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9 Download: 0

여고생의 화장행동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여고생의 화장행동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igh-school Girl Students' Make-up Behavior
Authors
구민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본 연구는 자신의 신체와 외모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기, 특히 여고생의 화장행동특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화장 실태와 화장행동이 학생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 올바른 자아개념을 갖게 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화장에 대한 태도와 화장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본다. 둘째, 여고생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가족관계, 학교생활에 따라 화장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다. 셋째,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자아이미지, 이상적 자아이미지, 외모관심도에 따라 화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의 일반 공·사립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00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추출은 강남, 강서, 강북 지역의 각1개교를 중심으로 선정,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특성과 자아에 대한 지각 특성, 그리고 사회 인구학적 특성, 학교특성, 가족특성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외모관심도는 평소 외모에 관한 본인의 생각과 외모관심도에 따른 행동 유형, 화장품에 관한 본인의 생각과 관심정도에 관한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화장행동특성은 화장여부, 외모관리행동, 화장이유, 화장 강조부분, 화장정보 습득원, 화장품 구입 장소, 화장품 선택 기준, 화장품 구입 시 피부타입 고려여부의 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아에 대한 지각 특성은 자아관, 자아이미지, 이상적 이미지의 세부영역으로 나누어지며 자아관은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서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아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는 평소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로 평가하고 있는지와 남이 보는 이미지에 관한 측정으로 현실적인 자아와 이상적인 자아로 구분하여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학생연령, 부모님 연령, 부모님 학력, 부모님 직업, 한달 용돈의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학교생활특성은 학교에서 담임선생님과의 사이, 학교에서 친한 선생님 유무, 동성친구들과의 사이, 이성 친구 유무,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사이, 학업 성적의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가족생활특성은 가족상황, 부모님과의 사이의 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cording)과 오류 검토작업(erroe cheking)을 거친 후 SPSS for windows ver.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카이스퀘어()검정,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 상관분석,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외모관심, 화장관심이 모두 평균값 보다 높게 나왔지만 상대적으로 외모관심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외모관리 행동 중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옷이 220명(73.3%)으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관리 200명(66.7%), 체중조절 191명(63.7%), 화장 111명(37.0%), 기타 18명(16.0%)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 300명 중 204명 즉, 68.0%가 화장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고생들이 화장을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게 보여 지는 내 모습이 중요하다’가 43.7%를 차지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 만족을 위해서 한다’가 42.0%, ‘이성 친구에게 잘 보이고 싶다’가 15.0%를 차지하였다. 넷째, 여고생들의 화장행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장 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피부톤으로 39.0%를 차지하였으며 화장에 관한 정보 습득원은 인터넷이 34.3%를 차지하였다. 화장품 구입 장소는 화장품 전문샵이 63.0%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화장품 구입 시 선택기준은 성분 및 효능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가족 관계, 학교생활에 따라 화장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회 인구학적 특성인 한 달 용돈에 따라서 12만원 이상인 경우는 화장을 한다와 외모관리 화장이 중요하다, 화장관심도가 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관계 특성에 따라서는 화장여부나 화장관심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외모관리 화장여부에서만 한부모, 기타, 조손 가족인 경우 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생활 특성에서는 이성 친구가 있는 경우가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가 이성 친구가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자아관, 자아이미지, 이상적 자아이미지, 외모관심도에 따라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자아관에서는 긍정적 자아가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긍정적 자아관이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자아이미지에서는 자아이미지 요인 세 가지(활동적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섹시한 이미지) 중 활동적 이미지가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자아 활동적 이미지가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적 자아이미지에서는 이상적이미지 요인 세 가지(섹시한 이미지, 여성적인 이미지, 활동적 이미지) 중 이상적 여성적 이미지가 높을수록 화장여부가 높아지고 이상적 여성적, 섹시한 이미지가 높을수록 외모관리 화장여부와 화장 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화장여부, 외모관리 화장여부, 화장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dolescents, particularly, high-school girl students have right self-concept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make-up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hrough looking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tudents' make-up and the effects of their make-up behaviors on the students'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 high-school girl students enrolled in ordinary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s in Seoul. Sampling was conducted out of three schools selected from the regions of Gangnam, Gangseo, and Gangbuk, one school for each reg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for Windows ver. 12.0.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In addition, Scheffe's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showed higher-than-mean interest in both appearance and make-up, but interest in appearance was much higher. Second, it was found that what the stud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clothing (220 students, 73.3%), followed by skin care (200 students, 66.7%), weight control (191 students, 63.7%), make-up (111 students, 37.0%), and others (18 students, 16.0%). Third, it was revealed that 204 students out of the 300 stud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at is, 68.0% wore make-up. As for reasons for wearing make-up, 'My appearance shown to others is important.' (43.7%)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followed by 'For my own satisfaction' (42.0%) and 'I want to please my friend of the opposite sex.' (15.0%) Fourth, the investigation of specific make-up behaviors showed that what is most highlighted during make-up was skin tone (39.0%) and tha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make-up was the Internet (34.3%). As for places where they purchased cosmetics, cosmetics specialty shops accounted for the majority (63.0%); and as for criteria for purchasing cosmetics, it was found that ingredients and effectiveness were the most (44%). Fifth, make-up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status, and school life. As for monthly allowance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aring make-up,'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is importan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were found high in the case of '120 thousand won or mo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stat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aring make-up or not' or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Only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was found high in the cases of the single parent, the others, and the grand parent-headed family, compared to other group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ife,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were found high in the case of having a friend of the opposite sex, compared to the case of having no friend of the opposite sex, showing significant different. Sixth, the view of self, self image, ideal image,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had effects on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 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As for the view of self, the higher the positive self, the more positive (+) effects it had on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view of self, the higher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As for self image, the higher the active image among three factors of self image (active image, sophisticated image, and sexy image), the more positive (+) effects it had on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ctive image of self, the higher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As for ideal self-image,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ideal feminine image among three factors of ideal image (sexy image, feminine image, and active image), the higher 'wearing make-up or not,' and that the higher the ideal feminine image and the sexy image, the higher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Lastly,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 more positive (+) effects it had on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 higher 'wearing make-up or not,' 'wearing make-up for appearance management or no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make-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