도에 수용된 이후 제석천은 불교미술로 꾸준히 표현되어 왔다. 제석천 신앙은 삼국 이래 왕실이 중심이 되어 신앙 행위가 이루어졌다. 제석천은 왕권을 비호해 신력을 내려주거나, 또는 국난 시 재난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가졌다. 또한 불교 내에서는 부처의 설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제석천 신앙은 왕실을 중심으로 하여 궐내에 신앙의 공간인 제석원 또는 제석사가 지어졌다. 고려 때는 제석천 신앙에 무병장수라는 또 다른 역할을 부여하면서 일반에게까지 그 신앙이 더욱 확산되었다. 조선은 성리학 중심으로 그 전과는 다른 사회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궐내에 있는 내제석원이 타파되고, 더 이상 왕실에서는 제석천 신앙을 믿지 않았다. 국가에서 행하던 불교의례들도 점차 그 수가 줄어들면서 불교 신앙의 주체가 민중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간행된 제반문류 의식집에서는 제석천에 관한 의식을 적은 「제석청」부분이 있으며 제석천을 호국안민과 무병장수의 성격으로 언급하고 있다. 양대 전란 이후 불안한 사회와 민심은 기복적이고 현세적인 신앙에 기대게 되었다. 그 중 기복적이고 주술적 성향의 신중신앙이 크게 성행하게 된다. 신중신앙은 제석천을 비롯한 범천, 위태천, 예적금강 등의 여러 신들을 모셨는데 제석천이 당시 크게 성행한 신중신앙의 천부신으로써 그려지면서 제석천 신앙 자체의 중요도가 약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제석천도에서는 제석천이 의자에 앉은 자세로 그려지고, 치전장식이 달린 화려한 천부인의 복식을 입고 있다. 이러한 제석천도의 이른 예로는 고려후기 때 그려진 두 점이 전해진다. 고려 후기 당시 그려진 제석천도는 원 도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 도교의 이미지 중 하나로 차용된 수미산 부채는 조선 후기 제석천도와 신중도 중에서도 종종 보인다. 18세기 제석천도의 제작은 전에 비해 활발해 진 것으로 보이는데, 현존하는 제석천도의 수량 가운데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조선후기 제석천도는 주로 사찰의 법당 안 우측 혹은 좌측의 중단에 안치되어 예불의 대상이 되어왔다. 18세기 제석천도는 많은 수의 제작이 이루어지고 또 도상과 형식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다양성이 유지되었다. 특히 지물에 있어서는 수미산 부채와 연꽃, 모란 등이 선택적으로 그려졌으며, 지물을 들지 않는 수인의 자세도 18세기 전반에 자주 그려졌다. 이러한 도상은 19세기에 이르면 어느 정도 정착되어 지물로는 연꽃이 빈번히 사용된다. 또한 19세기에는 하은당 응상이 제작한 제석천도 유형의 모본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형식에 있어서도 고착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는 신중도가 크게 성행한 시기로 제석천도에도 신중도의 표현방식이 영향을 미쳐 권속의 수 증가 등의 모습도 보여준다. 신중도 제작이 이루어지는 초기에는 ‘제석신중도’ 라고 화기 내에서 명칭이 사용되어질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음이 틀림없다. 그러나 신중신앙의 성행과 민간신앙과의 결합 등 신중신앙의 성격이 더욱 기복적이고 더욱 현세적으로 변함에 그러한 성격이 잘 드러나는 산신이나 조왕신 같은 민간신이나 예적금강과 같은 새로운 신 등이 등장한다. 그 결과 제석천의 중요도가 약화되는 양상을 가져오게 된다. 신중도 안에서도 제석천은 천룡부중인 위태천과 비슷하게, 혹은 위태천이 더 크게 강조된다거나, 예적금강과 함께 그려질 때는 그의 협시와 같이 합장을 하고 왜소하게 그려지게 되는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제석천 신앙의 하락은 제석천도의 형식이 무속의 제석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제석천 신앙의 민간으로의 확장으로 여겨볼 수 있다. 제석무신도는 몇 가지의 형식으로 그려지는데, 그 가운데 한 형식이 하은당 응상의 제석천도 형식에 기반은 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불화 제석천도의 무속으로의 영향은 제석천의 현세 이익적이고 구복적 성향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선말기 제석천도가 신중신앙의 성행에 밀려 중단 신앙으로써 입지가 약해지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불화의 제석천도의 제작은 제석무신도로 이동하면서 점차 소멸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이해된다.;Sakra devanam indra painting is one of Buddhist paintings that portrayed the object of the Sakra belief. Since this Sakra was adopted to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constantly depicted in Buddhist paintings. The royal court took the Sakra belief since the three-kingdom period started and this religious ceremony was conducted by the royal. The Sakra’s role was to protect the king’s power and to give the divine power of god to the king. Also the Sakra was believed to protect the country from the problems or disaster. The Sakra guarded the Buddha’s preaching within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people found health and longevity from the Sakra belief and this belief became popular.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the Neo-Confucianism was flourished and the atmosphere of society has been changed. At the end, the royal stopped believing the Sakra belief.Buddhistic rituals that were held by government had decreased gradually and the main entity of Buddhist religion was shifted to people. TheSakra ceremony has been found in Buddhist ritual proceedings that were prin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Buddhist ritual proceedings described Sakra as the object to promote the national interests and to provide the welfare for people. Also it is noted as good health and long life. After the war, people were scared from unstable society and they tended to rely on the luck and focused on the religion that wishes current life’s comfort rather than future’s. Among new religions, the Guardian belief that was focused on luck and sorcery became widespread. The Guardian belief deified several gods such as Sarka, Brahma, Skanda and Ucchusma. The Sarka was perceived as a god of the sky (天神) that was the most popular belief and the Sarka became weakened its importance as a religion. Generally, the Sakra was portrayed as a sitting figure in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The Sakra was also shown in the fancy dress like the god of the sky’s one. This dress was luxurious as much as majesty’s outfit. There are two paintings of the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that were drawn in the late Koryo dynasty. Taosim influenced in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that were painted in the late Kyoro dynasty. Especially, the image of Mt. Sumeru that was derived from Taoism was often found on the fan with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and this image was also shown in Guardian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8C, a massive number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were printed. Also images and structures were varied in some degree. Particularly, the figure without holding any object was easily found in the early 18c and Mt. Sumeru fan, lotus and peony were also found in some paintings. The image became settled in 19C and the lotuses were often shown in plantings. Copies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that were produced by Eungsang were spreaded out nationally in 19C. Also the structure became set. At that time, Guardian paintings were very popular and it made influence on the expression style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As a result, the number of figures was increased on paintings. In the early period of Guardian paintings making, the Sakra was called as a Sakraguardian painting and the Sakra became the most popular style. However, the Guardian belief’s strong influence and folk belief were influenced in the Sakra. As Guardian belief started focusing on current life and luck, new gods such as popular god and Ucchusma were introduced. As a result, the Guardian belief began to lose its importance. Among guardian paintings, the Sakra was transformed into the new style. It showed lots of similarity with the Skanda. In some of paintings, the Skandawas depicted bigger than the Sakra. When the Sakra was shown with Ucchusma, it put its two hands together and was portrayed as a small figure. The downward trend of the Sakra caused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and this transition influenced to shamanism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The impact of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in Buddhist arts made shamanism focus on current world’s benefit rather than next life and it also let shamanism have the subsistence tendency. At the same time, Guardian belief became stronger than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became weaken their influences.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producing in Buddhism were transferred shamanism’s Sakra devanam indra Paintings and it became extinct by degre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조선시대 제석천 신앙의 기원과 전개 5 1. 제석천 신앙의 시작 5 2. 조선시대 제석천 신앙과 성격 11 3. 제석천도의 성립과 변천 19 Ⅲ. 조선후기 제석천도 도상의 특징과 변화양상 30 1. 단독의 제석천도 30 2. 신중도 속 제석천의 등장과 전개 41 (1) 제석천과 위태천 44 (2) 제석천과 범천 46 (3) 제석천과 예적금강 49 Ⅳ. 조선후기 제석천도 의미와 제석무신도와의 관계 53 Ⅴ. 맺음말 60 參考表目錄 63 參考表 64 參考文獻 67 圖版目錄 75 圖版 80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4937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 후기 제석천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akra devanam indra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Moon, Shin Young-
dc.format.pagev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