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손자영-
dc.creator손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3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literary modernism theori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from a perspective of critical history. The confusion and insecurity caused by the Korean Wa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udying the literary modernism theories of the 1950s. Amid these disorders and destruction, modernists negated the past things and sought after modernity to form new orders, and they tried to achieve that goal through pursuits for early modern western culture vi-s-a-vis premodern Korean culture. Thus, western theories such as existentialism, new criticism, and new country group were accepted by the Korean literary circle, which thus tried to achieve being contemporary with world literature. However, the western literature-oriented Korean modernism theories in the 1950s were coupled with the tasks to overcome the devastation situation in the wake of Korea's liberation and Korean War, and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leading them to conflict with the acceptance of post-war western thoughts. This is why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draw attention in the Korea history of literature. Efforts to secure the literary modernity vi-a-vis pre-modernity as well as restoring the destroyed literary identity called for subjective thoughts in connection with the west.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continued to questi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others and establishing subjectivity. Thus,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which called for the awareness of new reality, sought to blend literary modernity, nationals, and subjective identity. Since nationalism is understood in relationship with world view of seeing Korea's liberation as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s the third World Wa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iterary modernism's negation of tradition was linked to colonialism, and analyzed the motivation to New Poetry Theory and Latter Half as the emergence of modernism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process of securing moderni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west wa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securing literary subjectivity,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acceptance of the western culture was confirm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is process and national identity was also examined. Also, the 1950s modernism focused on critical poetry theories, and yet expanded into critical arguments, criticism on novels, and theoretical exploration of western theories through translation and acceptance thereof. Thus, these efforts sought to secure perspectives on literary modernism theories. Chapter Ⅱ deals with the literary circle situation as the source of the emergence of 1950s literary modernism, and ideology as the foundation for forming new literary thoughts. New Poetry Theory and the Latter Half,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1950s modernism, were form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were disbanded in the 1950s, and thus their activity period was connected to the liberation-period contex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The then situation surrounding the literary circle, which wa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national literature following the country's liberation from colonialism, was projected into the modernism poetry group led by Park In-hwan and Kim Gyeong-rin who espoused modernism as a form of new literature. These people sought to establish modern poetry as a new literary form. Notably, these poets, unlike in the 1930s modernism, were much influenced by the British young modernism poet group, and new country school. Their strong awareness of reality beyond literary techniques detached from the reality was positioned as a literary spirit required of their poetry modernism. Existentialism,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as part of efforts to secure contemporariness with world literature, changed to humanism, participatory literature, existential thought, and inner consciousness amid the devastated situations before and after the war, influenced both pure literature and literary modernism, thereby filling mental emptiness and showing a wide range of characteristics. However, existentialism's inner mind pursuit, which was similar to modernism, furthered its affinity with modernism. In literary modernism criticism, existentialism was accepted in the diverse ways such as Kim Chun-su's existential comment through Rilke, Go Seok-gyu's concept of nothingness, and Kim Bung-gu's witness literature, leading itself to be a literary modernism thought before and after the war. Chapter Ⅲ deals with new literary directions that literary modernism theories propose from the aspect of literature's pursuit of modernity. At this tims, conflict was confirmed as occurring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modernity through the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the literary subjectivity involv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ry modernism was confirmed as formed as a literary branch. Also, new literary methodologies were achieved together with the securing of modernity. Modernism's negation of tradition drove the establishment of new literary tradition beyond negation. Likewise, the understanding of new literary tradition transcended the modern poetry division into intelligence and emotion, together with the role of modern literature, created a new modern poetry combining emotion and intelligence, and moved to secure subjectivity beyond the western poetry division into lyric poetry and modernism poetry. Also, modernism's negation of the 1930s modernism, in its resistance against the established literature, was confirmed as reborn as a new tradition in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ure of Yi Sang. Also, based on modernistic methodologies for a new reality embodiment, pursuit for modern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s was proposed. Self-understanding of language sought to restore order as a way of a new modernism methodology. Notably, the 1950s modernism called for a linguistic order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subjectivity amid diverse confusion of the remaining colonial Japanese language influence before and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and the war, as well as of the mother tongue, English and Russian languages. Amid this situation, the pursuit for modernism was based on the literature's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on language, and this was linked to the process of securing methodological logics of modernism criticism through the acceptance of new criticism, thereby proposing the direction for literary modernism. Chapter Ⅳ examines the 1950s literary circle's understanding of modernism through the practical criticism of modernism-based novels and poetry. Then modernism-oriented novels were characterized by introvert self-consciousness ideologies of works written by the then new-generation modernism novelists, such as Son Chang-seop, Jang Yong-hak and Kim Seong-han, by methodologies for allegories to overcome that ideology, and by the appearance of new types of characters. Also, the poetic difficulty issue was criticized as being technical by the then literary circle as part of criticism of modernism-oriented poems. However, for the 1950s modernism-sought poets,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enabled them to review literary styles so as to understand modernity and reality, and to create a stepping stone to the 1960s modernism-sought poems. As such, this paper defines the 1950s literary modernism theories to be a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ticism for following the western cul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ization through the acceptance of western theories, as well as the process of securing a subjective identity for establishing a new literary tradition amid disorderly situations due to the country's liberation and war. Given that a nation's literature is created amid the specifics of the same national situations, modernism was created in Korean culture and situations different from in the west. This concept involves modernism separating itself from tradition, but this is a paradoxical meaning for the creation of a new literary tradition. This development was not a literary break due to Korea'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ut the 1950s literary position as advanced from the 1930s modernism. This drive enabled the 1960 modernism to develop into a subjective literary thought.;본 연구는 전후 한국 문단에서 발생한 모더니즘 문학론을 비평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을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당시 사회가 해방과 6. 25전쟁 등에 의한 혼돈과 불안의 상황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파산과 무질서의 상황에서 모더니스트들은 이전의 것을 부정하고 새로운 질서의 형성을 위해 모더니티를 욕망하였으며, 그것은 전근대적인 한국과 대비되는 근대적 서구문화의 수용을 통해 이루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존주의, 뉴크리티시즘, 뉴컨트리 그룹 등의 서구 이론들이 한국 문단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세계문학과의 동시성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의 서구문학 지향이라는 특징이 해방과 6. 25 전쟁으로 인한 파괴된 상황의 극복과 주체적 민족문학의 성립이라는 과제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서구 전후사조의 수용에서 균열지점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전근대와 대비되는 위치에서 문학의 현대성과 파괴된 문학적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노력은 서구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주체적 인식을 요구하였으며,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은 끊임없이 타자에 대한 인식과 주체화 과정 자체에 질문을 던지는 사유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현실에 대한 인식을 요구하였던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은 문학의 현대성과 민족, 그리고 주체성 등이 중층적으로 이루어진 양상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본고는 당시의 민족적 인식이 8. 15 광복을 2차 세계 대전으로, 6. 25전쟁을 제3차 세계 대전이라는 세계주의 인식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고 있어 모더니즘 문학에서 주장하는 전통에 대한 부정이 식민지 인식과도 연결되고 있음 확인하고, 해방기 모더니즘의 출현으로서의 <신시론>과 <후반기> 동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서구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현대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문학적 주체성의 획득 과정으로 인식하며,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의 서구 수용적 측면을 확인함과 동시에 민족적 정체성 사이에서의 관계 역시 고찰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모더니즘은 비평적 입장에서 주로 시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비평 논쟁과 소설 작품에 대한 월평과 서구 이론의 번역&#8228; 수용의 이론적 탐색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며 모더니즘 문학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Ⅱ장에서는 5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발생적 근원으로서 문단의 상황과 새로운 문학 사조의 체제 형성을 위한 기반으로서 이념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모더니즘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신시론>과 <후반기>는 40년대 후반에 형성된 후 50년도에 해체되고 있어 활동의 시기가 40년대 후반 해방기 맥락 속에 놓여 있다. 식민지 시기로부터의 해방을 통한 주체적 민족문학의 성립이라는 문학적 책임 속에 놓여 있던 당시의 문단 상황은 새로운 문학으로서 모더니즘을 들고 나온 박인환과 김경린을 주축으로 한 모더니즘 시동인 집단에게 투영되었고, 이들은 새로운 문학으로서 현대시 성립을 추구하였다. 특히 30년대 모더니즘과 다른 특성으로 이들은 영국의 젊은 모더니즘시 그룹이었던 뉴컨트리파의 경향에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현실과 유리된 기교로서의 문학을 넘어 강렬한 현실 인식은 이들의 현대시로서의 모더니즘이 갖추어야할 하나의 문학 정신으로 자리하였다. 이와 함께 세계문학과의 동시성 획득의 일환으로 유입되었던 실존주의는 전후 황폐한 상황 속에서 휴머니즘, 참여문학, 실존의식, 내적 자의식 등으로 변화하며, 순수문학과 모더니즘문학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신적 폐허의 상황에서 공허한 의식을 채우고 있는 광범위한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나 실존주의의 내면의식의 추구라는 모더니즘과의 유사성은 모더니즘과의 친연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는데, 모더니즘 문학비평에서 실존주의는 김춘수의 ‘릴케’를 통한 실존의식을 이야기 하거나 고석규의 ‘무(無)’의 개념, 김붕구의 ‘증인문학’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며 전후 모더니즘의 문학의식으로 작용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모더니즘 문학론이 문학의 현대성의 인식 태도와 이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유형화 한다. 이때 서구문학의 수용을 통한 현대성 확립이 문학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민족문학 건설이라는 문학적 주체화의 관계 속에서 균열지점을 확인하며, 현대문학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을 하나의 문학적 지류로 형성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새로운 문학 방법론의 모색 역시 현대성 획득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모더니즘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전통부정은 부정을 넘어선 새로운 문학전통의 확립을 추동하였다. 이때 새로운 문학 전통에 대한 이해는 현대문학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성과 서정으로 나누어진 현대시의 구분을 넘어 서정과 지성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현대시의 형태를 생성하며 서정시와 모더니즘시라는 서구적 시형태의 구분을 넘어 주체성 획득의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기성문학에 대한 저항으로서 30년대 모더니즘에 대한 부정 역시 ‘이상’ 문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새로운 전통으로 주체화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새로운 현실의 형상화를 위한 모더니즘의 방법론적 인식을 바탕으로 언어에 대한 인식을 통한 현대성의 추구를 제기한다. 이때 언어에 대한 자각은 모더니즘의 새로운 방법적 지향으로서의 질서 회복의 추구였다. 특히 50년대 모더니즘이 해방과 전후 식민지 시기의 일본어의 잔재와 모국어, 영어, 러시아어 등의 다양한 언어적 혼재가 일어나고 있었던 당시의 상황에서 민족 문학의 주체성 확립을 위한 언어적 질서 형성이 요구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더니즘은 문학의 언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를 바탕으로 한 형식적 측면에서의 현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뉴크리티시즘의 수용을 통한 모더니즘 비평에 대한 방법론적 논리의 획득의 과정으로 이어져 문학적 현대성 획득이라는 모더니즘 문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모더니즘 소설과 시의 실천 비평을 통해 1950년대 문단에서 바라보고 있는 모더니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신세대 모더니즘 소설가로 규정되는 손창섭 &#8228; 장용학 &#8228; 김성한의 작품의 내적 자의식 지향의 성격으로 인한 작품의 관념성과 그것의 극복으로의 알레고리에 대한 방법론적 인식, 그리고 새로운 인물형의 등장 등은 당대로서의 현대를 인식하는 모더니즘 소설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함께 시에서의 난해성 문제는 모더니즘 시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의 이유로 당대 문단에서도 기교주의로 인식되며 비판되었지만,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인들에게 난해성은 문학의 형식적 성찰을 통한 현대성에 대한 인식과 현실에 대한 인식의 측면을 가늠하며 1960년대 모더니즘시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상에서처럼 본고에서는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을 서구 이론의 수용을 통한 근대화 성립이라는 서구 추수적 평가를 극복하고 해방과 전쟁으로 인한 파편화된 상황 속에서 새로운 문학적 전통의 성립을 위한 주체성 획득의 과정으로 규정한다. 한 민족의 문학은 동일한 민족적 상황의 특수성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 할 때, 모더니즘 역시 서구와 같을 수 없는 한국문화와 문단의 상황 속에서 성립되고 주체화되는 균열들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개념은 모더니즘이 전통단절을 이야기 하지만, 이는 새로운 문학적 전통을 위한 역설적 의미로 해방과 6. 25를 통한 문학사적 단절이 아닌 1930년대 모더니즘을 밟고서 진보하는 1950년대 문학의 위치를 확인하며, 1960년대 모더니즘의 주체적 문학사상으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4 Ⅱ. 문학장의 재편과 새로운 이념의 모색 25 A. 사회적 상황과 문단의 변모 양상 25 1. 문학의 이데올로기 거부와 문학 위기론 25 2. 새로운 문학동인의 형성 31 B. 서구 문학이론의 수용과 비평 의식의 구상 47 1. 실존주의 유입과 문학의 존재론적 인식 47 2. 오든 그룹과 현실의 특수성 인식 69 Ⅲ. 이중적 전통 의식과 미적 현대성의 자각 83 A. 문학의 자기 성찰과 전통 확립의 문제 83 1. 자기 존재의 자각과 문학의 정체성 모색 83 2. 지양과 극복의 새로운 전통 수립 의지 91 B. 문학 형식의 지평 확장과 방법론적 성찰 117 1. 언어에 대한 자각과 질서 형성의 가능성 117 2. 문학 내적 관심과 비평의 논리 획득 132 Ⅳ. 모더니즘 문학론의 전유와 미적 주체 의식 149 A. 관념성 극복과 세계 인식의 확대 149 1. 내적 자의식과 문학 형식으로 알레고리 인식 149 2. 새로운 인물형의 등장과 현실 재건의지 160 B. 난해성의 문제와 부정성의 인식 168 Ⅴ. 결론 182 참고문헌 193 ABSTRACT 2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4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론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dernism as a literary theory in 1950's-
dc.creator.othernameSon, Ja Young-
dc.format.pageviii, 20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