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안진희-
dc.creator안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90-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portrait motif appearing in the American Pop Art. Portraits contain not only the external appearances of the subject but also the appearances of inner life such as social status and personal values showing a variety of identity of the figure. In case of traditional portraits, the role to express an individual following the will of the subject figure or the artist and to record about the figure was strong, whereas the portraits appearing after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in the 19th century have been developed as a motif that can express the artistic sensitivity of artists rather than as a record. The Pop Artists that appeared after both the World Wars realized the historical reality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modern consumption society they were experiencing by using daily images. The historical reality that they intended to reflect on art was not to represent the world in a traditional way but to express in their independent artistic language connecting the formativeness and expressiveness inherited from the generation of abstraction. Therefore, for the appearances of the reality realized in the works of Pop Artists, one should read the immanent semantic structure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ocial background rather than interpret in a representational way. The portrait motif appearing in the Pop Art consequently interconnects with the situation at that time which is social and historical and thereby expresses the meaning in a complex way not like the portraits of the past. First, as the area of mass media whose characteristic is the one-sided conveyance of meaning was expanded, the celebrities who were exposed through them came to have a social meaning which is strongly perceived by the public. The image of figures who became familiar to the public through the media like this became a motif that forms a social meaning to the Pop Artists who actively reacted to the contemporary issues and intended to reflect the realities of consumption society at that time, and reproduced various meanings in the works. In addition, the Pop Artists also revealed the meaning which is formed in the actual human relations existing in their reality through the portraits of the people surrounding themselves. At that time, the art dealers and collectors who were a great basis for the success of Pop Art giving support to it were the figures that had an enormous impact on Pop Artists. Hence, in the portraits of art dealers or collectors, their positions existing in the art circles, their fame and their influences on artists do appear. Moreover, the family and friends of the artists were those who had the most private relationship with the artists, and through their portraits, a phase of their personal lives and values could be read. Finally, the self-portraits of Pop Artists showed their self-confessions of introspection and themselves who are defined as a culture producer and consumer in the consumption society. This presents the position and state of artists that are changed from the past and is becoming a meaning as an image which symbolizes the artists themselves and their works. This study examined the strategic intention of Pop Artists to express the multi-stratified meaning existing in the reality of consumption society through a variety of portrait motif. This was conducted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figures known through the media,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ir surrounding figures and the process of themselves becoming a subjective meaning through self-portraits. The portrait motif is the shape of human beings who are the subject of reality and thus could include various narratives of figures who are expressed only with the image, and as a result, it could be checked that the Pop Artists express a more direct image in a representational way and effectively realize the multilateral meaning by letting the social structure and system be inherent.;본 논문은 미국 팝아트(Pop Art)에 나타난 초상 모티프에 대한 연구이다. 초상은 대상의 외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위와 개인의 가치관과 같은 내면적인 삶의 모습까지 담으며 인물의 다양한 정체성을 드러낸다. 전통적인 초상의 경우 대상이 되는 인물이나 작가의 의지에 따라 개인을 표현하며 인물에 대한 기록적인 역할이 강했던 반면, 19세기 사진의 발명이후 나타나는 초상은 기록보다는 작가들의 예술적 감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모티프로 발전되어왔다. 양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팝아트의 작가들은 자신들이 체험하고 있는 현대 소비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시대적 리얼리티를 일상적인 모티프들을 이용해 구현했다. 이들이 예술에 반영하고자 했던 시대적 리얼리티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세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세대로부터 물려받은 조형성과 표현력을 이어가며 독자적인 예술언어로 나타낸 것이었다. 따라서 팝아트 작가들의 작품 속에 구현된 현실의 모습은 표상적인 해석보다는 사회적 배경과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는 내재적 의미구조를 읽어내야 한다. 이러한 팝아트에서 드러나는 초상 모티프는 결과적으로 사회적이고 시대적인 당시 상황과 맞물리며 과거의 초상과는 달리 그 의미를 복합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먼저 일방향적인 의미전달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매체의 영역이 확장되며 이를 통해 노출되는 유명 인사들은 대중에게 강력하게 인식되는 사회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동시대적 이슈에 적극 반응하며 당시 소비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자 했던 팝아트 작가들에게 이와 같이 매체를 통해 대중들에게 익숙해진 인물들의 이미지는 사회적 의미를 형성하는 모티프가 되어 작품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재생산하였다. 또한 팝아트 작가들은 주변 인물들의 초상을 통해 그들의 현실에 존재하는 실제적 인간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미를 드러내기도 했다. 당시 팝아트를 지지하며 성공에 큰 기반이 되었던 화상(畵商)과 수집가들은 팝아트 작가들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인사들이었다. 따라서 화상이나 수집가의 초상에서는 미술계 안에서 존재하는 그들의 위치와 명성, 그리고 작가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드러나는 것이다. 더불어 가족과 친구들은 작가와 가장 사적인 관계를 갖는 이들로 그들의 초상을 통해서는 개인적인 삶의 단면과 가치관들을 읽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팝아트 작가들의 자화상은 자아 성찰적인 자기 고백과 함께 소비사회 속에서 하나의 문화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정의되는 자신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과거와 달리 변화된 예술가의 위치와 상태를 제시해주며 또한 예술가 자신과 작품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의미화 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초상 모티프를 통해 팝아트 작가들이 소비사회의 현실 속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전략적인 의도를 살펴보았다. 이는 매체를 통해 알려진 인물들의 사회적 인식과 주변 인물들과의 역학적 관계, 그리고 자화상을 통한 자신의 주관적인 의미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초상 모티프는 현실의 주체가 되는 인간의 형상이기 때문에 이미지만으로도 표현되는 인물의 다양한 내러티브를 포함할 수 있었고, 그 결과 팝아트 작가들은 보다 직접적인 이미지를 표상적으로 드러냄과 동시에 사회적 구조와 체계를 내재시켜 다각적인 의미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초상 모티프의 논의 배경 5 A.미술사 속의 초상 모티프 5 B.팝아트 초상 모티프의 등장 배경 13 Ⅲ.모티프별로 살펴본 초상의 의미 19 A.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진 인물의 초상 19 1.정치인 19 2.대중스타 30 B.주변 인물의 초상 41 1.미술계 인사 41 2.가족 및 친구 50 C.자화상 54 Ⅳ.결론 61 참고 문헌 65 도판 목록 72 도판 82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977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국 팝아트에 나타난 초상 모티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Portrait Motif in the American Pop Art-
dc.creator.othernameAn, Jin Hee-
dc.format.page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