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유나영-
dc.creator유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1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4, 5세반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양상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1-1.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일반적 양상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아의 개인변인, 공간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반 유아 86명이었다.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Guerrero(2005)가 개발한 ‘Observer Ratings of Nonverbal Involvement and Immediacy’를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정,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전반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체와 하위범주인 직접성, 표현성, 타인지향, 유창성, 안정성, 긍정적 감정에서 모두 보통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하위범주 중 안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성, 타인지향, 긍정적 감정, 표현성, 유창성 순이었다. 그러나 최저 점수와 최고 점수 간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변인에 따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전체와 하위범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직접성 범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만 5세반 유아가 만 4세반 유아보다 직접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간변인(실내놀이, 실외놀이)에 따라서는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체와 모든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체와 표현성, 타인지향, 유창성, 안정성, 긍정적 감정은 실외놀이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성은 실내놀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범주와 또래 유능성의 모든 범주 간에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또래 유능성이 높고, 또래 유능성이 높을수록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general patter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4-and 5-year-old children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heir peer competence. For these purpose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patter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do young children show during free choice activity hours? 1-1. What are the general patterns of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1-2. How is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and spatial variables? 2. What relation is there betwee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heir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6 children of 4-and 5-year-old classes at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do.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we used a questionnaire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ranslating and revising ‘Observer Ratings of Nonverbal Involvement and Immediacy’ developed by Guerrero (2005). In addition,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with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oo‐hee & Lee Eun hae (2001). From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were obtain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appeared to be active in general. Scores above average were observed for overall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ts sub-categories immediacy, expressiveness, altercentrism, smooth interaction management, composure and positive affect. Among the sub-categories, composure showed the highest score, which was followed by immediacy, altercentrism, positive affect, expressiveness, and smooth interaction management. However, the range of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score and the highest one was wide, showing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ables, their overall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ts sub-categori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only sub-category immedi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That is, immediacy was higher in 5-year-old children than in 4-year-old ones. According to spatial variables (indoor play, outdoor pla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overall nonverbal communication and all of its sub-categories. That is, overall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ts sub-categories expressiveness, altercentrism, smooth interaction management, composure and positive effect were higher in outdoor play, and sub‐category immediacy was higher in indoor play.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eer competenc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ll the sub-categ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all the sub-categories of peer compet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children do nonverbal communication the higher their peer competence is, and the higher their peer competence is the more they do nonverbal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II.이론적 배경 5 A.비언어적 의사소통 5 1.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및 특성 5 2.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8 B.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관계 12 1.유아의 또래 관계 12 2.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15 III.연구방법 17 A.연구대상 17 B.연구도구 18 C.연구절차 22 D.자료분석 24 IV.연구결과 및 해석 26 A.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26 1.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일반적 양상 26 2.변인에 따른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27 B.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31 V.논의 및 결론 33 A.논의 33 1.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33 2.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37 B.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2 부록 55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9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내·외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General Patterns of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in Indoor·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Its 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Lew, Na Young-
dc.format.pagevii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