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안세연-
dc.creator안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16-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with the growth of psychiatric inpatients's right awareness, their role is changed to users or consumers of mental health system, participation of patients is gradually supported in the plan of mental health care and most of patients want to participate in clinical decision of their care process. However, lots of psychiatric inpatients neither prepare shared decision making yet nor know the method.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cision making program with psychiatric inpatients' self esteem, problem solv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fter its implementation and confirm the applicability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subjects of studying, 29 people who promis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experimental group and 31 people were control group, among the psychiatric inpatients of 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A area.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by structural questionnaires from Apr. 10, 2012 to May 29, 2012. The tools of studying were organized by self esteem, problem solv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nd general items. The investiga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real number, percentage, t-test, χ²-test and paired t-test,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 17.0. The finding are as follows. 1. The score of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hared decision making program wa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participate (t=-4.954, p=.000). 2. The score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hared decision making program wa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participate (t=-4.765, p=.000). 3. The score of life quality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hared decision making program wa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participate (t=-3.401, p=.00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ared decision making program was effective in psychiatric inpatients' self-esteem, problem solv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program which helps decision making method between psychiatric inpatients and therapist should be useful nursing intervention and helpful to shared decision making of psychiatric inpatients and therapist by coming into use in mental health field such as hospital, mental health center,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etc.;최근 정신질환자들의 인권과 자기결정권이 강조되고, 이들의 권리의식 신장과 더불어 정신질환자들이 정신보건시스템의 이용자(user) 혹은 소비자(consumer)로의 역할변화를 보이고 있다. 정신보건 치료계획에 있어 환자의 참여는 갈수록 지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그들의 치료과정에 대한 임상적 결정에 포함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대다수의 정신질환자들은 함께하는 의사결정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그 방법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와 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해결능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간호중재로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A지역에 소재한 정신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정신질환자 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29명을 실험군으로, 31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4월 10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삶의 질, 일반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등의 서술통계와 t-test, χ²-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954, p=.000). 2. 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765, p=.000). 3. 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401, p=.002). 본 연구 결과 정신질환자와 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삶의 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정신질환자와 치료자 간 의사결정 방법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한 간호중재가 될 것이며 병원, 지역 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등의 정신보건영역에 보급되어 정신질환자와 치료자가 함께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5 C.연구가설 5 D.용어정의 6 Ⅱ.문헌 고찰 8 A.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 8 B.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16 C.정신질환자의 문제해결능력 17 D.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20 Ⅲ.연구방법 23 A.연구 설계 23 B.연구 대상 24 C.연구 도구 25 D.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34 E.연구의 윤리적 고려 35 F.연구의 제한점 36 Ⅳ.연구 결과 및 논의 37 A.연구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37 B.가설검증 42 C.연구의 의의 49 Ⅴ.결론 및 제언 51 A.결론 51 B.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설문지 64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71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함께하는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hared Decision Making Program on Psychiatric Inpatients-
dc.creator.othernameAn, Se Youn-
dc.format.pagev,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