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Comparative Study between Digital Tomosynthesis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n Evaluation of Common Bile Duct Stones

Title
Comparative Study between Digital Tomosynthesis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n Evaluation of Common Bile Duct Stones
Other Titles
총 담관 결석 평가에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과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의 비교 연구
Authors
허지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digital tomosynthesis with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o evaluate common bile duct (CBD) stones as a complementary diagnostic tool.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96 consecutive patients clinically suspected of having CBD stones underwent ERCP and digital tomosynthesis during 22 months,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0. Fourteen patients were excluded. Therefore 8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imag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consensus of two abdominal radiologists. An evaluation of the presence of CBD stones was followed by a determination of the margins of the stones, as scored with a five-point conspicuity scale. The gold standard for stone detection was the results of stone-removal procedure. Among eighty two patients, 54 patients had 89 CBD stones and 28 patients had no ston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detect CBD stones were 91.0% and 80.6% for ERCP, 92.1% and 93.5% for digital tomosynthesis. The average score was 3.3 ± 0.9 for ERCP and 3.9 ± 0.9 for digital tomosynthesis in 77 concurrently detected stones. Digital tomosynthesis demonstrated better conspicuity than ERC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p=0.001). In conclusion, digital tomosynthesis is an effective and complementary diagnostic method to evaluate the CBD stones. Therefore, digital tomosynthesis is helpful in deciding the endoscopic stone removal procedure during ERCP.;본 연구에서는 총 담관 결석 평가에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digital tomosynthesis)과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의 상호 보완적인 진단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2008년 12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과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중, 총 담관 결석 증상이 의심되는 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4명이 제외되어 82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두 명의 복부 영상의학과 의사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과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총 담관 결석의 유무를 평가하였고, 두 검사 방법에서 동시에 결석이 발견된 경우에는 결석의 경계를 1점에서 5점으로 척도를 정하여 분석하였다. 82명의 환자 중 54명의 환자가 89개의 총 담관 결석이 있었으며 28명의 환자는 결석이 없었다. 총 담관 결석 진단에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의 민감도, 특이도는 91.0%, 80.6%이며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은 92.1%, 93.5%였다. 두 진단 방법에서 동시에 발견된 77개의 총 담관 결석 경계의 정확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에서 3.3이며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에서 3.9였다. 총 담관 결석 경계의 정확도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01). 결론적으로, 총 담관 결석을 평가하는데 있어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은 효과적이며 상호 보완적인 진단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시행하는 현장에서 총 담관 결석에 대한 내시경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데 디지털 단층영상합성법은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