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초혜-
dc.creator김초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4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esigned formative activity influences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children's spatial ability? 1-1.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eye-motor coordination ability? 1-2.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spatial reasoning ability? 1-3.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figure-ground perception ability? 1-4.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visual memory and recollection ability? 1-5.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position-in-space perception abil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0 four-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classes at P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One class was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was classified as a comparative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20 members. This study used Hong(2001b)'s children's spatial ability test which partially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You(2004) to measure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designed formative activ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five weeks. The formative activity for the comparative group had been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five weeks. To assess the difference in points between the advance test and final test of the two groups,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spatial ability, i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such as eye-motor coordination. From this study, the result implies that the designed formative activity should be used to develop children's spatial ability in kindergartens.;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가.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눈-운동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적 추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형태-바탕지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시각적 기억 및 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마.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위치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P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개 학급 중 A반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B반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공간능력에 대한 사전검사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공간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el Grande(1990)가 범주화한 공간능력의 구성 체계를 기초로 하여 홍혜경(2001b)이 제작한 유아의 공간능력 검사도구를 유경숙(2004)이 인쇄상태와 검사도구의 몇 가지 미비한 사항들을 부분 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간 이루어졌으며 실험기간 동안 생활주제에 따라 10회의 입체조형활동이 전개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모든 유아는 10회의 입체조형활동을 경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주제의 전개에 따라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을 하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사전설계 없이 입체조형활동을 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은 유아의 공간능력을 증진시키며, 특히 공간능력의 구성요인인 눈-운동 협응 능력 증진에 더 효과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의 공간능력 5 1. 유아의 공간능력 개념 5 2. 유아의 공간능력 구성요인 8 B. 입체조형활동 12 1. 입체조형활동의 개념 및 종류 12 2. 입체조형활동의 교육적 가치 15 3. 사전설계의 중요성 18 C. 관련연구 21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연구도구 25 C. 연구절차 29 D. 자료분석 37 Ⅳ. 연구결과 38 Ⅴ. 논의 및 결론 40 A. 논의 40 B.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8 부록 56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78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esigned Formative Activity over Children's Spatial Ability-
dc.creator.othernameKim, Cho Hae-
dc.format.pagev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