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이다혜-
dc.creator이다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55-
dc.description.abstractDon refers to a type of backless stools. Its body is a slightly bulging circular cylinder. The history of porcelain don goes back to the era of Goryeo. This essay analyzes the concept and names for don, and examines the origin and historical evolution of the don shapes. By analyzing the patterns and shapes of the porcelain don produced in a period ranging from Goryeo to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major characteristics of those works from era to era, assuming that the changes in lifestyles would be reflected by those characteristics. There is only one mention of the word don in the entire written historical records found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 usage of the term to refer to a specific type of stools first emerged in the late 1960s. In China, by contrast, the character of don has been used since the Song Dynasty until now to refer to the stool-like objects. Koreans have interpreted those concepts as referring to deung, which is a more general concept of stools and footstools, or as tab or bundae, which are more associated with how the don-like objects are used. The prototype for don can be found in the ancient type of a stool resembling a trap for catching fish or rabbits, made by weaving the thin strands of the stems of plants known as jeonje. Such objects are found in the murals and sculptural works at Buddhist temples originating from the Period of Disunity. The images of thinking Buddhas sitting cross-legged are, in particular, found with jeonje-style stools, some of them made with rattan. As more and more people in this part of the China came to adopt tables, chairs, beds, and so forth, the use of don also spread widely to reach even commoners’ households. Images of the sitting Buddhas and virtuous Arahans produced in the Goryeo Dynasty also feature rattan-made don, suggesting that the Goryeo-ites came to know those rattan stools not as actual objects, but as objects frequently displayed in Buddhist images.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the porcelain-making technology in Goryeo in the twelfth and thirteenth centuries, Goryeo-ites appear to have succeeded in making the don-style stools with its famed celadon. Whereas Chinese counterparts used porcelain to create drum-shaped stools, the Goryeo-ites made their porcelain don resemble the rattan stools by decorating them with various patterns. This study analyzes the shapes of don in terms of three major apparent criteria: that is, the height, the absence or presence of the hole in the middle on the top, and the absence or presence of the raised edge along the top. All the porcelain don produced during the era of Goryeo were high ones(between 40cm and 50cm in height), with no holes in the middle and no raised edges. By the early and middle Joseon period, an increasing number of lower don(between 30cm and 40cm in height) were made with holes in the middle. By the late Joseon period, all don had holes in the middle and step-like or raised edges. The major patterns found on don can include: rattan stool patterns; lotus flowers and vines; chilbo patterns; dragons; peonies; grapes and animals; swastikas; and modified chain patterns. The rattan stool patterns are most frequently noted among rattan don, representing the greatest portion of the don whose exterior pattern works are still intact. The chilbo patterns feature four circles put together to create a new circle in the middle. Most porcelain don combine the chilbo patterns with flower patterns. The lotus flower and vine patterns feature flowers and leaves engraved into the don, with the ends of the leaves curling outward. The dragon patterns are found in don produced in the early-to-middle period of Joseon using green-brown or black glaze, suggesting that these don were probably designed for some special usage or occasions. The dragon-patterned don originating from the late Joseon period resemble the other openwork white porcelain and blue-and-white porcelain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in terms of pattern works. The peony patterns are specific to the don of Joseon. The peony patterns found on these don of early-to-middle period of Joseon are similar to those found on the Buncheong Ware produced in the same era. The peony patterned don originating from the late Joseon period resemble blue-and-white porcelain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in terms of pattern works. The grape and animal patterns are found only on the don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are meant as representations of auspicious signs. They are similar to the grape patterns found on the blue-and-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same era. The swastikas were also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they were seen as capable of bringing in auspice. The swastikas with extended limbs that connect to one another above and below are found not only on the don produced during this era, but also on the openwork white porcelain and other lacquered wooden craft goods. The modified chains were also popular patterns in the late Joseon period, featuring ring-shaped loops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in all directions. These chain patterns found on don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similar patterns on twisted paper craft and metal craft. The tops of don usually decorated vines. The lower parts were decorated with ogival-shaped pattern in the upper parts and expanded lotus petal patterns in the bottom until the early-middle period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these upper parts were increasingly left without patterns, while the bottom parts were ornamented with patterns of combinations of holes and ogival-shaped patterns, and the eight treasures(palbo) taken from blue-and-white porcelain. These patterns also reflect the general trend of the era that affected openwork white porcelain and wooden furniture. As for the temporal evolution of the central and supplementary pattern works found on dons, one can see that the patterns that were popular during the Goryeo period were repeated and imitated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of Joseon, whereas the late Joseon period saw a greater variety of novel patterns introduced. From this one may surmise that whereas don makers sought to preserv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Goryeo-style don in the early-to-middle period of Joseon, later people came to ascribe newer and different meanings to those objects. One reason the use and production of don persisted throughout the two dynasties of Goryeo and Joseon can be found in the versatility of don’s use and meanings. For example, the jeonje-style stool and rattan don found in the images of sitting Buddhas and Arahans in both the Song and Goryeo Dynasties have religious significance as symbols of ascetic devotion to gaining the true insight into the Tusita heaven. The written record found on a monument devoted to a Buddhist monk during the Goryeo period, indicating that the monk had sat on a “straw stool”, may also be referring to a rattan don. No traces of such historical rattan don have been found yet in Korea, however, while only three porcelain don were found among the remnants of Buddhist temples so far. Given this evidence, it is probably to conjecture that porcelain don were used only symbol of ascetics as part of the tools for seeking enlightenment. Judging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se Buddhist temples showing that they had also been used as temporary royal palaces and houses, the porcelain don found in them may also belong to the royal families. Written records found in both China and Korea support the theory that mainly aristocrats, high officials, and members of the royal family used the porcelain don, whether in the forms of stools or footstools, in their daily lives. Don are more frequently found in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aristocratic life dating to these eras, showing the learned and the wealthy enjoy sightseeing, gambling, poetry writing, tea ceremony, and drinking on or around don. The fact that the great majority of don found to date were excavated from among the remains of palaces and governmental buildings also adds support to this theory. However, no mention of don is found in the official histories of the royal lives in Korea, probably because don referred to back-less, low stools that did not represent authority or power. Another possible use one could conjecture for don is as the support for treasured vessels, such as incense jars and plant pots. There are numerous historical paintings that feature don-like objects as vessels for incense sticks or flowering plants. Records from the Joseon era specifically mention deungjwa, which is described as both a stool for people to sit in a garden and also as a stand for incense jars or plant pots. Other historical records confirm that the words sadeungjwa and hwabundae were both used to refer to the same don-like object that is believed to have belonged to the famed Confucian scholar of Joseon, “Toegye” Lee Hwang, and is now kept at Dosan Seowon. As large porcelain objects, don were used both functionally as stools and decoratively as additions to interior and landscaping settings. This is because of the particular beauty of porcelain as a material itself, as well as the strong visual power conveyed by openwork. One may speculate that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white porcelain goods with openwork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period reflected the growing demand for more sophisticated goods and stationery products similar to the Chinese counterparts. Porcelain don with openwork that were born amid this general trend were likely to have been luxury goods and decorative objects that could be enjoyed by only a few. The use and purpose of don evolved over the period from Goryeo to Joseon amid changing lifestyles and trends, which also affected the details of the shapes and patterns of don. Whereas don were probably used as stools both indoors and outdoors in Goryeo, the spread of the stone-heated floor systems in Joseon probably rendered it largely unnecessary to use such stools for practical purposes. As more and more wooden pavilions came to be built and more and more houses adopted stone-heated floor systems in an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fewer and fewer don came to be used as stools even in outdoor environments. As don came to be used mainly as supports for other objects such as incense jars or plant pots, they became lower in height, incised with holes on top for draining water, and equipped with raised edges on top to hold the intended objects with greater stability. The use and production of don, however, persisted over the long period of time encompassing the birth and demise of two dynasties in Korea. This is because, first, don could be readily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various settings and environments; and second, the designs of don could be modified to suit the new use and purpose. The history of changes in the shapes and use of don, in other words, shows how people constantly re-design and modify particular objects to satisfy their new needs.;墩이란 등받이가 없는 좌구의 일종으로, 동체가 볼록한 원기둥 형태의 좌구를 뜻한다. 자기 돈은 고려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동체를 투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대형 기물이다. 본 논문은 돈의 개념과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고, 돈의 연원과 기형의 확립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제작되어 온 자기 돈의 기형과 문양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기에 따른 자기 돈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문헌 기록과 회화 자료를 통해 돈의 용도를 알아보고, 고려에서 조선을 거치는 동안 일어난 생활양식의 변화가 돈의 용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墩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의 기록에서 1건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의미로 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은 1960년대 이후부터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에서는 이러한 기물에 대해 송대부터 현재까지 墩이라는 명칭을 사용해 왔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송대의 문헌에서는 ‘紫花墩’, ‘繡墩’, ‘蒲墩’ 등의 용어가 발견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돈의 상위 개념인 ‘凳’, 또는 돈의 사용 방법에 따른 명칭인 ‘榻’, ‘盆臺’라는 용어로 대신하여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기 돈이 제작되기 전, 돈의 시원적 형태는 ‘筌蹄’라고 하는 식물줄기를 엮어 만든 통발과 같은 高形좌구로 위진남북조시대 불교 사원의 벽화나 조각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제는 반가사유상의 좌구로 표현되었으며 등나무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것도 확인된다. 이후 입식생활의 정착과 함께 점차 일반에까지 사용이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서도 반가사유상 및 나한도의 좌구로 등돈이 표현되고 있다. 그러므로 고려에 실물의 등돈이 아닌 반가사유상 도상으로서의 등돈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13세기경에는 발달된 제자기술에 힘입어 청자 돈을 제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북의 모양을 본딴 鼓墩이 자기로 제작된 반면 고려에서는 藤墩의 형태를 모티프로 한 투각 돈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양의 투각 자기 돈이 제작되었다. 돈의 기형은 높이, 상면 중앙의 구멍, 상면 가장자리의 턱이라는 세 가지 외형적 요소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돈은 높이에 따라 40cm~50cm에 해당하는 돈과 30cm~40cm에 해당하는 돈을 구분하였으며, 다시 돈의 상면 구멍의 유무에 따라 상면에 구멍이 없는 돈과 구멍이 있는 돈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상면 가장자리의 형태에 따라 상면이 평면인 것, 끝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것, 가장자리에 턱이 솟은 것을 각각 구분하였다. 그 결과 고려시대에 제작된 자기 돈은 모두 높이가 40cm~50cm에 해당하고 상면 구멍과 가장자리 턱이 없는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 전ㆍ중기에는 높이가 30cm~40cm로 낮아지고 상면에 구멍이 있는 형태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조선후기에는 모든 돈의 상면에 구멍이 뚫리고 가장자리의 형태가 계단식 혹은 턱이 솟는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돈의 중심 문양은 連環文, 연화당초문, 七寶文, 용문, 모란문, 포도(동물)문, 卍字文, 변형사슬문으로 나눌 수 있다. 연환문은 등나무로 제작된 돈에서 차용된 문양으로, 동체의 문양 구분이 가능한 돈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한다. 칠보문은 원 네 개를 엇갈리게 조합하여 중앙에 새로운 원을 만드는 일종의 기하 문양이다. 자기 돈에서는 대부분 칠보문과 화문이 결합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연화당초문의 경우 꽃과 잎의 표면에 음각으로 새긴 잎맥의 표현과 바깥쪽으로 둥글게 말린 잎의 표현이 그 특징이다. 용문 돈의 경우 조선 전ㆍ중기에는 녹갈유와 흑유를 시유한 용문 돈이 발견되어 이 시기의 용문 돈에 특수한 용도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조선후기 돈의 용문은 동시기 투각백자와 청화백자의 용문 표현과 유사하다. 모란문은 조선시대 돈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선 전ㆍ중기 돈의 모란문 표현은 분청사기의 모란문 표현과 유사하며, 조선후기 돈의 모란문 표현은 청화백자의 시문경향으로부터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포도(동물)문은 조선후기 돈에서만 확인된 문양으로 회화적인 경향이 짙으며, 길상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문양의 소재 및 구성 방식이 동시기 청화백자 포도문의 표현과 유사하다. 만자문 역시 조선후기에 유행한 문양 소재로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문양이다. 卍자 밖으로 종선과 횡선을 연장하여 상ㆍ하부와 연결되는 방식은 동시기 투각백자 및 목칠공예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변형사슬문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기하 문양의 하나로, 가락지형의 고리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반복되는 문양을 말한다. 이 문양은 紙繩공예 및 금속공예 등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돈의 상부 문양은 양각, 음각, 투각으로 장식되며 대부분 당초문이 시문되었다. 돈의 하부 문양은 고려에서 조선 전ㆍ중기까지는 하부 1단에 능화형 창, 하부 2단에 앙련의 연판문을 장식하는 패턴이 반복되었다. 조선후기에는 하부 2단을 무문으로 남겨두는 경향이 증가하였으며, 하부 1단에는 風穴文, 투공과 능화형 창의 조합, 청화 八寶文 등을 시문하였다. 이 역시 동시기 투각백자 및 목가구의 시문 경향과 일치한다. 중심 문양과 보조 문양의 시대별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문양들이 조선 전ㆍ중기에 모방의 형태로 반복 제작되다가 조선 후기에는 당대에 유행하던 새로운 문양들이 시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려시대의 돈이 가지는 기능이나 용도 혹은 의미를 조선 전ㆍ중기까지는 반영하고자 노력했으며, 조선후기에는 이 기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 시기에 걸쳐 긴 시간동안 돈이라는 기물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돈이 가지는 다양한 용도와 관련이 있다. 돈은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筌蹄의 형태로, 이후 송과 고려시대에는 등나무 돈의 형태로 반가사유상 혹은 나한의 좌구로 표현되는데, 이는 도솔천을 觀하는 수행자의 좌구라는 도상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등돈은 현전하는 유물이 한 점도 없으며, 심지어 자기 돈 역시 세 군데의 사찰 유적에서만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자기 돈은 사찰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좌구이기보다는 ‘수행자의 좌구’라는 하나의 상징으로서 사찰에서 소장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자기 돈이 발견된 사찰들이 모두 임시 궁궐로 활용되거나 御室이 따로 존재했던 곳임을 감안하면 자기 돈의 사용자는 왕실이었을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또한 자기 돈은 고급 사용계층의 일상용 좌구로 사용되었다. 중국의 기록 및 우리나라의 기록에서 墩 혹은 凳이 궁궐에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화에서는 고급 사용계층의 일상에서 활용되는 돈의 사용 양상이 잘 드러나 있다. 그림의 주제는 경관 완상, 圍碁, 作詩, 煎茶, 음주 등이 포함된 문인의 여가 생활이다. 소비 유적 출토 돈의 대부분이 수도 내의 왕궁 혹은 관청 유적에서 발견되어 실제의 사용 양상 역시 이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의궤를 비롯한 의전 기록에서는 돈을 발견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돈이 권위를 상징하는 등받이가 없는 좌구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돈의 또 다른 용도는 향로나 화분 등을 올려두는 器臺였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및 우리나라의 그림에서 돈과 유사한 형태의 기물이 香几 혹은 花几로 사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의 기록 속에서 凳坐는 ‘정원에서 사람들이 앉는 물건’인 동시에 ‘향 혹은 화분을 올려두는 물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퇴계 이황의 유품으로 알려진 도산서원 소장 청자 돈에 대해 ‘沙登坐’와 ‘花盆臺’라는 명칭이 번갈아 사용되었음을 관련 기록을 통해 밝혀내었다. 이와 더불어 돈은 대형의 자기 기물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장식품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기 자체가 가지는 미감과 더불어 투각이라는 기법이 강한 시각적 효과가 발휘되는 기물이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는 당시 조선에 유입된 고급화된 중국물화 및 문방용품에 대한 수요층이 증가하여 이에 맞추어 고급기물을 모방한 투각백자가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풍조 속에서 투각으로 제작된 자기 돈은 향유하는 계층의 경향성이 반영된 고급의 사치품이자 장식품으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돈의 용도는 고려에서 조선을 거치는 동안 생활양식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변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물 자체의 세부 형태 역시 변화하였다. 고려시대에 실내 및 야외용의 좌구인 동시에 기대로 사용되었던 돈은 조선전기를 거치면서 온돌의 확대와 함께 실내에서의 기능을 잃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누정의 건축이 급증하고 온돌이 전반적으로 설치되면서 돈은 야외용 좌구의 기능 역시 상실하였고 다만 기대로서의 기능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용도 변화의 과정 속에서 돈의 높이는 점차 낮아졌고, 돈의 상면에는 배수를 위한 구멍을 뚫게 되었으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기물을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턱이 생기는 등 용도에 적합한 형태로 변모하였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긴 시간 동안 돈이 제작ㆍ사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둘째, 용도의 변화에 따라 기물의 형태가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즉, 돈의 용도 및 기형의 변화 과정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모색의 과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머리말 1 Ⅱ.墩의 용어와 기물의 연원 4 1.용어의 사용 양상 4 1)墩(돈) 5 2)登(등) 7 3)榻(탑) 8 4)盆臺(분대) 10 2.墩의 연원과 기형의 확립 12 Ⅲ.자기 墩의 기형과 문양 18 1.墩의 기형 20 2.墩의 문양 22 1)중심 문양 23 2)보조 문양 39 3)墩문양의 특징 46 Ⅳ.자기 墩의 용도 변화와 조형의 관계 48 1.墩의 용도 48 1)등받이 없는 坐具 48 2)화분과 향로 등을 받치는 器臺 58 2.용도와 조형 간의 연관성 62 1)용도 변화의 요인 62 2)기형에 미친 영향 68 3)용도 변화의 의미 72 Ⅴ.맺음말 74 참고문헌 80 圖版目錄 89 圖版 93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461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高麗~朝鮮時代 磁器 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Porcelain Don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Yi, Da Hye-
dc.format.pagex,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