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박성주-
dc.creator박성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3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of children'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forms of children'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e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of five-year-old children occur?,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olitary play,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tary play and lonelines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tary play and self-perception? Subjects for this study are 80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solitary play, Play Observation Scale(POS) developed by Rubin(2001) was adapted and then used. Following Coplan et al(1994), this study were analyzed into three aggregate measure of solitary play consisting of reticent behavior, solitary-passive play, and solitary-active play. For measuring loneliness,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LSDQ) developed by Asher and Wheeler's(1985) and later revised and modified by Cassidy and Asher(1992) and adapted by Jin-Hee Lee(2011), was translated, revised and then used. Harter and pike's(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PSPCSA) was translated by Jin-Hee Lee(2011), and revised and then used to measure self perception of children.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frequency of solitary play's forms was solitary-passive play, followed by reticent behavior, solitary-active play. There aren't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solitary play according to their gender, except solitary-active play. Boys were found to play more solitary-active play than girls.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young children do have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loneliness. And there aren't any differences in loneliness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gender.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young children do hav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elf-perception,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sub-areas of self-perception was cognitive abilities, followed by physical abilities, mother acceptance and peer acceptance. Second, a child's solitary play did show a correlation with lonelines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ionships of the forms of children's solitary play and loneliness. Reticent behavior and solitary-active pla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neliness. However, solitary-passive play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eliness. For boys, solitary pla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neliness. However there are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ionships of the forms of children's solitary play and loneliness. For girls, reticent behavio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neliness. Third, a child's solitary pla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self-perception. Self-perception of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 acceptanc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litary-active play. Self-perception of physical abilitie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ticent behavior and solitary-active play. However, solitary-passive play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self-perception and the sub-types of self-perception. For boys, solitary pla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self-perception. Self-perception of physical abilitie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ticent behavior. For girls, solitary-active pla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self-perception and self-perception of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 acceptance.;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자아인식의 전반적인 양상을 알아보고,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자아인식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 외로움, 자아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혼자놀이와 자아인식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2개의 사립 유치원에 재원 하는 만 5세 유아 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혼자놀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Rubin(2001)의 ‘놀이행동 관찰도구(Play Observation Scale)’를 연구자가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혼자놀이범주는 혼자놀이를 말없는 행동, 혼자 정적 놀이, 혼자 동적 놀이로 나누어 보았던 Coplan 등(1994)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외로움 측정은 Asher와 Wheeler(1985)가 개발한 ‘외로움과 사회적 불만족 질문지(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Cassidy와 Asher(1992)가 만 5세 유아용으로 수정ㆍ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국내에서 이진희(2011)가 번안하여 먼저 사용한 것을 참조로 본 연구에서는 다시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Harter와 Pike(1984)가 개발한 ‘능력인식과 사회적 수용 측정을 위한 그림도구(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를 이진희(2011)가 번안한 것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정과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는 유형별로 혼자 정적 놀이, 억제된 행동, 혼자 동적 놀이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혼자 놀이의 양상은 혼자놀이 전체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혼자 동적 놀이의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외로움과 사회불만족은 유아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자아인식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유형별로 인지능력, 신체능력, 어머니수용, 또래수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인식 또한 남녀 유아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혼자놀이 전체는 외로움과 관계가 있었으며, 혼자놀이의 유형에 따라서는 외로움과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억제된 행동과 혼자 동적 놀이를 하는 유아는 외로움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혼자 정적 놀이는 외로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남아의 혼자놀이는 외로움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하위 유형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아의 억제된 행동은 외로움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혼자놀이 전체는 자아인식과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인지능력과 어머니 수용에 대한 유아의 자아인식은 혼자 동적 놀이와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신체능력에 대한 자아인식은 억제된 행동과 혼자 동적 놀이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혼자 정적 놀이는 자아인식 전체와 하위 유형별로 어떠한 상관관계도 보이지 않았다. 남아의 혼자놀이는 자아인식 전체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신체능력에 대한 자아인식은 억제된 행동을 하는 남아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혼자 동적 놀이를 하는 여아는 인지능력과 어머니수용, 자아인식 전체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5 Ⅱ.이론적 배경 6 A.혼자놀이 6 1.혼자놀이의 개념과 유형 6 2.혼자놀이의 특성 8 B.외로움 11 1.외로움의 개념과 특성 11 2.혼자놀이와 외로움간의 관계 14 C.자아인식 16 1.자아인식의 개념과 특성 16 2.혼자놀이와 자아인식간의 관계 19 Ⅲ.연구방법 21 A.연구대상 21 B.연구도구 21 C.연구절차 25 D.자료분석 27 Ⅳ.연구결과 및 해석 28 A.유아의 혼자놀이,외로움,자아인식 28 1.유아의 혼자놀이 28 2.유아의 외로움 28 3.유아의 자아인식 30 4.성별에 따른 유아의 혼자놀이,외로움,자아인식 32 B.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33 C.유아의 혼자놀이와 자아인식 35 Ⅴ.논의 및 결론 38 A.논의 38 1.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외로움,자아인식 양상 38 2.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간의 관계 41 3.유아의 혼자놀이와 자아인식간의 관계 44 B.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50 부록 57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2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혼자놀이와 외로움 및 자아인식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solitary play and loneliness, self-perception-
dc.creator.othernamePark, Sung Ju-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