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김린아-
dc.creator김린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18-
dc.description.abstractIt has been known that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s controlled i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resent ‘good standard’ about the attire of the residents. However, the trends of existing research about clothing life analyzed ‘actual’ clothing that they wore. This means that not many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control pattern of North Korean authorities to regulate the clothing life of residents. The concern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phenomenon in which North Korean authorities recommend even the length of woman’s skirt as ‘Clothing policy’ and to analyze it. The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has the goal itself. However, it is included in macroscopic mission as well as appears as part of a strategy to achieve. Thus, studying Clothing policy is also a part of process to determine how North Korean authorities implement the policy to perform the miss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specific objectives are presented. First, we would like to define the Clothing policy and determine whether North Korean authorities implement the Clothing policy. Second, we would like to confirm the contents and changes of objectives in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Third, we would like to analyze how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are connected to the contents of remark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nd the internal as well as external environment at that time. Fourth,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relevance of goals and objectives of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and the missions from the different periods. Based on above contents, North Korean authorities has implemented Clothing policy specifically by establishing and taking advantage of Clothing policy fit to the various missions from different periods. In this study, the range of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was limited to Kim Il Sung and Kim Jong Il's orders on clothing style of residents and area of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The scope of time for this study ranged from 1945 to 2004. “Kim-Il-Sung-Cho-Jak-Chip (Kim Il Sung Works)” and “Kim-Jong-Il-Son-Chip (Kim Jong Il selection)” were selected as major target materials for analysis. Since the available latest edition of “Kim-Jong-Il-Son-Chip” contained the literature published in 2004, 2004 was selected as the end of range. Procedures to select the specific materials f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follows. The terms related to Clothing policy were set as keywords and target materials for analysis were selected through search on “Kim-Il-Sung-Cho-Jak-Chip” and “Kim-Jong-Il-Son-Chip”. A total of 164 literatures were selected through above procedures. 164 literatures were divided into the clothing style and the production area. If duplicate was found during classification procedures, they were included in both cases. As a result, 46 literatures belonged to area of clothing style and 131 literatures belonged to area of clothing production. The division of its periods based on changes in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was preferentially determined depending on changes in policy goals in the field of clothing style. When goals, objectives and missions of policy in field of clothing production wer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they belonged to one period.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implemented the Clothing policy. The Clothing policy in North Korea in this study meant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made authoritative and formal decisions on clothing life of residents with the sense of purpose and made and carried out plans including specific practical measures to implement it. Second, Clothing policy had the following meanings. Clothing policy played a role as a tool to control the microscopic area of life of residents and utilize it depending on purpose by leaders of North Korea. In addition, once Clothing policy was enforced, residents took it for granted that they followed the norms of leaders in North Korea. Third, policy objectives of Clothing policy was set and carried out to achieve the mission of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policy objectives in each period classified based on changes in Clothing polic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period from 1947 to 1950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iod, North Korean authorities ordered frugal clothing style and emphasized the increase of cloth production in the clothing production to construct the socialist states. In period from 1961 to 196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iod,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e convenient clothing style and the increase in clothing production to build a socialist economic system. In period from 1961 to 1980s corresponding to the third period,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e clean and neat clothing style and the increase of winter clothing in clothing production. Especially, from late 1960 to early 1970, the increase of winter clothing to prepare for war was mentioned. The Clothing policy in the third period started with missions for economic growth and establishment of a monolithic ruling system. In period from 1980 to 1989 corresponding to the fourth period,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e various clothing styles and aimed at diversification and modernization in clothing production to develop the economy and obtain the legitimacy of the monolithic ruling system and hereditary power. In period from 1989 to 2004 corresponding to the fifth period, North Korean authorities mission was summarized to defend their system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aimed to encourage residents to wear JoSeon clothing(traditional clothing) and to increase the cloth and clothing production which satisfied the preference of residents as goals of Clothing policy. Information, education, regulation and standards were provided as a specific means of enforcement of the costume. Propaganda meant such as movies, “JoSeon Yeosung(Women in North Korea)” and “Cheon-Li-Ma” provided background and contents of establishment of policy with residents 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home, school and communities. If the clothing style was not fit to the norms, it was regulated through 'The Review Meeting of The Party Life' and ‘crackdown or control project’. In addition, the concrete way of dressing has been spread out with a way of ‘movement to learn by following’.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at PyeongYang became the example of North Korea and applied the policy in PyeongYang at first. Besides, the correct standard was presented through clothing exhibi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presented the mission and policy objectives which were macroscopic policies depending on different periods and implemented the Clothing policy with a target of microscopic area of clothing life. Therefore, after division of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thing policy was being established and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to satisfy the mission of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policy-making and enforcement by North Korean authorities were being performed in the direction to satisfy the mission of each period.;북한에서는 주민의 일상생활도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당국은 주민의 옷차림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표준’을 제시한다. 그런데 북한 주민의 의복생활에 관한 기존의 연구 동향은 ‘실제로’ 어떤 옷을 입는지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말은 곧 기존연구에서 주민의 의복생활을 규제하는 북한당국의 통제 양상을 분석하는 사례가 많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북한당국이 여성의 치마 길이까지 권고하는 현상을 ‘복식정책’으로 인식하고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북한의 복식정책은 그 자체로 목표를 갖지만 동시에 당국의 거시적인 목표(mission)안에 위치하며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복식정책을 연구한다는 것은 북한당국이 미션의 수행을 위해 정책을 어떻게 구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목적을 제시한다. 첫째, 복식정책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북한당국이 복식정책을 구사해 왔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고자한다. 둘째, 북한 복식정책 목표의 내용과 변화를 확인한다. 셋째, 북한 복식정책의 발생 배경과 목적이 김일성과 김정일의 발언 내용 및 당시의 대내적・대외적 환경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넷째, 북한 복식정책의 목표 및 목적과 북한당국의 시대별 미션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이상의 내용으로 미루어 북한당국은 미션에 맞게 정책을 수립하고 활용해서 구체적으로 집행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북한 복식정책의 범위를 김일성과 김정일이 주민들의 옷차림과 피복 및 방직 생산 분야에 대해 지시한 내용으로 한정한다. 분석대상 시기의 범위는 1945년부터 2004년으로 정한다. 주요 분석대상 자료는『김일성저작집』과 『김정일선집』을 선택하였다. 『김정일선집』의 입수 가능 한 최신본이 2004년까지의 문헌을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2004년을 시기 범위의 마지막 시점으로 한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 자료의 선별 절차는 복식정책과 관련 있는 용어를 핵심어로 정하고 『김일성저작집』과 『김정일선집』을 검색해서 분석 대상 자료를 확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과정을 거친 결과 총 164건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164건의 문헌을 옷차림과 생산 분야로 구분하였는데 문헌을 구분하는 과정에서 중복되는 사례가 나타나면 양쪽에 모두 포함하였다. 그 결과 옷차림 분야에 관한 문헌은 46건, 의복 생산 분야에 관한 문헌은 131건으로 나타났다. 북한 복식정책의 변화에 따른 시기 구분은 옷차림분야의 정책목표 변화에 따라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의복 생산 분야 정책의 목표․목적․미션이 동일하거나 시기가 유사한 경우 하나의 시기로 묶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당국이 복식정책을 구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 북한의 복식정책이란 주민의 의복생활과 관련하여 북한당국이 목표의식을 갖고 옷차림에 대해 권위적이고 공식적인 결정을 내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수단을 포함한 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복식정책은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복식정책은 북한의 지도자가 주민의 미시적인 삶의 영역까지 통제하고 목적에 따라 활용하는 도구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식정책을 시행하면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지도자의 규범을 따르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셋째, 복식정책은 북한당국의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목표가 설정되고 실행된다. 복식정책의 변화에 따라 구분한 각 시기의 정책목표와 미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시기에 해당하는 1947년부터 1950년대까지 북한당국은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위해 간부와 주민에게 검박한 옷차림을 지시하며 의복 생산에서 천 생산량의 증대를 강조한다. 제2시기에 해당하는 1961년부터 1964년까지 북한당국은 사회주의 경제체제 구축을 위해 편리한 옷차림과 옷 생산량 증대를 강조한다. 제3시기에 해당하는 1961년부터 1980년까지 북한당국은 옷차림 분야에서 깨끗하고 단정한 옷차림과 의복 생산에서 겨울옷 생산량 증대를 지시한다. 특히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반기는 전쟁준비를 위한 겨울옷 생산량 증대를 언급한다. 제3시기의 복식정책은 경제성장과 유일지배체제 확립이라는 미션에서 비롯된다. 제4시기에 해당하는 1980년부터 1989년은 경제성장과 유일지배체제 및 권력세습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옷차림을 강조하면서 의복 생산에서도 생산의 다양화와 현대화를 목표로 한다. 제5시기에 해당하는 1989년부터 2004년에 북한당국의 미션은 체제수호로 요약되며 조선옷 착용 장려 정책과 함께 인민의 기호에 맞는 천과 옷 생산 증대를 복식정책의 목표로 삼는다. 복식정책의 구체적인 집행 수단으로는 정보제공, 교육, 규제, 표준제시 등이 등장한다. 영화와 『조선녀성』, 『천리마』등의 선전수단은 정책수립의 배경과 내용에 대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하고 가정, 학교, 사회조직은 교육 및 교양사업을 진행하며. 옷차림이 규범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생활총화’와 ‘단속 통제 사업’을 통해 규제한다. 그리고 옷차림의 구체적인 방법은 ‘따라 배우기 운동’의 방식으로 전파하는데 북한당국은 평양이 전국의 모범이 될 것을 강조하며 우선적으로 정책을 적용하고 이 외에 옷 전시회를 개최하여 올바른 표준을 제시한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 북한당국은 각 시기에 따라 거시 정책 목표인 미션과 정책 목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차원에서는 주민의 의복생활이라는 미시적인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복식정책을 구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분단이후 복식정책은 북한당국의 미션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수립되고 실천되어 왔으며 또한 북한당국의 정책결정과 집행도 시대의 미션에 부응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선행연구 검토 3 C.연구의 대상과 범위 5 D.연구의 재료와 방법 7 1.연구재료 7 2.연구방법 9 가.복식정책의 추출 9 나.복식정책 변화에 따른 시기 구분 10 Ⅱ.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15 A.정책의 개념과 성립조건 15 B.정책과 환경의 관계 16 C.정책의 구조 17 D.분석틀 20 Ⅲ.북한 복식정책의 정의 22 A.복식의 기능과 정책수단화 22 B.북한 복식정책의 정의와 성립 24 C.북한 복식정책의 의미 28 Ⅳ.북한 복식정책 목표의 변화 32 A.제1시기[1947-1959]:검박한 옷차림과 천 생산량 증대 32 1.옷차림 분야 :검박한 옷차림 32 2.의복 생산 분야 :천 생산량 증대 36 B.제2시기[1961-1964]:편리한 옷차림과 옷 생산량 증대 38 1.옷차림 분야 :노동과 생활에 편리한 옷차림 38 2.의복 생산 분야 :옷 생산량 증대 43 C.제3시기[1961-1980]:깨끗한 옷차림과 겨울옷 생산량 증대 46 1.옷차림 분야 :깨끗하고 단정한 옷차림 46 2.의복 생산 분야 :겨울옷 생산량 증대 60 D.제4시기[1980-1989]:다양한 옷차림과 의복 생산의 다양화 현대화 63 1.옷차림 분야 :다양한 옷차림 63 2.의복 생산 분야 :의복 생산의 다양화 및 현대화 67 E.제5시기[1989-2004]:조선옷 착용 장려와 인민의 기호에 맞는 천과 옷 생산량 증대 74 1.옷차림 분야 :조선옷 착용 장려 74 2.의복 생산 분야 :인민의 기호에 맞는 천과 옷 생산량 증대 79 Ⅴ.북한 복식정책의 구조와 수단 84 A.북한 복식정책의 구조 84 1.제1시기[1947-1959]: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복식정책 84 2.제2시기[1961-1964]:사회주의 경제 구축을 위한 복식정책 87 3.제3시기[1961-1980]:경제성장과 유일지배체제 확립을 위한 복식 정책 88 4.제4시기[1980-1989]:경제성장과 유일지배체제 및 권력세습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복식정책 92 5.제5시기[1989-2004]:체제안정성도모 및 체제유지를 위한 복식정책 95 B.북한 복식정책의 구체적 집행 수단 97 1.정책수립의 배경과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97 2.옷차림에 대한 교육교양사업 100 3.옷차림 규제와 단속 102 4.옷차림의 표준제시 103 Ⅵ.결론 105 A.연구 내용 요약 105 B.연구의 한계 108 참고문헌 110 <부록1> 북한 복식정책 목표의 변화와 정책 환경 115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8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의 복식정책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lothing policy of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Kim, Lin A-
dc.format.pageix,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