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58 Download: 0

마야 린(Maya Lin)의 <베트남 참전용사 추모비>에 나타난 전쟁기념물의 새로운 해석

Title
마야 린(Maya Lin)의 <베트남 참전용사 추모비>에 나타난 전쟁기념물의 새로운 해석
Other Titles
The new Interpretation of War Memorials presented in Maya Lin's
Authors
허효빈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and the concept of the war memorials of (1982) which was designed by Maya Lin (林瓔, 1959 - ). From the ancient time, the war monuments were recognized their aesthetic value and considered as a popular topic in the art history. From the late 1960s, Public Art became a major topic in the contemporary art area. Naturally, the interest of war memorials placed in the public areas has been increased. VVM, one of the representative war memorial in the art history, i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General war monuments are focusing on idealized symbol of the war through formative way. However, war monuments such as VVM, represent a new form of a memorial sculpture that presents the sorrow of victim and the death to heal the scar of the war. VVM was built in 1982 at the U.S National Mall in Washington DC to remember the US soldiers who died or missing during their service in the Vietnam War. It was the public participants who built VVM not by the nation when there were negative views toward Vietnam War in the US society and when there were national ignorance and social disrespect toward the soldiers. Not like the most of other war monuments built under the government supports, the soldiers, who served in the Vietnam War,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VVM. The public opinions were reflected into VVM construction. Through out the construction, there were efforts to compromise the public voice with each other. The form of VVM is also different from the other war memorials that have a characteristic of one-way communication. VVM considered the co-relationship and co-communication with the viewers and also considered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nlike the traditional war monuments with vertical colossal structure, VVM is a long horizontal wall with viewers’ eye level height. This structure support the viewers to focus only on the monument and provide them to confront the individual soldiers served in the Vietnam War.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VVM, even now days, VVM is one of the most popular war memorials to visit for the visitors. In a same time, VVM contributed changing the way of historical and social awareness regarding Vietnam War in the US. VVM counted toward the Vietnam War as part of US history. Through out the entire process of VVM construction, from the planning, designing, construction to fundraising, the soldiers and the public participated in VVM construction. Even after the construction, there are cases of on-go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VVM and the visitors such as an exhibition of collections of souvenirs from the visitor and a book publication based on the letters from the visitors.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of VVM is not only staying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but it is still actively engaged with public relationship in now days and this will also extend to the future.;본 논문은 마야 린(Maya Ying Lin, 林瓔, 1959- )이 디자인한 <베트남 참전용사 추모비(Vietnam Veterans Memorial: 이후 VVM으로 통칭)>(1982)에서 전쟁기념물의 의미와 개념이 어떻게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고대로부터 세워진 다양한 기념물들은 그 자체로 예술성을 지녔기 때문에 미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미술사 안에서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기념물 중에서도 뛰어난 예술성을 지니고 있는 많은 전쟁기념물들 역시 미술의 영역에서 학문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한편, 1960년대 말부터 현대미술에 있어서 공공미술(public art)이라는 개념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자연스럽게 공공장소에 세워진 전쟁기념물에 대한 관심 또한 대두되었다. 전통적인 전쟁기념물은 이상화된 상징으로서의 전쟁을 조형적으로 표상하는 것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양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에서 희생된 이들의 죽음을 애도하고 전쟁의 상흔을 치유하는 새로운 양식의 추모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한 전쟁기념물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인 은 베트남전쟁에서 실종되거나 전사한 미군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1982년 미국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에 건립되었다. 미국 내에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베트남 참전용사에 대한 국가의 무시와 사회적인 냉대의 상황 가운데, 의 제작은 국가가 아닌 공공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전쟁기념물이 정부의 주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달리, 의 제작과정에서 참전용사들은 스스로가 건립의 주체가 되었고 대중의 여론 또한 적극 반영되었다. 이처럼 이 전쟁기념물이 완공되기까지 공공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었다. 의 형태 자체도 관람자와의 관계와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이라는 점에서 기존 전쟁기념물의 일방향적인 성격과 대비된다. 거대하고 웅장하며 수직적인 전통의 기념물과는 반대로, 은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추어져 있는 기다랗고 수평적인 벽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하여 방문자들로 하여금 관람의 과정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베트남 전사자의 개별적인 죽음과 희생에 직면할 수 있게 한다. 은 그 상호소통적인 성격에 의해서 대중적으로 회자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전쟁기념물이 되었다. 더불어 이 기념물로 인하여 베트남전쟁이라는 사건에 대한 역사적·사회적인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미국 사회 내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는 것이 꺼려졌던 베트남전쟁은 에 대한 공적인 논의를 통해서 미국의 역사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건립 이후에도 에 방문한 추모객들의 헌정품들이 공식적으로 소장되고 있으며, 그에 관한 전시와 출판이 이루어지는 등 공공의 참여는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의 공공적인 성격은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미래까지 계속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