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83 Download: 0

최한기의 기학(氣學)

Title
최한기의 기학(氣學)
Other Titles
Choi Han-gi(崔漢綺)'s system of thought, 'Chi-hak(氣學)': A Pragmatic Theory of Confucian Metaphysics
Authors
이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규성
Abstract
Choi Han-gi(1803~1877), a philosopher in the 19th century and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established an independent philosophical system called "Chi-hak" by embracing and blending Western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while critically inheriting the Confucian tradition. While placing the Confucian tradition in the core of his philosophy and reflectively criticising the manifestation of Confucian values, he introduced the Western experiential science investigative metho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uch. In doing so he realized the autonomous self-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He placed it in a newly-established theory of Chi(氣). While inheriting the metaphysic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theory of Chi, he embraced the Western concept of matter by including it in the concept of Chi. It is summarized as "SinChi(神氣) which is continuous movement and change[運化:UnWha] with materiality[有形]". Chi, being the originary reality of the coming into existence and changing of the world, has the properties of endlessly moving and changing as its inherent essence. In other words, it is not a substance with a form, but something that dynamically flows and moves in the flows of change. However this UnWha-Chi is with form rather than formless, and is explained to be perceivable through the sensory organs. SinChi as a moving and changing whole in the universe in itself is difficult to be caught by the human sensory organ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it is above experience. It is merely difficult to be perceived through the sensory organs but not impossible. By comprehending Chi with materiality and form of all things, appearing temporarily with form, we can come closer to Chi as the whole. But there is a need to bring our attention to the provision of "reality having form". "Having form" implies the meaning that it becomes a target that is able to be experienced through the sensory organs, and "reality" connotes that it inherits the metaphysical premise and composition of Neo-Confucianism. Such self-contradictory situation, that the metaphysical premise becomes the target for the experiential world, forms the core of the problems that Chi-hak shoulders in the academic experiment to combine traditional philosophy with the fruits of Western natural science. However Choi Han-gi resolves this problem by including practice as the composing factor of theoretical composition to establish a pragmatic philosophy in terms of developing a epistemological thinking of "Chu-Cheuk(推測: infer and construct)". Chi-hak accepts the metaphysical reality of Confucian values, but considers the originary reality not as a transcending Li(理) but as Chi, a compositional origin-body of the experiential world; thus the aspect of the metaphysical reality being involved in the method and practice of human life depends on the method of being of UnWha-Chi that flows and moves without interruption in the flows of change. This means that the reality of Chi does not suggest a perpetual truth having a fixed form. Chi as an reality permeates the world of the living as the role of being the unified center of the foundation of the world and assuring objectivity, in other worlds as criteria of values. That is why humans endlessly seek knowledge regarding the UnWha-Chi. And it must be through the method of experiential scientific investigation in regards a definite material world. However, during such voyage from comprehension of Chi with materiality and form to perception that converges to the UnWha-Chi, the leap for unification with the reality is not required. That is because the reality of Chi exists not as something static and unmoving but as a dynamic flow. Therefore in the Chi-hak's world, a universal knowledge transcending tim, everlasting, or ultimate knowledge cannot be obtained. Truth as the true knowledge is always temporary. An accurate knowledge of the actual reality of Chi, existing as the origin of the world that is endlessly changing and ruled by coincidences, was impossible to be established right from the beginning. Choi Han-gi also acknowledges this. However, he does not give up the world of seeking knowledge regarding the reality of Chi through investigation on the definite things of the experiential world. This is not because his goal is the ultimate knowledge about Chi but because he knows the utility of the criteria. Thus his knowledge regarding reality can only be recognized when the actual utility is included. Knowledge is knowledge regarding reality, and is an idea. And the truth of that system of idea can only be determined in relation to its use in the real world. In other worlds, knowledge regarding the UnWha-Chi that is the basis of judging the truth or false is only proven of its truth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tial proof. Moreover, Chi can obtain its meaning as the truth when it is realized on the horizon of reality as UnWha-Chi through adapting to the circumstances by always considering nowness and contemporaneity. The pragmatic characteristic in Chi-hak is not an immediate counter to the realistic necessity. It is not a characteristic appearing at an aspect or surface composing Chi-hak. The pragmatic character that Chi-hak seeks derives from the composition converging to the reality of Chi and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hi. The notion, regarding the reality composed through critically inheriting the metaphysical premise of Neo-Confucianism, forms the core of explaining the pragmatic characteristic of Chi-hak. The basis that leads to pragmatic theory is prepared in the provision regarding practicality(實性) that states that the reality of Chi is not vacancy(虛) or nothing(無) but reality(實). As such, the pragmatic characteristic of Chi-hak is not suggested as in the meaning of prioritizing practical use or having it as the basis of everything but as a theoretical system, and Choi Han-gi has established a thought system set apart from not only Neo-Confucianists but also the Silhak scholars of Joseon Dynasty at the time, on the fact that he has placed the academic standpoint regarding pragmaticality at the center and stably constructed a philosophical basis regarding pragmatic theory. Thus he searched for use in the actual lives of people and introduced the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West, but in contrast to the reforming and opening of absolutist or modern planners with strong sense of nationalism who plotted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while adhering closely to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he was true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imed at a cosmopolitan that transcends the locality of East versus West looking to universality. By reading Chi-hak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not only is it possible not to overlook the fruit of traditional philosophy continued from the ideology of Choi Han-gi, but we can also find the point to graft it with the Western discipline, and it also contributes largely to the problem of combining the traditional discipline, the modern discipline, and every academy. Not only that but the fact that by pointing out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bstantial realization of ethical values with fundamental understanding as the basis and endeavoring to expand extension of physics into the social relationships of humans with the flow and moving of the UnWha-Chi to guide it to concreteness of the basis of execution, that individuals are not forced to external order, that uniqueness of nature obtained coincidentally but so by itself, and that specific opportunities were able to be called to a meaningful discussion show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hi-hak in the times to come.;19세기 조선후기 철학자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유학의 전통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서구의 자연과학적 지식을 수용, 융합하여 ‘기학(氣學)’이라는 독자적인 철학체계를 수립하였다. 그는 고대 유가의 근본정신을 자기 철학의 중심에 놓고 유가적 가치의 현재적 구현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서구의 경험 과학적 탐구 방법을 도입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는 유학의 주체적인 자기변형을 이루어내었다. 최한기가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에 대해 제기한 비판은 리(理)를 위주로 하여 존재의 근거를 무형화(無形化)시켰다는 데에 있다. 성리학의 심성론에서는 세계의 근원으로서 궁극적 원리라고 하는 태극(太極)으로서의 리가 인간의 마음에 내재한 것으로 전제하고 마음을 인식의 대상으로 삼아 리를 궁구[窮理]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리가 형질 이전에 존재하는 독립된 실체로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주만물의 근원됨을 실증할 만한 근거를 경험세계에서 찾을 수가 없고, 그에 대한 인식은 관념상에서만 구성될 수 있는 것이어서 증험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공유하지 못한다. 증험할 수 없고 공유하지 못하는 학문은 학문으로서의 의미와 기능을 상실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리를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리의 실재성을 비판한 것이 아니다. 리 자체는 형체가 없는 것임을 인정한다. 그런데 바로 리 자체는 무형이기 때문에 리는 존재 근원의 지위를 차지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기 속에 있으며, 기의 조리로서 기의 형질을 좇아서만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형의 리를 존재근거로 상정한 성리학의 오류와 폐단은 기가 존재근거의 지위를 차지하면서 극복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기론(氣論)에서도 역시 만물을 구성하는 재료로서의 기와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기, 즉 기를 현상과 본체로 이원화시키는 한계가 남아 있었다. 존재근원의 무형화에 대한 극복의 노력은 서구의 자연과학의 수용으로 나아가게 된다. 서구과학을 수용하는 태도에 있어서 최한기는 우선 성리학 전통의 형이상학적 구도를 계승하면서 그 바탕에서 서구과학의 물질개념을 기 개념에 포괄하였다. 그래서 새로 정립한 기 개념은 ‘유형(有形)의 운화(運化)하는 신기(神氣)’로 요약된다. 세계의 생성과 변화의 근원적 존재인 기는 끊임없이 운행하고[運] 변화[化]하는 속성을 내적 본질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된 형식을 가진 실체가 아니라 변화의 흐름 속에서 역동적으로 유행(流行)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운화기(運化氣)는 무형(無形)이 아니라 유형(有形)의 것이어서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된다. 천지에 운화하는 전체로서의 신기는 그 자체로서는 인간의 감각기관에 포착되기가 어렵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험을 넘어서 있는 것이 아니다.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하기가 쉽지 않을 뿐이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일시적으로 형체를 갖고 나타난 만물의 형질기(形質氣)를 파악함으로써 전체로서의 기에 근접해갈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유형의 실재’라는 규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형’은 감각기관을 통해 경험 가능한 대상이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실재’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전제와 구조를 계승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형이상학적 전제가 경험세계의 대상이 된다는 이와 같은 모순적 상황은 전통철학과 서구 자연과학의 성과를 융합하려는 학문적 실험에 있어서 기학이 떠안게 되는 문제의 핵심을 이룬다. 최한기는 이 문제를 ‘추측(推測)’이라는 인식론적 사유를 전개함으로써 해소하고 있다. 기학의 인식론 체계에서는 실천적 행위가 이론적 구조의 구성요소로 내속됨은 물론, 유형의 실재와 상호 긴밀한 관계로 맺어있다. 이는 곧, 최한기가 유가적 가치의 형이상학적 실재성을 받아들이지만, 근원적 실재가 초월적인 리(理)가 아니라 경험세계의 구성적 기체(基體)인 기로 보는 기학적 관점에서, 형이상학적 실재가 인간의 삶의 방식과 실천에 관여하는 양상은 변화의 흐름 속에 간단없이 유행하는 운화기의 존재형식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의 실재가 고정된 형식을 가진 영원불변의 진리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실재하는 기는 세계의 기저에서 통일적 구심점으로 자리하여 객관성을 보증해주는 역할, 즉 가치의 준적(準的)으로서 삶의 세계에 침투해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끊임없이 운화기에 대한 지식을 추구해가는 것이다. 그것은 구체적인 사물세계에 대한 경험 과학적인 탐구의 방식을 통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질기에 대한 파악으로부터 운화기에 수렴해가는 인식의 노정에서는 실재와의 합일-궁극적인 인식-을 위한 비약이 요구되지 않는다. 기의 실재는 부동의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흐름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학적 세계에서는 초시간적으로 이탈해있는 보편적 지식, 영원하거나 혹은 최종적인 지식을 구할 수 없다. 참된 지식으로서의 진리는 언제나 잠정적이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우연성이 지배하는 세계의 근원으로서 실재하는 기의 본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기학에서는 애초에 성립 불가능한 것이었다. 최한기 역시 이러한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경험 세계의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기의 실재에 관한 지식을 추구하는 작업을 포기하지 않는다. 그것은 기에 대한 최종적인 지식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준적의 효용성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실재에 대한 지식은 실제적 유용성을 담지하여야만 인정될 수 있다. 지식은 실재에 대한 지식으로서, 하나의 관념이다. 그리고 그 관념체계의 진리성은 현실세계에서의 쓰임과 관련하여서만이 정해질 수 있다. 순수지식이란 없다. 지식은 언제나 행위와 연대해있고 그 안에 구성된 내용이 현실적으로 구현되고 또 구현되길 기다리는 지식이다. 행위와 절연되어 있는 가치중립적인 지식이란 있을 수 없다. 또한 행위에 앞서서 절대성이 보장되어 있는 지식도 불가능하다. 언제나 오류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천적 행위의 검증을 거쳐 오류를 제거하는 방향에서 지식은 다시 획득되어야 한다. 행위의 방향은 실재에 의거하게 되는데, 실재는 하나의 전체로서 일통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참과 거짓을 판명하는 기준이 되는 운화기에 대한 지식은 경험적인 증험(證驗) 과정을 거쳐야만 진리성을 보증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는 운화하는 기로서, 언제나 현재성을 살펴서 시의(時宜)에 따라 변통(變通)하여 현실의 지평에서 구현해갈 때 진리로서의 의미를 획득할 수가 있다. 이처럼 기학은 실용론의 이론적 구성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기학에서의 실용은 현실적 필요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으로 나온 것이 아니다. 그것은 기학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면 혹은 표층에서 나타난 특징이 아니다. 그것은 기의 실재에 수렴해가는 구도와 기의 본질적 속성에서 파생된 것이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전제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구성된 실재에 대한 개념이 기학의 실용주의적 성격을 설명하는 데에 핵심을 이룬다. 실재인 기가 허(虛)나 무(無)가 아닌 실(實)이라고 하는 실성(實性)에 관한 규정에서 실용으로 이어져 나올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학의 실용주의적 성격은 실용성을 우선시하거나 그것을 모든 것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하나의 이론체계로서 제시되어 있는 것이며, 실용에 관한 학문적 입장을 그 중심에 놓고 실용성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공고하게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최한기는 당시의 조선성리학자는 물론 실학자들과도 구별되는 독특한 사상 및 개념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백성들의 실제적인 삶에서의 쓰임을 모색하고서 서구의 선진과학기술을 도입하였지만, 당시 유학의 정통성을 견지하며 부국강병을 꾀하였던 개혁개방론자, 민족주의적 의식이 강한 근대기획자들과는 달리 보다 이론적인 기초에 충실하였으며, 동서의 지역성을 뛰어넘어 보편을 향해 있던 세계시민의식을 지향하였던 것이다. 기학을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읽는 것은 최한기 사상에 연속되어 있는 전통철학의 성과를 간과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학문과 접목시킬 수 있는 접점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오늘날 전통 학문과 현대 학문, 그리고 제학문간의 융합 문제와 관련하여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윤리적 가치가 원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는 실질적으로 실현을 이루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물리의 외연을 운화기의 유행에 따라 인간의 사회적 관계에까지 확장하여 실행근거의 구체성으로 안내하려는 노력에 따라, 개별자들이 외적 질서에 강제되지 않고서 우연히 취득하였지만 스스로 그러한 자연으로서의 고유성이 외면 받지 않고, 구체적 계기들을 의미 있는 논의로 불러올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은 기학의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말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