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권용희-
dc.creator권용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 양상을 역사적 전개와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학교육과정 구조를 분석하여 문학교육과정과 문학이론의 관계를 도출한 후, 이 문학이론의 수용 양상을 통해 문학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때 문학이론은, 최근의 문학교육과정의 지향점인 ‘문학 현상’의 소통 맥락을 고려하는 이론들, 즉 생산이론, 수용이론, 반영이론, 구조이론으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문학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위의 네 가지 문학이론 각각의 수용 양상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에 대한 대안적 논의를 모색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문학교육과정과 문학이론의 관계를 분석하고, 문학이론의 교육적 효용성을 생산이론, 구조이론, 반영이론, 수용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때 소통 맥락을 중심으로 생산이론의 경우 ‘문학에서의 상상력’과 관련해서, 구조이론은 ‘문학 텍스트의 예술성’과 관련해서, 반영이론은 ‘문학을 통한 삶의 총체적 이해’와 관련해서, 마지막으로 수용이론은 ‘문학에 의한 심미적 경험’과 관련해서 그 교육적 효용성을 설명하였다. 문학이론과 문학교육과정 간의 관계를 위와 같이 알아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문학교육과정의 각 문학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때 문학교육내용의 양상이 유사한 정도에 따라서 문학이론별로 다시 문학교육과정의 시기를 나누어 보았다. 사회상황, 서구 문예사조의 수용의 양상, 당시 문학교육의 지향점과 인재상(학습자관) 등의 영향으로 각각의 문학이론들은 특정 시기 문학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기도 하였으나,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이념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이론과 가능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이론 사이의 괴리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실제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념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는 문학이론이 문학 현상을 토대로 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어느 한 이론으로 편중됨이 없이 비교적 동등하게 문학교육과정의 내용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가능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도 여전히 문학이론들 사이에 권력관계가 작용하고 있었기에, 이러한 문학이론 수용 양상의 불균형과 이론 간의 경합을 토대로 하여,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에 대한 대안적 논의를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으로 나누어서 제시해 보았다. 그러나 문학이론들을 소통 맥락을 중심으로 하는 단지 4가지의 문학이론으로 제한하였다는 점, 그리고 문학이론들을 비교적 동등하게 바라봄으로써 어떤 문학이론은 실제보다 지나치게 비중을 키워주거나 줄여주는 격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 연구의 한계이다. 또한 이념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과 가능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만을 다룸으로써, 현실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을 앞의 두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 연결 짓지 못했다는 점도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 양상을 역사적 전개와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 문학교육과정이 변화해 온 양상과 그 변화의 이유를 파악해 보았다. 또한 이념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과 가능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실제 문학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이론 사이의 괴리를 분석하여 그 한계점들을 도출해 냄으로써,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문학교육과정 연구와 설계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aspects of literary theory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ith focu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process. Thus, this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structure, draws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curriculum and literary theories and then, attempts to analyze, through the literary theory acceptance aspects of literature curriculum, the transition process of literature curriculum. As for literary theories, the theories considering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literature phenomenon’, which is aimed for by the latest literature curriculum were premised. They are production theory, reception theory, reflection theory and structure theory. And then,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literature curriculum through the individual acceptance aspect of aforementioned four literary theories, the thesis suggests alternative discussions on the literary acceptance of literature curriculum. Firstly, in Chapter Ⅱ,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curriculum and literary theories, and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literary theories an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explains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into the transition process of literature curriculum through literary theory. This research explains in detail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four literary theories that focus on communication context. That is, production theory delves into ‘imagination in the literature’, structure theory investigates ‘the artistry of literary text’, reflection theory studies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literature’, and lastly, reception theory deals with ‘the esthetic experience through literature’. In Chapter Ⅲ,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ransition of how literature curriculum accepts each literary theory, and while doing this, divides again the period of literature curriculum by literary theories in proportion to the similarities in the aspects of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In Chapter Ⅳ, this research analyzes the gap between the literary theory of the ideology dimension and the potentiality dimension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of ideology dimension, literary theories mutually influence on the basis of literature phenomenon, and aim to be reflected relatively equally on the contents of literature curriculum without bias towards a particular literary theory. But under the literature curriculum which actually operates in the potentiality dimension, still power relation among literary theories has been working up to now.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by clarifying the discrepance and presents alternative discussion on how literature curriculum accepts literary theories in both macroscopic perspective and microscopic perspectiv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literary theories are limited only to four theories that center on communication context, and some theories can be dealt unfairly with more or less weights because it views the theories on a relatively equal basis. Another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is study deals with only literature curriculum in the ideology dimension and the potentiality dimension, and therefore, the actuality dimension is not linked to the literature curriculum of the aforementioned two dimensions. However, this research, by investigating how literature curriculum has accepted literary theories with focu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process, found out the aspect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transition and the reason for the change. Also, based on this, it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acceptance of literary theory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Ⅱ. 이론적 배경 10 A. 문학이론과 문학교육과정의 관계 10 B. 문학이론의 교육적 효용성 15 1. 생산이론의 개념과 문학에서의 상상력 15 2. 구조이론의 개념과 문학텍스트의 예술성 19 3. 반영이론의 개념과 문학을 통한 삶의 총체적 이해 24 4. 수용이론의 개념과 문학에 의한 심미적 경험 28 Ⅲ.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 32 A. 문학교육과정의 생산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 32 1. 재생적 상상력의 양상 32 2. 상상력의 본질을 간과하는 양상 35 3. 창조적 상상력의 양상 42 B.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 46 1. 문학교육내용의 체계화 이전의 양상 46 2. 분석주의의 양상 54 3. 문학텍스트의 예술성에 주목하는 양상 68 C. 문학교육과정의 반영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 75 1. 현실에 대한 관심을 차단하는 양상 75 2. 삶의 모습에 주목하는 양상 78 3. 사회·문화적·역사적 상황에 주목하는 양상 84 D. 문학교육과정의 수용이론 수용의 변천 양상 88 1. 효용론의 양상 88 2. 수용이론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받는 양상 91 3. 문학에 의한 심미적 경험을 강조하는 양상 94 Ⅳ. 문학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에 대한 대안적 논의 106 A. 이념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이론 107 B. 가능태 차원의 문학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이론 109 C. 대안적 논의 112 1. 미시적 차원에서의 대안 112 가. 문학교육과정의 세 가지 문학이론 수용 112 나. 문학이론들 간의 연계에 의한 교육내용의 구성 114 2. 거시적 차원에서의 대안 117 가. 문학이론이 반영된 교육내용의 개별적·선택적 수용 117 나. 문학교육과정의 현대 문학이론 수용 119 (1) 문학교육과정의 생태주의 이론 수용 119 (2) 문학교육과정의 정신분석학 이론 수용 121 (3) 문학교육과정의 해체이론 수용 124 (4) 문학교육과정의 페미니즘 이론 수용 126 Ⅴ. 결론 129 참고문헌 134 ABSTRACT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4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역사적 전개와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ceptance Aspects of Literary Theory of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 Center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Process-
dc.creator.othernameKwon, Yong Hee-
dc.format.pageviii,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