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지정민-
dc.creator지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95-
dc.description.abstract최근의 제품 디자인은 기능 위주의 디자인에서 소비자의 주목을 끄는 외관 위주의 디자인으로 그 흐름이 옮겨가는 추세에 있다. 이는 다양한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이 소비자가 그 차이를 잘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되어 제품 구매 시 기능을 중점적으로 보는 것은 무의미해졌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제품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기업들은 변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관디자인의 주된 요소인 색(Color), 소재(Material), 후가공(Finishing)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표면처리디자인은 색, 소재, 후가공의 세 요소로 나눠지지만, 제품의 표면처리에서 요소들은 따로 따로 존재하는 것 보다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색과 소재가 같은 공정에서 처리되고 후가공으로 그 표면을 마무리한다거나 소재의 성형을 먼저 한 후 유색의 도료 등으로 후가공을 처리하는 것처럼, 색, 소재, 후가공의 공정은 대개 복합적으로 처리된다. 현대의 표면처리디자인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그것에 사용되는 소재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재는 제조할 때부터 그것을 사용하여 사용 후 버릴 때 까지 유해물질을 방출하며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소재에 대한 관심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처리 디자인의 색, 소재, 후가공 중에서 후가공에 중심을 맞추어 논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후가공 중에서도 소재의 성형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 도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도장을 위한 도료 중에서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소재에는 무엇이 있는지 보고 그 중에서 천연소재인 옻(漆:칠)의 특성이 뛰어남을 알고 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옻은 많은 장점이 있으나 옻 도료를 사용해 도막으로 만드는 경화 과정이 까다로워 산업화와 대량생산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일이 수제작으로만 옻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방식에 머물러 대부분 옻도막을 올릴 때는 나무를 기본 소재로 하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표면의 마감에 대한 개념과 그 성격을 바탕으로 천연소재인 옻(漆)이 산업화된 마감재로 쓰일 수 있게 하고자 다양한 기본 소재에 대한 옻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소재 위에서 옻이 경화되는 시간과 옻이 경화된 결과물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옻은 소재별로 보았을 때 구리를 소지로 한 실험에서 가장 빨리 경화되었으며, 온도로 보면 200℃, 칠 두께로 보면 0.01mm 두께에서 가장 빨리 경화되었다. 이는 옻의 고온경화가 소재의 열전도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옻을 산업화에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에 표면디자인의 도료로 옻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논문으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옻이라는 도료가 가진 많은 장점을 살려 다양한 제품에 고급 도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The recent product design changes from functionality-centered design to appearance-centered one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This is because concentrating on the product functionality has become meaningless since various functions in various products have developed to such an extent that consumers cannot perceive the difference. Thus the importance of product appearance design has been recognized and corporations devoted their efforts to major factors of appearance design: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in order to better assess the difference. Surface finishing design consists of three factors like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but those factors do not exist separately in finishing the product surface but exist in combination. For example, color and material are processed in the same process and then the surface is finished in the process of finishing or the material got shaped first and then colored pigment, etc was used for finishing. Like this,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are usually treated in combination. In modern times, surface finishing design continues to develop and the materials used to it developed in various ways. But most materials release harmful substances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when they were used first till the time when they were thrown away and pollute the environment, more interests in eco-friendly materials has also been increased. This study proceeded our logic centering on finishing among three factors of surface finishing design: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and looked at coating, the mostly used method separately from the shaping of material among many finishing methods. And this study looked at what kinds of materials are unharmful to the environment among the paints used for coating and among them the excellence of natural lacquer was found out and then our investigation on it was carried out. Natural lacquer has many advantages, but the hardening process that natural lacquer paint is used to make film of paint is too complicated, and the natural lacquer is not used for both industrialization and mass production, but used only for hand-made process. It's time for a change because woods are adopted and used as basic materials when raising a piece of natural lacquer like the traditional method.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reaction of natural lacquer to various basic materials so that the natural lacquer can be used as industrialized finishing materials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finishing and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by concentrating on the hardening time of natural lacquer on the materials and the products created after the natural lacquer was hardened. Natural lacquer hardened most rapidly in an experiment in which copper was used as materials and also hardened most rapidly at a temperature of 200℃ and at a thickness of 0.01mm. This seems to be that the high temperature of natural lacquer is related to the thermal conductivity of materials. This study is a thesis that aims to collect data by applying natural lacquer as paint for surface design to various materials so that natural lacquer can be used for its industrialization, and it is hoped that this data can be used so that natural lacquer can be used as high-grade paint for various products by making most of the good points of natural lacqu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5 A. 표면디자인과 후가공(Finishing) 5 1. 표면처리와 표면처리디자인 5 2. 표면디자인의 분류 7 3. 후가공(Finishing)의 분류 12 B. 표면처리디자인과 천연소재 14 1. 표면처리를 위한 천연소재의 종류 14 C. 도장과 도료 17 1. 도장의 정의 17 2. 도료의 정의와 종류 17 D. 옻(漆) 23 1. 옻(漆)의 개념과 성격 23 2. 옻(漆)도막 산업화의 문제점 27 3. 옻(漆)도막 산업화의 가능성 27 Ⅲ. 실험 장치 및 방법 29 A. 소지 설정 29 B. 실험 방법 39 1. 1차 실험 39 2. 2차 실험 45 C. 실험 결과 46 1. 실험 결과 46 2. 소재별 비교 48 Ⅳ. 결론 61 참고문헌 67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63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옻의 산업화와 표면디자인 적용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소재와 온·습도에 따른 옻의 경화시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dustrialization of Natural Lacquer and Application of Surface Design : Centering on the Hardening Time of Natural Lacquer depending on Material and Temperature/Humidity-
dc.creator.othernameJi, Jung min-
dc.format.pagei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