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순-
dc.contributor.author정지은-
dc.creator정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17-
dc.description.abstractCreativity has been suggested as a prime educational objective b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s. How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and approaches creativity affects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of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by studying the method and subject of the research and analyzing its approach toward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education. For such research goals, this study establishes three research problems which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ype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of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 what perspective do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have on definition, focus, and level of creativity? Third, what perspectives do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approach to creativity education? This study gathered creativity researches which have been done 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ver the past ten years through Korean academic search database and came to a final selection of 378 studies. Analysis criteria of research method,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was established by preceden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n creativity. Conclusion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a has been actively undertaken during the past decade. As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are most used,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re shown to be less but have tendency to increase gradually. In regard of subjects of research, over half of the entire research, dealt with elementary students. In comparison, little portion is occupi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to approach creativity was analyzed by definition, focus, and level. It shows that studies with a definition of creativity are more than without it but the former has been decreasing and the latter increasing little by little. Studies which focus on person, cognitive or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And process, environment, and product follow. Regarding the level of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most was done on little-c creativity level, on the other hand, studies which identify the creativity in educational context showed little. Studies having an interest in mini-c creativity level were hardly found. Third, this study analyzes toward creativity education by three dimensions. Results shows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is ranked top as most implemented and ‘direct creativity education separated from subject’, which is done during extra curricular hour, is followed. ‘ Indirect support for creativity education’ including study on theory, policy, teacher, and environment as least done. Among ‘direct creativity education separated from subject’, the largest portion goes to education through particular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followed by direct teaching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n contrast,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field trip takes little. Among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the ranks are as follows; 1) integrative education with contents of subject and creativity 2) education which applied principles and teaching aids to promote creativity 3) particular practice which emerges creativity 4) education which used creative thinking skills. Among ‘ indirect support for creativity education’, over the half is about theory of creativity and around 20 % is research about policy and teacher. The finding shows only one for research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nothing for research of home environment. From abov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and the field of creativity education are suggested. First, the qualitative research at actual school setting need to be done more. And some efforts needed to get higher reliability, triangulation. Moreover, subjects of research should be extended beyond only elementary students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researchers should identify the perspectives of definition, focus and level to creativity. And focus of creativity definition should be undertaken not only in the aspects of cognitive but also in emotional, integral, and domain-specific aspects. On top of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tegrated creativity should be increased and researcher should identify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he(she) based on. And Conceptualization of level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s necessary and field research on mini-c creativity should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Third, research which intend to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Additionally, more study should be done on other subjects not just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arts and on a creativity field trip on which students can go outside of their schools.;현재 창의성은 국가교육과정에서 교육의 주요 목표로 제시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창의성 교육 연구에서 연구자가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발달 중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을 다루고, 창의성 교육을 할 때에는 그 접근이 일반적인 창의성과는 달라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의 연구 유형 및 연구 대상은 어떠하며,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창의성의 정의, 범주 및 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창의성 교육을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지 살펴봄을 통해 현재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현재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보완해야 할 점들을 찾아본 뒤 이를 통해 향후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의 연구 유형 및 연구 대상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은 창의성의 정의, 범주 및 수준을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셋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은 창의성 교육을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 연구들을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한 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39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한 뒤에 창의성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창의성 교육 연구에 대한 방법과,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분석 기준을 세웠으며, 창의성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창의성 교육 관련 연구들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간 창의성 교육 연구는 비교적 고른 분포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연구의 유형별로 볼 때 문헌 연구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 사례 연구와 혼합 연구는 적었으나 조금씩 증가하는 동향을 보였다. 연구 대상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이 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둘째, 창의성을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창의성 개념의 정의, 범주, 수준으로 각각 분석해 본 결과,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는 정의하고 있지 않은 연구보다 더 많았으나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정의를 하지 않는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이 떨어지고, 창의성의 개념이 오도될 가능성이 있었다. 창의성의 범주를 무엇으로 보는가를 살펴보면 개인적 특성(인지․정의)으로 조망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과정, 환경, 범주의 통합 순이었으며 산출물로 본 연구는 가장 적었다. 창의성의 수준을 어떻게 보았는가를 살펴보면 연구들이 대부분 개인적 수준에서의 작은 창의성으로 보았지 이론적 배경에서 교육적 맥락에서의 창의성 수준에 대하여 논의하는 연구는 적었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니 창의성 수준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셋째, 창의성 교육 접근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교과 시간에 이루어지는 ‘교과와 통합된 창의성 교육’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교과와 분리된 독립적 창의성 교육’, ‘창의성 교육의 간접적 지원’ 순이었다. 하지만 교과와 창의성이 정말 잘 통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대부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거나 이론적 수준의 제언에 그치고 있었다. ‘교과와 통합된 창의성 교육’으로 접근한 연구들 중에는 ‘교과 내용과 창의성의 통합적 교육’과 ‘창의성을 촉진시키는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거나 교구를 활용한 교육‘이 가장 많았고, ’특정 수업을 통해 창의성을 발현시키는 교육‘과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육이 그 뒤를 이었다. ‘교과와 분리된 독립적 창의성 교육’ 접근의 연구들 중에는 별도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접근이 그 뒤를 따랐으며, 별도의 체험활동을 통한 창의성 교육은 매우 적었다. ‘창의성 교육의 간접적 지원’ 관련 연구는 절반이 넘는 연구가 창의성 교육의 개념에 관한 연구였으며, 정책적인 지원과 교사 지원이 약 20%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실환경 지원과 관련된 연구는 한 편뿐이었으며 가정환경에 대한 지원과 관련된 연구는 단 한편도 없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창의성 교육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양적 연구와 문헌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창의성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실제적인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질적인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이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되었는데 중․고등학교에서의 창의성 연구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성의 개념이 다양해질수록 연구자는 창의성을 무엇으로 조망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창의성의 범주는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정의적, 통합적, 영역 특수적 측면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심리측정적 검사뿐만이 아닌 여러 창의성 관련 평가 관련 연구가 늘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의 창의성 정의와 연구 내용에서 다루어진 창의성 범주는 일관성이 필요하다. 더하여 교육 맥락 안에서 창의성 수준에 대한 개념화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과정적․잠재적․개인적 창의성인 미니 창의성 수준에 대한 현장 연구가 더 이루어지고, 중․고등학생이나 영재 학생을 위해서는 전문적 창의성으로서의 수준 확대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 연구는 교과 통합과 분리를 연속선상에서 보고 현장에 실효성 있게 창의성 교육이 실행되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또한 창의성 교육 연구가 몇몇 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다양한 과목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더 많은 연구들이 교과와 연계되어 영역 특수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가정 및 지역 사회와 연관하여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에서의 연구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연구의 제한점 4 Ⅱ.이론적 배경 5 A.창의성 5 B.창의성 교육 20 Ⅲ.연구방법 37 A.연구 대상 37 B.연구 절차 39 C.연구 도구 40 D.자료 분석 46 Ⅳ.연구결과 47 A.창의성 교육 연구의 연구 유형 및 대상 분석 50 B.창의성에 관한 관점 분석 57 C.창의성 교육의 관점 분석 69 Ⅴ.결론 및 제언 91 A.요약 91 B.결론 및 제언 94 참 고 문 헌 101 부 록 119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71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창의성 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한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 및 의미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n the Trend and the meaning of Researches on Creativit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eong, Jieun-
dc.format.pageix,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