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장선영-
dc.creator장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호칭어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는 호칭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으며, 특히 호칭어 습득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호칭어 습득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호칭어 습득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숙달도와 거주기간 중 어떤 것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호칭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숙달도가 같은 집단 내에서 거주기간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호칭어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호칭어와 변인으로 설정한 숙달도 및 거주기간에 대한 언어 습득 연구를 살펴보았다. 호칭어는 호칭어의 정의, 한·중 호칭어의 유형, 호칭어 선택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어 호칭어와 중국어 호칭어의 차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자주 오류를 범하는 한국어 호칭어 유형을 알아보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호칭어를 선택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요인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 연구 대상과 연구 도구, 연구 절차,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호칭어 습득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지를 개발하였고, 검사는 한국어 모어 화자 중 수도권에 살고 있는 표준어 화자 60명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중 일반목적 중·고급 학습자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호칭어 습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호칭어를 습득할 때 숙달도와 거주기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각각의 변인이 호칭어 습득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숙달도는 상관이 있지만 거주기간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숙달도가 다른 집단을 섞어서 거주기간을 살폈기 때문이다. 셋째, 숙달도가 같은 집단 내에서 거주기간에 따라 호칭어 습득에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는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으로 나누어 중위권을 뺀 두 집단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상위권, 하위권 집단 모두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호칭어 습득이 잘 되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 습득 양상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호칭어 유형과 호칭어 선택 요인 등을 고려하여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검사지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습득이 잘 된 호칭어와 그렇지 않은 호칭어를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더 나아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호칭어 교육 시 주의해서 가르쳐야 할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숙달도와 거주기간이 호칭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객관적인 통계 분석에 의해 밝혔다.;Terms of address are considerably important whe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However, terms of address have been rarely studi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with almost no research about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how Chinese learners acquire Korean terms of address. Chapter1 specifi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establishes three study ques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s are firs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second, which variable between the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has a bigger effect on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and third, whether Chinese Learners’ varies according to how long they lived in Korea when their skills are on the same level. Chapter 2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terms of address and language acquisition by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chosen as variables of terms of address usage. In this chapter, the author examined a definition of terms of address, types in both Korean and Chinese, and factors on choosing them. By doing so, we found differences of terms of address between the two languages, frequent mistakes that Chinese learners make, and factors that may affect them when choosing Korean terms of address. Chapter 3 presents methods including selection criteria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objects and instruments, research process, and statistic programs used for data analysis. To find out how Chinese learners acquire Korean terms of address, a test is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urvey is conducted by 60 native Korean speakers with standard accents from capital area and 84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ith general purpose of studying Korean. Chapter 4 contains the result. Firs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Second, both of two variables, Korean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influence the acquisition of Korean terms and address. Analyzing the each factor, the proficiency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while the length of residence is rarely correlated to them. This is because of mixing up all the respondents with different levels when researching their length of residence. Third,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vari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 same level groups.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high, medium, and low by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two groups except the medium one are analyzed. It is shown that longer they stayed in Korea, better they use Korean terms of address, and this result is same in both groups. Finally, chapter 5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n identifying the way that Chinese learners acquire Korean terms of address. Also, it is explored that the existing textbooks and curriculums are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terms of address and it is hard to use the terms of address properly for Chinese learne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study found what is easy and difficult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terms of address and certain types of expressions that teachers have to pay more attention when teaching them. Furthermore, influences of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for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are analyzed by a statistical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선행 연구 4 C.연구 문제 12 Ⅱ.이론적 배경 14 A.호칭어 14 1.호칭어 정의 14 2.한국어 호칭어 유형 16 3.중국어 호칭어 유형 25 4.호칭어 선택 요인 33 B.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른 언어 습득 36 1.숙달도 36 2.거주기간 37 Ⅲ.연구 방법 39 A.예비 실험 39 B.본 실험 44 1.연구 대상 44 2.연구 도구 45 3.연구 절차 49 4.자료 분석 방법 50 Ⅳ.연구 결과 51 A.CKL과 KNS의 호칭어 습득 양상 51 1.CKL과 KNS의 호칭어 습득 양상 전체 비교 51 2.CKL과 KNS의 호칭어 습득 양상 문항별 비교 52 B.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른 호칭어 습득 양상 67 C.숙달도 내에서 거주기간에 따른 호칭어 습득 양상 69 D.호칭어 습득의 한국어 교육 적용 71 Ⅴ.결론 75 참고문헌 78 <부록 1> 한국인용 검사지 83 <부록 2> 중국인용 검사지 90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54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른 호칭어 습득 양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dc.creator.othernameJang, Sun Young-
dc.format.pagei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