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명수-
dc.contributor.author변경원-
dc.creator변경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5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howing that there is space for ideological criticism in Ricoeu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critical feminist theology, as well as not losing religious spirituality. This research tri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faith, as to prove that religious spirituality does not always confront ideological criticism. It has clarified that Ricoeur's hermeneutics provides insight in newly defining theological concepts such as faith and revelation through text theory and metaphor theory. As for Ricoeur, "faith" is the issue of self-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Bibl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faith" is confronted with a hermeneutic situation. A hermeneutic situation occur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In the process of speaking and writing, ostensive reference disappears. Ricoeur, however, did not consider it to be gone. Rather, he regarded it to be a epoche of reference. It is the reader's "reading" that completes this unsettled reference. Ricoeur thought, through this reading, this reference earns completion under the name of "hermeneutics." To him, faith is the matter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reading" of the biblical text. To Ricoeur, "reading" is not about understanding the writer's intention. He rather saw it as revealing the world inside the text. For this to be accomplished, the hidden world behind the actual text should previously come out into the open. In the context of biblical hermeneutics, this sort of clarification comes under historical criticism. Historical criticism can be helpful in the work of feministic theology criticism as well as in the introduction of criticism in paternalism. The work that enables this process is the operation of "distanciation." The distanciation operation forms the autonomy of a text as to reveal what sort of meaning the textual world contains. This research discloses that Ricoeur's theory is useful in the exposure operation of the revelation of the Bible, meaning a new possibility. Ricoeur criticizes Aristotle's theory of seeing metaphor as an alternative, and expands it to the level of text. Therefore, metaphor is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alectics of sense and reference that the text theory refers to. This study proves that Ricoeur's living metaphor that accommodates the interaction theory, is heading toward the revolution of meaning. This sort of revolution becomes realized through the readers's creative imagination of the textual world. The reader stands in the world before the text that reveals its textual significance through the process of thorough criticism of the text. The meaning of 'standing in the world before the text' refers to the world it "refers" to. This world of reference is the projection(Entwurf) in the possibility of being that Heidegger mentioned. Dasein exists through this projection. Projection is heading toward reformation. Therefore the ideology criticism process is essential in revealing the world of the text. Furthermore, the human that obtains a new self-understanding in the world of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ism, gains the power of fulfilling renovation. The text revealed through the Bible refers to a 'new contract', 'God's kingdom', and the world of God's will. Religious spirituality is obtained by listening courteously to God's will shown in the Bible. Distortion inside the biblical text containing patriarchical properties can be corrected through interpretation. This is due to the process of ideological criticism. What drives people into the biblical text is not the contorted dogmatic interpretation of it, but rather the newly revealed world of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ism, which leads to the confession that it is the world of God's will. Criticism is therefore not in opposition with religious spirituality, but in the same boat. This research focused on disclosing Ricoeur's text theory and metaphor theory through the dialectics of sense and reference. Ricoeur regarded the "model" as the means to restore the reference level of metaphor. As for him, the model comes under the logic of discovery, meaning that model acts as a heuristic instrument that incessantly tries to narrate anything better than the reality structure. This study states a newly defined model by Sally McFague, who deploys feminist theology by accepting Ricoeur's metaphor theory, redefining the up-to-now representative patriarchical model of "Father God". This faces the revolution of meaning formed by the tension between God "is a Father" and "is not a Father". Additionally, the model symbolizing God is not fixed nor reduced to the 'father'. This study examines McFague's theory that the model of God can be in diverse formation of a mother, lover, or friend and looks into the possibility that this theory can overthrow the suppressive structure of a single model. This research does not only focus on McFague, but also the 'integral hermeneutics' suggested by the theologian of the New Testament, Sandra Schneiders, who indeed accommodated Ricoeur's text theory. The integral hermeneutics that she mentions is the way toward the hermeneutics of recovery after going through the hermeneutics of suspicion. The author emphasizes the meaning of recovery as the revelation "Jesus inside the text" through a critical method. This is because the definition of the New Testament text is Jesus himself as a textual world. Faith is a new self-understanding created by interpreting Jesus as a text. This study clarifies that this sort of new self-understanding is the power to obtain a new faith. Furthermore, it testifies that the new faith gained through the revelation of the world of reference before a text acts is a cornerstone for conversional hermeneutics that generates a change of mind and behavior. Ultimately, this thesis shows that the revelation that there is a place for ideological criticism inside Ricoeu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can enable to newly define religion,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religious spirituality and feminist theological ideology criticism can break away from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본 연구는 리쾨르의 철학적 해석학에 이데올로기 비판의 자리가 있음을 보여 신앙적 영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비판적 여성 신학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신앙이라는 개념을 다시 정의하는 것을 통해 신앙적 영성과 이데올로기 비판이 대립관계에만 놓이는 것은 아님을 보이려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리쾨르의 해석학이 신앙, 계시 등과 같은 신학적 개념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통찰력을 준다는 점을 그의 텍스트 이론과 은유 이론을 통해 밝혔다. 리쾨르에게 ‘신앙’이란 성서 텍스트를 해석하며 생기는 자기이해의 문제가 된다. ‘신앙’이 해석학적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해석학적 상황이란 말하기와 글쓰기의 관계에서 발생한다. 말하기가 글쓰기로 되는 과정에서 실물지시가 사라진다. 리쾨르는 하지만 지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그는 지시가 사리지는 것이 아니라 ‘미결상태’에 처한다고 보았다. 이런 지시의 미결 상태를 완성하는 것이 독자의 ‘읽기’이다. 리쾨르는 이 읽기를 통해 ‘해석’이라는 이름으로 그 지시가 완성된다고 보았다. 리쾨르에게 신앙은 바로 ‘읽기’를 통해 성서 본문을 이해하며 도달되는 ‘자기이해’의 문제가 된다. 리쾨르에게 ‘읽기’는 저자의 의도를 파악해 내는 것이 아니다. 그는 ‘읽기’는 텍스트의 세계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것을 위해 텍스트의 뒤의 세계를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성서해석학에 있어서 텍스트 뒤의 세계를 밝히는 작업은 역사비판적 작업에 속한다. 여성 신학적 이데올로기 비판은 역사비판적 작업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가능케 하는 것이 ‘거리두기’의 작업이다. 거리두기의 작업은 텍스트의 자율성을 형성하여 텍스트의 세계가 품고 있는 의미의 세계를 드러내 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쾨르의 이론이 성서의 계시, 즉 새로운 존재가능을 드러내는 작업에 유용하다는 점을 밝혔다. 리쾨르는 은유를 대체로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비판하며 은유를 텍스트의 수준으로 확대한다. 그러므로 은유 역시 텍스트 이론이 말하는 의미와 지시의 변증법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론을 수용하는 리쾨르의 살아있는 은유가 의미혁신을 향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의미혁신은 텍스트 앞의 세계에서 펼치는 독자의 창조적 상상력에 의해 가능해 진다. 독자는 철저한 비판의 과정인 텍스트 뒤의 세계를 거쳐 텍스트의 의미를 드러내는 텍스트의 세계 앞에 서게 된다. 텍스트 앞이란 텍스트가 ‘지시’하는 세계가 된다. 이 지시의 세계는 결국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가능을 기투하는 것이 된다. 현존재는 이 기투를 통해 존재한다. 기투하는 것은 현실의 개혁을 향해 있다. 그러므로 텍스트의 세계를 드러내는 작업에 이데올로기 비판의 작업은 필수적 과정이 된다. 그리고 비판의 과정을 거쳐 드러나는 의미의 세계 앞에서 새로운 자기이해를 획득한 인간은 현실개혁을 실천할 힘을 갖게 된다. 성서를 통해 들어나는 텍스트의 세계는 ‘새로운 계약’, ‘하느님의 왕국’과 하느님의 뜻의 세계이다. 신앙적 영성은 바로 성서가 펼쳐 보이는 하느님의 뜻을 경청하는 것을 통해 획득된다. 가부장성을 지닌 성서 텍스트의 왜곡된 부분이 해석을 통해 교정될 수 있다. 그것은 이데올로기 비판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성서 텍스트의 세계에 이끌리는 것은 왜곡된 본문의 교리주의적 해석에 의한 것이 아니라, 비판의 과정을 거쳐 새롭게 드러나는 의미의 세계이고, 그것이 하느님의 뜻의 세계임을 고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판이 신앙적 영성과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적 영성과 비판이 같이 가게 된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과정을 리쾨르의 텍스트 이론과 은유 이론의 의미와 지시의 변증법을 통해 드러내는 일에 전념했다. 리쾨르는 은유의 지시적 차원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 ‘모델’이라고 보았다. 그에게 모델은 발견의 논리에 속한다. 모델은 현실 구조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것을 서술하는 발견적 도구가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리쾨르의 은유 이론을 수용하여 여성 신학을 전개하는 샐리 맥페이그가 이러한 모델을 통해 그동안 대표적인 가부장적 모델인 ‘하느님 아버지’ 모델을 새롭게 정의한다는 점을 밝혔다. 그것은 하느님은 아버지 ‘이다’와 ‘아니다’ 사이의 긴장을 통해 형성되는 의미혁신을 향해 있다. 또한 하느님을 표상하는 모델이 ‘아버지’ 하나로 고정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는 하느님 모델이 어머니, 연인, 친구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 될 수 있다는 맥페이그의 이론을 통해 단 하나의 모델이 지닌 억압의 구조를 전복할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맥페이그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신학자인 산드라 쉬나이더스가 리쾨르의 텍스트 이론을 수용하면서 제안하는 ‘통합적 해석학’에 주목했다. 그녀가 말하는 통합적 해석학은 의심의 해석학을 거쳐 회복의 해석학으로 가는 길이다. 필자는 회복이란, 비평적 방법을 거쳐 ‘텍스트의 예수’를 드러나게 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신약성서 텍스트의 의미는 바로 텍스트의 세계로서의 예수 그자체이기 때문이다. 신앙은 바로 이 텍스트의 예수를 해석하면서 생겨나는 새로운 자기이해가 된다. 본 연구는 그 새로운 자기이해가 새로운 신앙을 획득하는 힘이 됨을 밝혔다. 본 연구는 텍스트 앞에서 열리는 지시의 세계를 통해 얻은 새로운 신앙은 마음의 전환과 행동의 전환을 발생시키는 전환의 해석학을 위한 토대가 됨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리쾨르의 철학적 해석학에 이데올로기 비판의 자리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 신앙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신앙적 영성과 여성 신학적 이데올로기 비판이 대립의 관계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여성 신학적 성서해석의 과제 5 C. 선행연구 9 D. 연구의 범위 및 방향 15 E. 논문의 구성 16 II. 리쾨르의 철학적 해석학의 배경 18 A. 인식론적 방법의 해석학 18 1.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20 가. 이해의 기예(기술)로서의 보편적 해석학의 수립 20 나. 문법적 해석 22 다. 심리(학)적 해석 23 라. 해석학적 순환 25 마. 대화의 해석학 28 2. 딜타이의 해석학 29 가. 인문과학(정신과학)의 토대로서의 해석학 29 나. 삶의 철학(생철학) 31 다. 체험, 표현, 이해의 해석학 32 (1) 체험 32 (2) 표현 33 (3) 이해 35 라. 역사성 그리고 역사적 인식 35 마. 해석학적 순환과 자기이해 37 B. 인식론적 해석학에서 존재론적 해석학으로의 전환 38 1. 하이데거의 이해의 존재론으로서의 해석학 38 가. 현상학과 해석학 38 나. 세계-내-존재로서의 현존재 40 다. 존재론적 해석학: 이해와 해석의 존재론 42 (1) 실존범주로서의 이해 42 (2) 이해의 선구조(선이해, 예-구조) 46 (3) 이해의 순환구조 47 2. 전통과 현재의 매개로서의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48 가. 해석학의 인식론적 차원에서 존재론적 차원으로의 전환 48 (1)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48 (2) 역사주의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50 (3) 가다머의 딜타이 비판 52 나. 해석학적 원리로서의 이해의 역사성 54 (1) 가다머 해석학의 출발점으로서의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 54 (2) 전통, 선입견, 권위의 회복에 기초한 해석학 55 (3) 영향사적 의식 및 지평 융합 57 다. 이해의 언어성과 해석학적 보편성 58 III. 리쾨르의 철학적 해석학 61 A.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61 1. 담론 이론과 구조 62 가. 구조주의의 극복 62 나. 사건과 의미의 변증법 65 다. 의미와 사실지시의 변증법 67 2. 텍스트 이론과 자기이해 68 가. 말하기와 글쓰기 68 나. 거리두기 70 다. 텍스트의 세계 72 라.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 74 마. 텍스트 앞에서의 자기이해 77 바. 전유(자기화)의 해석학 80 3. 비판적 해석학으로서의 텍스트 해석학 81 가. 철학적 해석학과 비판적 해석학 81 나. 비판적 해석학과 신학적 해석학 85 B. 리쾨르의 은유 해석학 89 1. 은유와 상징 90 가. 상징 표현의 유형 및 특성 90 나. 상징과 의미론 93 다. 상징과 존재론 95 2. 리쾨르 은유 이론의 이론적 토대 96 가. 은유와 고전 수사학 96 나. I. A. 리처즈의 은유 이론 98 다. 막스 블랙의 긴장 이론 101 라. 먼로 비어즐리의 은유 이론: 해석학으로서의 은유 102 3. 비판 이론으로서의 은유 해석학 105 가. 은유의 의미 105 (1) 유사성과 은유의 창조적 힘 105 (2) 이미지와 도상(icon) 108 나. 은유와 지시 110 다. 은유와 모델 112 라. 은유와 진리 113 마. 은유와 이데올로기 비판 114 IV. 리쾨르 해석학의 여성 신학적 적용 118 A. 맥페이그의 수정된 복원의 해석학 118 1. 종교 언어의 문제와 은유 신학 119 가. 종교 언어의 다원성과 상대성 119 나. 종교 언어의 우상화와 부적합성 121 다. 은유 신학의 제안 124 2. 성서와 여성 신학 128 가. 여성 신학적 해석학의 유형 128 나. 성서와 권위의 문제 129 다. 수정된 복원의 해석학 133 3. 은유와 모델 136 가. 모델의 기능과 위험성 136 나. 과학적 모델 및 과학적 사고의 전환 138 다. 과학적 모델과 신학적 모델 140 라. 신학적 모델 141 4. 맥페이그의 수정된 복원의 해석학적 신론 144 5. 은유 신학의 여성 신학적 의미 149 B. 쉬나이더스의 통합적 해석학 152 1. 성서와 성서 해석학 153 가. 성서와 여성주의 153 나. 쉬나이더스의 통합적 해석학 155 다. 성서 해석과 신앙의 관계 161 2. 쉬나이더스의 리쾨르 해석학 수용 163 가. 텍스트 뒤의 세계 163 나. 텍스트의 세계 167 다. 텍스트 앞의 세계 169 3. 쉬나이더스의 통합적 해석학적 기독론 172 가. 역사적 예수 문제의 재구성: 신약성서 텍스트의 주제로서의 예수 172 나. 신약성서 텍스트의 통합적 주제로서의 예수의 네 가지 차원 174 4. 통합적 해석학의 여성 신학적 의미 178 V. 결론 182 참고문헌 192 Abstract 2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57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리쾨르의 철학적 해석학과 그 여성 신학적 적용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aul Ricoeu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the Application into Feminist Theology-
dc.creator.othernameByun, Kyung Won-
dc.format.pagevi, 20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