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

Title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
Other Titles
Korean Mothers' Beliefs as related to Temperament of their Toddler Boys and Girls
Authors
윤기봉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영아를 둔 어머니가 자녀의 기질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그러한 신념이 영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 외향성, 주의통제력 기질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에 성차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 중 어머니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과 가장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이 무엇인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들은 무엇인지, 영아가 그 기질 특성을 보일 때 어머니의 반응들은 어떠한지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18개월 ~ 36개월의 자녀를 둔 어머니 50명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를 통해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수준을 측정하였고, 어머니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용된 질문지는 Rothbart(2009)의 걸음마기 영아 대상의 기질 척도인 ECBQ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의 short-form으로, 부정적 정서성, 외향성, 주의통제력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인터뷰는 어머니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영아가 그 기질특성을 보였을 때 어머니의 반응과 반대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대한 구조화된 7개의 질문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 내용의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고, t-test 검증을 하였으며, ECBQ 척도의 신뢰도를 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한 인터뷰 내용은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에 따라 코딩하여 항목을 명명화하고, 이 항목들을 유목화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 수준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성을 외향성이나 주의통제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였고, 남아가 여아보다 외향성이 높다고 지각하였다. 둘째, 어머니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특성으로 높은 사회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긍정적 정서, 높은 주의통제력이 나타났다. 그러한 특성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사회성, 발달적 이유, 양육수월성, 행복 순으로 나타났는데, 남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어머니보다 발달적 이유를 더 많이 들었다. 또한 영아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을 보일 때, 어머니는 언어적인 격려, 신체적인 격려, 무반응 및 물질적 보상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특성으로 부정적 정서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낮은 주의통제력, 낮은 사회성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어머니보다 낮은 주의통제력과 낮은 사회성을 좀 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 반면, 여아의 어머니는 남아의 어머니보다 부정적 정서성을 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특성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사회성, 양육, 발달적 이유가 나타났으며, 안전의 이유도 나타났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한 이유에서처럼, 남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어머니보다 발달적 이유를 더 많이 들었다. 또한 영아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질특성을 보일 때, 어머니는 단호하게 자제시키기, 설명을 통해 자제시키기, 문제해결 해주기, 최소화 반응, 스트레스 반응, 처벌적 반응, 비일관적인 반응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어머니는 남아의 어머니보다 영아에게 최소화 반응을 더 보이는 반면, 남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어머니보다 단호하게 자제시키기, 설명을 통해 자제시키기 반응을 더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걸음마기 영아를 둔 어머니는 바람직한 기질특성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기질 특성 모두에서 사회성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몇몇 특성이나 이유, 이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 성차가 나타나 어머니들이 여전히 성차별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신념을 이해하는 한편, 우리나라 아동의 정서사회 행동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Koreans mothers' beliefs (importance, reason, & reaction response) regarding toddlers' temperament (Affect, Extraversion, & Effortful Control). The subjects were mothers of 50 toddlers (Mean Age= 34.1, 54% boys)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child's temperament (Negative affect, Extraversion, & Effortful Control) and interview questions on toddlers' desirable/un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 reason why mother think it is desirable/undesirable and mothers’ reaction when her toddler shows desirable/un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 Analyses of the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Paired t-test, Cronbach's α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s mothers thought High-Sociality, Positive affect and High-Effortful Control as toddlers' 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s. Second, the reasons why Koreas mothers provided for the importance of each toddlers' 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s were Sociality, Developmental reason, Easy-Parenting and Happiness. There was a sex difference that mothers of boys reported more Developmental reason than mothers of girls. Third, when toddler showed 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 mother gave verbal encouragement, physical encouragement, no-reaction and material rewards. Fourth, Koreas mothers thought Negative Affect, Under-Effortful Control and Low Sociality as toddlers' un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s. There were sex differences that mothers of boys reported more undesirable Under-Effortful Control and Low Sociality than mothers of girls and that mothers of girls reported more undesirable Negative Affect than mothers of boys. Fifth, the reasons why Koreas mothers provided for the importance of each toddlers' un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s were Sociality, Parenting, Developmental reason and Safety. Mothers of boys reported more Developmental reason than mothers of girl revealing sex difference in the reason of undesirable temperament. Sixth, when toddler showed undesirable temperament character, mother gave firm inhibition, reasoning, problem-solving reaction, minimization reaction, distress reaction, punitive reaction and inconsistent reaction. Mothers of boys reported more firm inhibition and reasoning than mothers of girls. and mothers of girls reported more minimization reaction than mothers of boys revealing sex difference in the reaction of undesirable tempera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