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Title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among Daily Stress, Ego-resilience, Hope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uthors
박새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청소년들은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과도기적 단계를 거치면서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적응상의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청소년기 이후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과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종류의 사회부적응을 낳게 된다. 일단 청소년 문제가 심화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나면 그 해결이 쉽지 않으므로 예방적이고 발달적인 관점에서 청소년 문제의 원인이 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그와 관련한 정서적, 심리적 기제와 함께 청소년에게 주어진 환경으로부터의 기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심리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보호·완충요인으로서 자아탄력성과 희망감,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해 보고한 여러 연구들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를 밝히고는 있으나 일상적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둘째,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자아탄력성, 희망감, 사회적지지 변인이 문제행동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문제행동과 관련한 변인들이 어떠한 경로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대한 체계적 이해도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각각의 변인들의 효과는 밝히고 있지만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해 볼 때,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내적 변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을 함께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따른 문제행동 및 심리적 문제, 자아탄력성, 희망감, 사회적지지의 관계를 밝히고, 특히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희망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문제행동척도, 자아탄력성척도, 희망감척도, 사회적지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는 한 차례의 예비조사 후 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11년 10월에 배포 및 회수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5개교와 중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1, 2학년 1,030명의 학생으로,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1,027명 이었으며, 이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27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0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 사후검정(post hoc test)을 실시하였다. 둘째,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희망감, 사회적지지, 문제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중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희망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절차를 바탕으로 위계적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분석(medi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년과 성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모든 유형의 스트레스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개인처지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불안과 우울, 신체적 증상과 같은 내재화문제행동이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을 포함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사회적 지지는 내재화 ·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적 스트레스와 내재화 · 외현화 문제행동에 자아탄력성과 희망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상적 스트레스와 내재화 문제행동에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와, 교육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Adolescents experience various problems in their adjustment as they suffer heavy stress while going through radical changes in their social lif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Various types of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affect their subsequent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and growth, and bring about various forms of social maladjustment. Once a juvenile problem has deepened and become a social problem, it is hardly solvable. Therefore, research from a preventive and developmental viewpoint is necessary on the mechanism of juvenile problems given to adolescents by their environment in addition to daily stress causing juvenile problems as well as relate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i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hope, and social support as protection and buffering factors emphasized recently in the area of psychology.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out of awareness of two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as follows. First, many studies reported about adolescents’ daily stress and they have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and problem behavior, but few of them approached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 of daily stress in an integrated way. Second, it is expected that variables such as ego-resilience, hope and social support are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not many studies have analyzed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What is more, further systematic understanding is required on paths through which variable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affect problem behavior. Moreover, the effect of each variable has been expounded, but considering that adolescents are easily influenced by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due to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t was hard to find studies dealing with both individual inner variables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together. Recognizing these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relations among problem behavior, and psychological problems, ego&·resilience, hope,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adolescents’ daily stress,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hop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collected data.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daily stress scale, problem behavior scale, ego&·resilience scale, hope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It was revis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was performed, in whic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covered in October, 201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0 students including 5th and 6th graders from 5 elementary schools and 7th and 8th graders from 4 middle schools in Seoul. Of the students, 1027 replied to the survey and 10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students’ daily stres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relations among daily stress, ego&·resilience, hope, social support, and problem behavior.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typ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behavior. Fourth,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dure of Baron & Kenny (1986)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hope on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and problem behavior. Fift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daily stress and problem behavior type according to adolescents’ gender and grade, every type of stress was experienced more in higher grades, and commonly experienced types of stress were stress from study, stress from appearance, and stress from personal situation. In addition, this difference was determined by female students. What is more, problem behavior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ones. Among problem behavior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were experienced more commonly.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roblem behavior, daily stress, ego&·resilience, hope and social support and all of their sub&·factors were found to affect bo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ird, ego&·resilience and hop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and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Fourth,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daily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and for educational counseling, and proposed tasks for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