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Impact of Shiftwork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Dyspepsia

Title
Impact of Shiftwork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Dyspepsia
Other Titles
의료종사자의 교대근무가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장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혜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경
Abstract
Background and Aims: Disturbances in biological rhythms could lead to unfavorable alterations in body function, and, thus, exert negative health impact. Shift work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occupational stressor which has marked negative effects on both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functional dyspepsia (FD)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to find th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 of FD and IBS in rotating shift workers who are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and expected to have stressful working conditions and sleep disturbances. Methods: The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among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work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December 2010 and February 2011. The subjects completed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quality of the sleep and the level of stress based on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among subjects with rotating shift work were compared a with day worker group. FD and IBS were defined by ROME III criteria. Results: A total of 217 subjects included in the study with 153 rotating shift workers (70.5%), and 64 (29.5%) day workers. The prevalence of IBS in rotating shift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in day workers (32.7% vs. 17.2%, p=0.021).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FD between two groups (29.5% vs. 18.8%, p=0.119). Among rotating shift workers, the sleep quality was poorer than that among day time workers (PSQI 7.07 ± 3.36 vs. 6.11± 2.86, p=0.049) and daytime sleepiness was more severe compared with that of daytime workers (ESS 9.85 ± 4.32 vs. 8.29 ± 4.06, p=0.01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having IBS were rotating shift work (OR 3.19, 95% CI=1.29-7.91), and poor sleep quality (OR 3.27, 95% CI=1.43-7.51). In the same analysi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FD were unmarried state (OR 2.24, 95% CI=1.06-4.73), and poor sleep quality (OR 3.69, 95% CI=1.06-4.73). Conclusions: A notable higher prevalence of IBS among rotating shift workers might b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leep disturbance. The circadian rhythm disturbance may be rel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IBS.;연구 배경 및 목적: 생물학적 리듬이 깨지는 것은 신체 기능에 부정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교대 근무는 직업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 건강과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수면장애가 동반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병원의 교대근무 의료종사자들에서 기능성 소화불량 (functional dyspepsia, FD) 과 과민성장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병 유병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10년 11월에서 2011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목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기능원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주간졸림증 자가진단 (Epworth Sleepiness Scale:ESS),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였다. 주간근무자와 교대근무자로 나누어 로마 기준 III에 의한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장증후군의 유병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의 217명 중 교대근무자는 153명(70.5%), 주간근무자는 64명(29.5%)이었다. IBS는 교대근무자에서 높게 발생하였고(32.7% vs. 17.2%, p=0.021), FD는 교대근무자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29.5% vs. 18.8%, p=0.119). 교대근무군은 주간근무자보다 수면의 질이 불량하였고(PSQI 7.07± 3.36 vs. 6.11 ± 2.86, p=0.049), 주간 졸림증이 심하였으나 (ESS 9.85± 4.32 vs. 8.29 ± 4.06, p=0.015), 스트레스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BEPSI 2.28 ± 0.79 vs. 2.08 ± 0.77, p=0.86). 다변량 분석에서 IBS의 유병율과 연관된 인자는 교대근무 (OR=3.19, 95% CI=1.29-7.91) 및 불량한 수면의 질이었다 (OR=3.27, 95% CI=1.43-7.51). 다변량 분석에서 FD의 유병과 연관된 인자는 미혼(OR=2.24, 95% CI=1.06-4.73) 및 불량한 수면의 질이었다(OR=3.70, 95% CI=1.06-4.73) 였다. 결론: 교대근무자는 주간근무자에 비해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 수면이상 여부와 무관하게 과민성장증후군이 유의하게 흔히 동반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24시간 생체기능주기 이상은 과민성장증후군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교대근무, 수면장애, 과민성장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