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creat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0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modern society, the ability for the systematization of many knowledge is in need, so it is encouraged of students to learn and understand the various knowledge and attitude through the curriculum integration. However, current education system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subjects superficially and could not go beyond the limits of the departmentalism in realistic.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the instruction model fo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The 5th and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an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Korean musical pieces containing in the music textbook of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centrally chosen as the object and the scope of this study. The Korean music pieces containing in the 5th and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were analyzed based on its contents and uses and then the 8 theme units were chosen. Based on the selected theme units of music textbook, the units were arranged which is linked with another subjects. Hence, the three theme units were selected, and then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 and then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verification by the expert panel composed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 full time music teacher. The summarizing of this study is followed below. Firstly, by the consideration of the definition and the categor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integrated type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was selec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tributional integration method suggested by jeabok kim, which the one subject assists another subject in contents and method, the theme 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that the various education contents were rearranged by based on the theme of music subjects, was applied. Secondly, by the analysis of the music textbook of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ficially approved by 2007 revised course of education, the Korean musical pieces were categorized by its contents and uses and then the theme units were selected. The selected subject units consist of 8 theme unit; ‘Work and music’, ‘Life and music’, ‘Festival and music’, ‘Ceremony and music’, ‘Play and music’, ‘Taste for the arts and music’, ‘Nature and music’, ‘Story and music’.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was considered by the analysis of the unit of another subject and the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the selected musical theme unit. When the author analyzed the units of another subjects related to the 8 theme units of the music textbook, high relation was found in the Korean, Societies, Ethics, Arts,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arts. Thirdly, the three theme units, ‘Work and music’, ‘Taste for the arts and music’, ‘Story and music’, anticipated as the most efficient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among the theme units related with the music, were selected and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veloped for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The integrated units for each theme were selected as follow ; ‘The story told by farm’ for ‘Work and music’ and linked with the Societies, Ethics, Arts, ‘The story told by Korean classical scholar’ for ‘The taste of the art and music’ and linked with the Korean, Societies, Ethics. ‘The story telling the dream’ for ‘Story and music’ and linked to the Korean, Arts, Ethics. Finally, to confirm the appropriation of abov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models which consist of three integrated units, th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questionnaire by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ull time music teachers who have over 5 yea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teaching learning instruction of this study, the aim of lesson, contents, level of difficulty, appropriacy of the integration were investigated as suitable in principle. The proposal was existed that the activity of the music class should not be deduced when the music class and another class is integrated. Therefore, the author suggested the basi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based on those verification results, and then the author accepted the proposal by enlarging the aim of lesson and contents which fit the purpose of the music class. This study,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fo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for the 5th and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veloped. Hence, the connectivity with another subjects was analyzed centered by the theme of music subject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was suggested. Not only studying the musical pieces in the music, but also learning and internalizing the integrated contents with another subjects will contribute to the raising the pride of our traditional music by forming desirable values. Moreove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help the develop of student’s personality, and also it contributes to the improving the motivation of learning by emphasizing the linkage with the real life. The author hopes that the students achieve the effective and meaningful educational results through the integrated eduction between music and another subjects which is suggested in this thesis. The stud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not only the music but also the another subjects should progress and the suitable educational program for various grades should be developed.;현대 사회에서 많은 지식들을 체계화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함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교과통합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지식과 태도를 습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통합교육체제는 표면적으로만 교과간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분과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교과와 타 교과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으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을 내용과 쓰임에 따라 분석하여 8개의 주제단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음악과의 주제단원을 바탕으로 타 교과와의 연관된 단원을 배열하였다. 이에 주제단원 3가지를 선정하여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직 초등교사와 초등음악전담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정의와 유형을 고찰하여,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을 위한 통합 유형을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교과목이 다른 교과목에 대해 내용상이나 방법상으로 도움을 주는 유형인 김재복의 기여적 통합방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학습내용들이 음악교과의 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되는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적용하였다. 둘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 6학년 검인정 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해 국악 제재곡의 내용과 쓰임에 따라 주제를 범주화하여 주제단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단원은 ‘일과 음악’, ‘생활과 음악’, ‘축제와 음악’, ‘의식과 음악’, ‘놀이와 음악’, ‘풍류와 음악’, ‘자연과 음악’, ‘이야기와 음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음악교과의 주제단원과 연관된 타 교과의 학습 내용의 분석을 통해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음악교과의 8개 주제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관된 단원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도덕, 미술, 체육, 실과 과목의 단원과 연관되었다. 셋째, 음악교과의 주제단원 중 ‘일과 음악’, ‘풍류와 음악’, ‘이야기와 음악’의 3개의 주제단원을 선정하여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일과 음악’ 주제에 의한 통합단원은 <논과 밭이 들려주는 이야기>로 선정하여 사회, 도덕, 미술 과목과 연계하였으며, ‘풍류와 음악’ 주제에 의한 통합단원은 <선비가 들려주는 이야기>로 선정하여 국어, 사회, 도덕 과목과 연계하였다. 또한 ‘이야기와 음악’ 주제에 의한 통합단원은 <꿈을 노래하는 이야기>로 선정하여 국어, 미술, 도덕 과목과 연계하여 주제중심 통합수업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3개의 통합단원으로 구성된 교수-학습 지도안의 적절성을 알아보고자 5년 이상의 교직 경력을 가진 초등교사와 초등음악전담교사에게 설문지를 통한 지도안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지도안은 학습목표, 학습내용, 난이도, 통합의 적절성 등이 대체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으로 인해 음악수업의 활동이 줄어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제언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검증 결과를 토대로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설계하는 근거와 당위성을 제시하였으며, 음악교과의 목적에 맞는 수업목표와 내용을 확대함으로써 이와 같은 제언을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이에 음악교과의 주제를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통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음악수업에서 단순한 음악 활동만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의 연관된 내용을 통합하여 이해하고 내면화를 통해 생활 속에서 음악을 가까이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여 우리 음악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교과와 타 교과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은 학습자의 전인적 인격 발달을 돕고, 학습과 실제 삶과의 연계를 강조하여 학습의 의미를 더하고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이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얻기를 바란다. 앞으로 음악교과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에서도 통합수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다양한 학년에 알맞은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C.연구의 제한점 3 Ⅱ.이론적 배경 4 A.통합교육의 이해 4 B.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 14 C.선행연구 분석 18 Ⅲ.음악과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에 대한 고찰 20 A.연구대상 및 범위 선정 20 B.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한 주제 단원 선정 22 C.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 활동 단원 분석 41 Ⅳ.음악과 타 교과와의 통합적 교수-학습 지도방안 49 A.주제중심 통합단원 선정 49 B.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50 C.지도안에 대한 검증 84 Ⅴ.결론 및 제언 88 A.결론 88 B.제언 90 참고문헌 92 부록목차 97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27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 6학년 국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teaching learning instruction methods fo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 With a focus on the Korean music pieces containing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dc.creator.othernameKim, Min Kyeong-
dc.format.pageix,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