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지역화폐 운동 대안성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Title
지역화폐 운동 대안성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Other Titles
A Feminist Study of the Alternative Nature of Community Currency Movement: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Hanbat LETS
Authors
조옥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순경
Abstract
본 연구는 시장 너머를 상상하는 대안운동 지역화폐의 실천 과정에서 성별의 문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안경제 가능성과 공동체 재구성이라는 지역화폐 운동의 대안성이 여성주의와 어떻게 만나는지 살펴보고, 지역화폐 운동 나아가 대안운동의 과정이 성별성을 해체하는 해방적 시,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인 한밭레츠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고 활발한 거래와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화폐 공동체로 다양한 층위의 여성/남성이 공존하고 있어 성별문제를 알아보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한밭레츠 참여자들의 성별특성과 거래의 성별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 분석하고, 거래상황과 활동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밭레츠는 국내 지역화폐 운동과 환경운동을 비롯한 대전지역의 새로운 지역운동 흐름 속에 2000년 2월 창립되었다. 사회운동경험이 있는 몇몇 남성이 주축이 된 초창기 그룹, 한밭레츠 회원 중심의 의료생협이 만들어지고 영구임대와 중산층 아파트가 함께 있는 법동에 등록소를 마련하면서 유입된 지역주민, 거래와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전업주부를 포함한 여성 등 세 층위가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거래량, 활동과 프로그램 참여율, 의사결정구조 등을 고려해볼 때 한밭레츠는 갈수록 여성들이 중심이 되는 지역화폐 공동체가 되고 있다. 둘째, 한밭레츠 참여자의 성별은 여성 65.6%, 남성 32.6%로 여성이 2배 이상 많고, 2001년까지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다가 2002년부터 여성이 많아지기 시작하였으며 40대와 30대 여성이 가장 많다. 성별 직업분포를 보면 여성은 주부, NGO 활동가, 교사 공무원, 전문직 강사, 간호사 돌보미 순이었고 남성은 NGO 활동가, 전문직 강사, 회사원, 농업의 순으로 뚜렷한 성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거래의 성별 현황을 살펴보면 거래참여율에서 여성은 69.1%, 남성은 22.5%로 여성이 훨씬 많았다. 거래량에서 여성은 지역화폐 두루를 쓴 구매(소비, 65.4%)가 두루를 번 판매(생산, 노동 서비스 24.8%)에 비해 많았고, 남성은 두루를 쓴 것과 번 것이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총거래량은 여성(45.1%)이 남성(9.1%)보다 약 5배 정도가 많았다. 이러한 거래 참여의 차이는 활동 참여의 차이와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비시장 거래에서 두루를 번 것은 여성이 남성 보다 8.5배 정도 많았다. 특히 재화부분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재활용품은 60배, 서비스 교육부분은 10배 이상이 많아 뚜렷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여성은 전체적으로 두루를 쓴 구매가 두루를 번 판매에 비해서 훨씬 많지만 비시장 재화와 서비스 영역에서는 두루를 버는 판매 즉 노동과 서비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일상의 삶으로 인식되며, 필요와 재미로 시작하고 관계로서의 교환과 이웃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게 되는 한밭레츠 지역화폐는 서로의 상황을 고려하고 유용성과 쓰임새에 의해 가치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교환거래의 효과로 비시장 영역이 가치화 되고, 탈자본주의적 호혜시장이 실험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주로 여성들이 수행해왔던 가사, 보살핌 노동 등이 가시화되고 재평가 되었다. 여성노동이 재평가 될 때는 가치체계와 방식 면에서 기존시장과는 다르지만, 가치의 수량 면에서는 시장가격이 참고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지역화폐 가치화 과정 분석을 통해 여성을 화폐 밖으로 밀어내 배제시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상품화를 통해 유입시키고, 유입된 후에는 화폐시장 안에서 여성과 남성을 분리시키는 등 다중화된 화폐의 성별성이 해체될 수 있을지 검토해 보았다. 먼저 저평가 되던 여성의 일과 노동이 가치화 되고, 가능한 한 지역화폐로 거래하려고 하지만 이윤을 추구하지 않기 때문에 배제와 유입의 측면에서는 화폐 성별성의 해체 가능성이 일부 보인다. 하지만 여성과 남성이 구분되는 분리적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별분업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공동체 재구성 과정에서 한밭레츠 여성들은 상호 호혜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적인 관계와 관계성을 기반으로 관계적 주체가 되거나 되어가는 과정 속에 있는 여성이 많다. 또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일상성을 기반으로 하며 참여자 여성의 경험을 중시하고, 비교적 수평적이며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고, 질과 책임성 및 공동체성을 우선시 하는 것 등을 고려해 볼 때 여성주의가 추구하는 가치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연결 지점들이 있다. 가족및 공동체 외부 지역운동 현장과 연결망을 이루어 지역화폐 운동의 가치와 실천역량을 차츰 확장해 가는 여성들도 상당수 있다. 반면 남성들의 거래와 활동은 점점 줄어들고 있어 공동체 내 성별분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밭레츠는 여성이 중심이 되는 공동체로써 여성의 활동과 노동에 대한 인식변화가 남성들과 공동체로 확장돼가고 성차별을 개선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참여자 성별에 상관없이 살림과 보살핌이 여성의 일이라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견고하고, 비교적 덜 가부장적이라고 말해지지만 참여자 남성들이 갖는 다양한 가부장적 스펙트럼은 성별분업을 줄이거나 해체시키는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다섯째, 나로부터 출발하는 일상의 작은 거래와 변화가 결국 기존사회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일종의 운동의 나비효과를 기대하는 대안운동 현장 한밭레츠의 활동과정에서 성별분업 나아가 성별성을 줄이거나 해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상호 호혜적으로 연결되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공동체의 주체가 돼가는 참여자 여성들은 물론 변화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일부 남성과 노인 그리고 참여자 자녀들의 거래와 활동에 대해 의미부여하며, 성별분업 혹은 성별성에 균열을 내는 긍정적 변화의 힘을 더욱 강화 확장해 가야 한다. 또한 참여자들이 성별에 상관없이 갖고 있는 살림과 보살핌이 여성의 영역이라는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문제인식부터 시작해서 일상의 거래와 활동을 통해 이를 어떻게 바꿔 나갈 것인지를 구체적,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아울러 참여자 남성들의 가부장성을 해체하기 위해 남성들의 활동과 거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가사와 육아의 보조자가 아니라 가정에서부터 책임을 함께 나누는 실천이 병행돼야 할 것이다. 특히 한밭레츠 참여자 여성들은 성역할 고정관념 등 변화되어야 할 구성원이지만 동시에 지역화폐 운동의 성별성을 줄이거나 해체하기 위한 중요한 거점이 되고 있다. 전통적인 가정 내 성별분업에서 벗어나 공동체 및 지역사회와 연결망을 이루면서 탈 자본주의적 호혜시장과 공동체 재구성을 지향하는 지역화폐 운동의 가치와 내용을 사회화 시켜 나가고 있다. 지역화폐 운동을 실천하며 확장해가는 참여자 여성들은 기존에 사회적으로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는 성별의 의미를 넘어서거나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는 지역화폐 거래와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일부 참여자 남성과 양성적으로 자라고 있는 일부 아이들도 마찬가지이다. 변화과정에 있는 이들은 지역화폐 운동 나아가 대안운동에서 성별성 해체의 시공간을 만들어 가는 자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기존의 화폐 및 지역화폐 연구가 몰 성적인 것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성별분석을 시도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적인 자료 분석과 함께 심층면접, 참여관찰 등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방법론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아울러 여성주의와 지역화폐 운동 나아가 대안운동을 하는 여성들이 어떻게 만날 수 있을지를 모색하였으며, 전업주부를 비롯한 여성들의 공동체 활동이 갖는 긍정성과 공동체 내 성별성을 함께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계층, 연령 등 참여자들의 다양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참여자들 중심의 분석이 되면서 그 외 참여자들의 문제의식과 새로운 변화의 흐름을 포함하지 못하였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issue of gender works in the practice of community currency as alternative movement with imagination beyond the market. The study examined how the alternative nature of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seeking potential for alternative economy and re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encounters with feminism. It also aimed to explore what conditions are required for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and the process of alternative movement to become a liberating temporal and spatial venue which disintegrates gender traits. Hanbat LETS, a case for this study, is a community using a community currency called duru where the longest and most active transactions and activities are made in Korea. As it has various tiers of women and men, the community was expected to be useful for looking into the issue of gender. To grasp the gender traits of participants in Hanbat LETS and the gender tendency of transactions, the study analyzed data together wit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transaction situation and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bat LETS was established in Feb. 2000 amid the trends of domestic community currency movement, environment movement and new community movement in the Daejon area. Three tiers of participants coexisted in the community: I) the initial group led by a few men with social movement experiences, II) local residents who joined the movement as the medical cooperative was made centering on Hanbat LETS members and a registration center was established in Beop-dong, Daejon, where long-term lease apartments and condominiums for the middle class are interspersed, and III) women including full-time housewives who took the lead in transactions and activ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amount of transactions,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programs, and decision-making structure, Hanbat LETS has gradually become a women-centered community using the community currency. Second, there were 65.6 % female participants in Habat LETS, more than double the 32.6% male participants. Women and men accounted for a similar portion until 2001 but women began to take up a greater proportion in 2002. The largest number of women was in their 30s and 40s. Occupational distribution by sex show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 comprised housewives, NGO activists, teachers & officials, professional instructors, nurses & helpers in that order, while men consisted of NGO activists, professional instructors, employees and farmers.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ransactions by sex showed that women had a much higher participation rate of 69.1%, compared to men at 22.5%. In terms of the amount of transactions, women had more purchases using the community currency duru (spending 65.4%) than sales earning duru(production and labor service 24.8%), while men had similar trends of using and earning duru. Women (45.1%) had the total amount of transactions about five times more than men(9.1%). This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transactions can be seen as in the similar context to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activities. Women earned duru in the non-market transactions 8.5 times more than men. In particula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goods between sexes as women earned duru from recycling 60 times and from service & education 10 times more than men did. This shows that though women generally had far more purchases using duru than sales earning duru,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sales, labor and service, earning duru from the non-market goods and services. Third, Hanbat LETS community currency movement perceives transactions as daily life, begins with needs and fun, and recognizes in a new light the value of exchange and neighbors as relationships. In many cases, the value of the currency was formed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each other and by usefulness and use of the currency. The effect of exchange led to addition of value to the non-market realm and to the experiment of the non-capitalist reciprocal market. In the process, housework and care work mostly undertaken by women took shape and were re-evaluated. When women's work was re-evaluated, the market value of the work sometimes served as a reference in terms of the amount of the value although women's work was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markets from the aspect of value system and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value-adding process of the community currenc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disintegrate the multiple gender traits of currency, which expel and exclude women out of currency and at the same time include them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then separate women from men in the currency market once they are included. First, the currency movement had a possibility of disintegrating the gender traits of currency in terms of exclusion and inclusion because value was added to women's underestimated housework or care without pursuing profits from the transactions of community currency, if possible. However, the movement was limited in that the use of the community currency separated women from m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xed idea of gender role and gender-based division of work. Fourth,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community, many women in Habat LETS became or were becoming relational actors based on reciprocally connected horizontal relationships. Also, although it was unintended, the community attached importance on women's experiences based on their daily lives, formed relatively horizontal and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and put priority on the quality, responsibility and communality. Given all this,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had connections to interact with the value pursued by feminism. A considerable number of women gradually expanded the value of community currency movement and competency for practice by forming networks with families and local movement sites outside the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clear sign of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community as men's transactions and activities gradually decreased. As a women-centered community, Habat LETS had a positive effect of spreading changes in view of women's activity and work toward men and the whole community as well as improving sexual discrimination. However, regardless of participant sexes, there was still a strong fixed idea of gender role that housework and care are women's work. Although they were called relatively less patriarchal, male participants also had a variety of patriarchal spectrum which worked as limitations in reducing or disintegrating gender-based division of work. Fifth, Hanbat LETS as an alternative movement expects to bring a so-called "butterfly effect," where a small change in daily transactions starting from oneself can result in a crack in the existing society. To reduce or disintegrate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and further gender traits in the process of the activity, it seems that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eded: Above all, significance should be given not only to female participants who are turning into the main actors in the community based on reciprocally connected relationships but also to the transactions and activities of some men, seniors, and participants' children who experience the changing process. The force of positive change that disrupts gender-based division of work and gender trait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and expanded. Also, a sense of problem is called for the fixed idea of gender role held by participants, either male or female, that housework and care belong to women's realm or work. We should also specifically and continuously think over how to achieve change through daily transactions and activities. In addition, to disintegrate the patriarchal strains in male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devise strategies for promoting men's active engagement in transactions and activities. At the same time, men should practice sharing responsibilities for housework, not as helpers for housework and rearing children. Female participants in Hanbat LETS are members who should change their fixed ideas of gender role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come an important outpost for reducing or disintegrating gender traits of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They have socialized the value and content of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which pursues to form reciprocal non-capitalist market and reconstruct the community while forming networks with local community moving beyond the division of work in traditional homes. Female participants who practice and expand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are likely to transcend or change the meaning of making social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 same goes for some male participants actively involved in transactions and activities and some children growing bisexually. These participa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can become resources for offering a temporal and spatial venue for disintegrating gender traits in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and the alternative m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d the issue of existing gender-blind studies of currencies and community currency and attempted at gender-based analysis. The study also made various methodological attempts by making both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qualitative approach, such a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t also sought ways for women engaged in feminist movement, community currency movement and alternative movement to come togeth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t could not consider various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s including class and age. As the analysis centered on actively involved participants only, the study could not include the sense of problems of the other particip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