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정혜-
dc.contributor.author배지수-
dc.creator배지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방과 후 학교에서 개설한 무용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여자 중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여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 정도를 알아보고, 그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방과 후의 경험이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무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밝히고, 향후 여자 중학생들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무용 프로그램을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2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방과 후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자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비확률 표집법의 하나인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e Method)을 사용하였다. 서울시내 소재 중학교에서 현재 방과 후 학교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150명(실험군)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150명(대조군)을 선정하여 총 300명을 선정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연구대상 학교장 및 무용·체육교사의 협조를 얻어 연구자가 각 학교에 방문하여 연구목적과 설문지 내용 및 설문지 기재요령을 설명한 후,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자기기입방식(Self-Administration)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신체상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하위 항목인 신체불만족은 현재 BMI가 낮을수록 신체불만족 점수가 낮게 나타나 자기신체에 대해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비교적 BMI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상적인 BMI에 따라서는 저체중을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경우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불만족 차이는 BMI와 이상적인 BMI가 낮을수록 신체불만족 점수가 낮게 나타나 자기신체에 대해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는 연령에 따라 비교적 연령이 많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BMI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에 차이는 이상적인 BMI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상체중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저체중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존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로 성격이 매우 외향적인 경우 상대적으로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군의 신체상 인식에서 신체불만족도는 3.05±.55점으로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은 3.09±.65점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의 신체불만족도는 3.14±.61점으로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은 3.24±.65점으로 나타났다. 3. 여중생의 자존감은 실험군이 3.68±.71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자존감은 3.62±.70점 이었다. 이처럼 방과 후 무용활동의 미적경험을 한 여중생은 그렇지 않은 여중생보다 자신의 신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자존감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4. 여중생이 가지는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의 관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모두 신체상 인식의 하위요인별 신체불만족은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신체에 대해 불만족할수록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신체상 인식의 하위요인별 신체불만족은 자존감,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기신체에 대해 불만족스럽고,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자존감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5. 신체상 인식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신체불만족이 자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에 대해 불만족할수록 자존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세부적으로 실험군에서 신체에 대해 불만족할수록 자존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방과 후 학교 무용프로그램 참가는 여중생에게 미적경험을 할 수 있는 장이 되고 아울러 긍정적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 형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과 후 무용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무용활동이 진정한 미적경험이 될 수 있도록 수업을 주도하는 교사가 무용활동이 가지는 미적경험과 미적가치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교사가 먼저 아름다운 신체에 대해 학생들이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기 학생들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과 후 무용 수업이 활발하게 동시에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육부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This study analyses middle school girls’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among those who were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dance programs and those who did not, and sought to find whether the after-school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girls’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clarified the need for after-school dance programs and provided future data for other dance programs that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developing healthy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 girls.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300 middle school girl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of which half of them participated in after-school dance program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bserving differences in self-body evaluation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lower the BMI and ideal BMI, the lower the unsatisfaction about one’s bodies and they were less negative about one’s bodies. In the analysis observ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weight-control, girls who had a relatively higher BMI felt more need to control their weight, and in terms of ideal BMI, those who perceived low-weight as ideal felt more need for weight-control.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body un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difference in age, BMI and ideal BMI (p<.01). The lower the BMI and ideal BMI, the lower the unsatisfaction about their bodies and they were less negative about their bodies. In an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weight-control, girls that were older and with higher BMI felt more need for weight-control. In the analysis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deal BMI. Those who perceived normal weight as ideal had a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who perceived low-weight as ideal. In the analysis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group, girls with an outgoing personality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2. self-body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urned out to be 3.05±.55 points in body unsatisfaction and 3.09±.65 points in weight-control. The control group scored 3.14±.61 points in body unsatisfaction and 3.24±.65 points in weight-control. 3.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3.68±.71 points and the self-esteem of the control group was 3.62±.70 points. Likewise, middle school girls that took part in aesthetic experience of after-school dance activitie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ir bodies and their self-esteem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girl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after-school dance programs. 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of middle school girl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unsatisfaction and weight-control·look improvement. In other words, those who were more unsatisfied with their bodies felt more need for weight-control and improvement of their looks.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unsatisfaction about one’s body and self-esteem, weight-control and look improvement. This shows that girls who are more un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feel more need to control their weight and improve their looks had lower self-esteem. 5. In the analysis on self-body evaluation effecting self-esteem,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unsatisfaction about the bod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he more unsatisfied one was about her body, the lower the self-esteem. In detail, among the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esteem of those who were more unsatisfied with their bodies were lower. However, no factors effected the control group. When examining the results, after-school dance programs are a venue for middle school girls to enjoy an aesthetic experience and also contributes in developing healthy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Therefore,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program should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value of dancing activities so that dancing in after-school dance classes can truly be an aesthetic experience for the students. Moreover, teachers should first help students develop a healthy perception about the beauty of their bodies. In order for after-school dance classes,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developing healthy self-body evaluation and self-esteem for students in their adolescence, to become more active and in-dep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needs to consider various meas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7 C.용어의 정의 8 D.연구의 제한점 11 Ⅱ.이론적 배경 12 A.방과 후 무용활동 12 1.방과 후 학교 추진 배경 및 전개 과정 12 2.방과 후 학교 성격과 목적 14 3.중학교 방과 후 학교 운영 현황 15 4.방과 후 무용활동의 필요성 및 가치 16 B.미적경험 19 1.미학이론의 구조 19 2.미적경험에 관한 개념의 역사적 변천 20 3.미적경험의 특성 21 4.예술적 미적경험의 의의 22 C.신체상 24 1.신체상의 정의 24 2.신체상의 개념과 발달 25 3.신체상의 특징 26 D.자존감 28 1.자존감의 정의 28 2.자존감의 의의 29 E.신체상과 자존감의 관계 31 Ⅲ.연구방법 32 A.연구대상 및 특성 32 1.연구대상 32 2.연구대상자의 특성 33 B.조사도구 및 신뢰도 36 1.설문지 구성 36 2.신뢰도 38 C.자료 수집 및 분석 40 1.자료 수집 40 2.자료 분석 및 방법 40 Ⅳ.연구결과 42 A.여중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 차이 42 1.신체상 인식(신체불만족과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차이 42 가.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 인식 차이 42 나.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 인식 차이 45 2.자존감 차이 48 가.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 차이 48 나.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 차이 49 B.방과 후 무용활동 경험유무에 따른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차이 51 C.방과 후 무용활동 경험유무에 따른 여중생의 자존감 차이 55 D.여중생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의 관계 57 1.연구대상자 전체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의 관계 57 2.실험군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의 관계 58 3.대조군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의 관계 58 E.신체상 인식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60 1.연구대상자 전체의 신체상 인식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60 2.실험군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61 3.대조군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61 Ⅴ.논의 63 Ⅵ.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2 부록 77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97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방과 후 무용활동의 미적경험을 통한 여중생의 신체상 인식과 자존감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during After-school Dance Program on Body Image Evaluation, Self-Esteem of the Middle School Girls-
dc.creator.othernameBae, Ji Soo-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