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문화예술교육이 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화예술교육이 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Value changing : Value cards with famous painting
Authors
김리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령
Abstract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에 목적을 두고 그 실현방법을 문화예술에서 찾는 교육으로 현 시대에 적응하는 창조적, 생태적, 인성적 인간을 길러내는 새로운 이념이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명화와 가치를 문화예술로, 프로그램을 교육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실제화하는 ‘명화가 있는 가치 카드’를 개발하였다.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는 가치라는 어려운 문제를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놀이로 쉽게 다가가 개인의 가치를 인식하게 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은 그 효과가 수치화될 가능성이 낮아 그동안 교육정책분야에서 크게 다루어지지 않게 되어 입시 위주의 교육이 우선시 되었다. 하지만 GDP처럼 수치화할 수 있는 것만이 국력이나 국민의 행복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실증적 경험에 의하여 증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치교육이 부재하는 현실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도구인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자기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실증해보고자 한다. 또한 경제적, 신체적 소외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해 주는 변화야말로 문화예술교육의 내재적 가치이므로 명화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학교에서, 일반인들은 자신의 삶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네스트 탠(Earnest L. Tan)의 가치 텍스트 중 수단-목적적 가치 88개와 ‘명화’를 접목하여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를 문화예술의 도구로 사용했다. 특히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추어 각 가치들은 6개 국어(영어, 일어, 몽골어, 태국어, 베트남어, 중국어)로 표기했다. 맥락주의자들에 따르면 “명화의 가치와 의미는 그 자체를 넘어선 무언가를 위해 만들어지고 사용되어야만 한다.”(Tom Anderson·Melody K. Milbreandt, 2007)고 주장함에 따라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과도 일맥상통한다. 가치텍스트와 명화의 접목은 타루투-모스크바학파 유리 로트만(2008)의 기호계에서도 볼 수 있다. 1차언어인 가치와 2차언어인 명화가 문화적 맥락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새로운 텍스트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창조적인 지적 과정의 축약된 모델로 보았다. 즉,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를 통해 찾은 가치는 수용자의 문화 영향 아래서 변형되어 ‘낯선 것’이자 동시에 ‘자신의 것’으로 해석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가치단어와 명화를 연결짓는데 있어서 의미론적 접근보다는 표현기법상 접근을 우선하였다. 이는 사전조사시 의미론적 접근으로 만든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가 명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렵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표현기법상 잘 연결되는 이미지 선택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개발된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를 개인의 가치찾기 프로그램(명화 속에서 나를 찾다)을 통하여 적용해 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창원시민 200명으로 남성44명(22%), 여성 156명(78%)이고 생애주기별로는 청소년기 37명(18.5%), 청년기 30명(15%), 장년기 105명(52.5%), 노년기 28명(14%)이다. 연구문제 1의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를 이용해 개인의 핵심가치 찾기를 할 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들이 “‘가치만 기재된 카드’와 ‘가치와 명화가 함께 기재된 카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연구결과 가치만 기재된 카드보다 명화와 가치가 함께 기재된 카드가 더 효과적인 교육수단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볼 수 있었다.(t=8.834, p<0.00) 연구문제 2의 “개인의 핵심가치 찾기를 할 때 성별, 생애주기별 가치의 선호도를 수단-목적적 가치로 살펴본다.”를 ‘명화 속에서 나를 찾다’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살펴보면 남성의 수단적 가치는 ‘개인건강’, ‘신뢰’와 함께 ‘명예’가 높은 반면 여성의 경우 수단적 가치는 ‘개인건강’, ‘신뢰’, ‘남들에게 사랑받음’이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목적적 가치로는 ‘인간의 존엄성’, ‘능력’인 반면 여성인 경우 목적적 가치는 ‘개인의 성장’, ‘자아존중감’, ‘아름다움’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청소년기의 목적적 가치는 ‘자신감’, ‘능력’이고, 수단적 가치는 ‘신뢰’, ‘솔직함’이며, 청년기의 목적적 가치는 ‘진리/지혜’, ‘능력’’이고, 수단적 가치는 ‘신뢰’, ‘개인의 건강으로 나타났다. 장년기의 목적적 가치는 ‘개인의 성장’, ‘인간의 존엄성’이고, 수단적 가치는 ‘개인건강’, ‘신뢰’ 등이다. 노년기의 목적적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 ‘개인의 성장’이고, 수단적 가치는 ‘개인의 건강’, ‘신뢰’로 나타났다. 여기서 듀이(Dewey)의 “교육은 성장이며, 생활이 계속되는 동안 지속된다.”라는 발언이 노년기의 목적적 가치 ‘개인의 성장’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연구문제 3의 문화예술교육 후의 “최종가치 선택에 있어서 사전-사후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생애주기별(χ2=19.547, df=6, p=.003), 단계별(χ2=22.375, df=6, p=.001)에 통계적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 프로그램을 통한 최종가치 선택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목적적 가치는 사전 14(31.8%)에서 사후 33(75%), 수단적 가치는 사전 30(68.2%)에서 사후 11(25%)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목적적 가치는 사전 64(41.0%)에서 사후 122(78.2%), 수단적 가치는 사전 92(52.0%)에서 사후 34(21.8%)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지만 남녀 각각 사전 사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연구문제 3-2의 “최종가치 선택에 있어서 생애주기별 수단-목적, 단계별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단계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볼 수 있다.(χ2=19.547, df=6, p=.003) 여기에서 특히 생애주기별 전체 사전 1단계(17, 8.5%)가 사후 1단계(0,0%)로 변화됨을 볼 수 있다. 물질이 있어야 행복한 1단계가 문화예술교육 후 의식의 확장으로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연구문제 3-3의 “최종가치 선택에 있어서 단계별 변화 정도를 살펴본다.”에서 단계별 변화의 수를 빈도분석으로 살펴보면 단계가 상승한 인원이 47%, 변화없음이 40.5%, 단계가 하락한 경우는 12.5%로 나타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후 변화 단계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또한 목적적가치의 변화를 빈도분석표로 살펴보면, 수단적 가치에서 목적적 가치로 변화한 것이(45.5%) 변화 없음(47.5%)과 목적적 가치가 수단적 가치로 변화(7%)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통계상에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수단적 가치에서 목적적 가치로 상승하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이다. 이러한 가치 변화는 ‘카이로스의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단적 가치에 매여 살면 도구적인 삶이 됨에 반하여 목적적 가치를 삶의 목적으로 삼으면 좀더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치는 개인적이고 유동적인 것으로 보지만 그것은 결코 쉽게 변화하고 가볍게 여길 수 있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Raths 등의 가치명료화 이론가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개인의 가치가 변화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미하일 바흐찐(Mikhail Bakhtin)이 학문적인 가치도, 미적인 가치도, 정치적-시간적 가치나 관계 그리고 내용적-의미적인 가치나 관계도 모두 ‘자신에게 나’, ‘나에게 타자’, ‘타자에게 나’라고 하는 정동-의지적 요인에 집결되어 있다고 보듯이 문화예술교육은 자기 자신을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 끊임없이 변화시키며 완성해가도록 돕고, 삶의 가치를 새롭게 확인시켜 준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는 능력, 엄청난 지식과 정보 중 올바르고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 창조적으로 문제와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갖춘 사람으로 길러내야 한다. ‘명화가 있는 가치카드’는 문화예술교육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경험과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 확대가 필요함을 아주 작은 실험이었지만 문화예술교육에서 미래의 나비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Culture and art education aims to develop the balancing life of human with the education way of cultural art and a new concept to make people creative, ecological and characteristic in a new age. This study also shows the developed tool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alled ‘value card with famous painting’ as an educational program. It could be a bridge to make students’ life successful at school and normal adult in their life through this program by using famous painting for cultural and social isolated class and even normal students and adults. As many exhibitions concerned with famous paintings are usually held in a big city, to find their personal value for isolated class people who are limited by the time and place is worth of improving their ‘Life quality’ from aesthetic experience with this painting. And this is that the internal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hich helps to change their life of economical or physical isolated class. This uses“Value cards with famous painting” which is made as a new card toolset grafting text cards which has only 88 instrumental-intrinsic value words by Earnest L. Tan with famous paintings as a culture tool. Especially, it shows 6 different languages facing the multi-cultural age of our country.(English, Japanese, Mongolian, thai, vietnamese, chinese). According the context ideologists, there is said that paintings value and meaning is made and used for something more over itself(TomAnderson·Melody K. Milbreandt, 2007). And art education for life is also same with this cards. Value text with famous painting is found from Juri Lotman’s Semiotics(2008)of Taru semioticians,too. He saw that it’s such a small model of creative knowledge process which is getting a new text from cultural context by interacting the first word, Value, and the second word, painting. So, The value from the card with painting is shown as a ‘strange thing’ and ‘one’s own thing’changed under one’s culture at the same time. Expression approach was better to connect between value word and painting than values meaning approach.That’s why most researchers said that people who don’t have professional knowledges couldn’t understand and feel hard to chose the image well. So, final-developed value card with famous painting is adapted in the finding value program( “Find myself in the famous painting” )An object of study are 200 people. They could be said men 44(22%) and women 156(78%) or 37(18.5%) adolescence, 30(15%) Young-Adult, 105(52.5%) Mid-Adult and 28(14%) Senescence. Question 1 is that people may prefer the card with painting better than text only. So A card set(44 cards with only value words) and B card set(44 cards with value and painting) are given to each 100 people separately. Statistically, there is a meaning that value cards with painting works better for them.(t=8.510, p<0.00) Question 2 is that people can find the preference of their own value depending on the sex and life- cycle. Man chose Personal Growth, Truth/Wisdom as an instrumental value and woman chose Personal Growth, Truth/Wisdom and Being loved by others. Man’s instrumental value is Personal Human Dignity and Ability and woman’s instrumental value is Personal Growth, Self respect and Beauty. Adolescence’s intrinsic value is Confidence, Ability and instrumental value is Truth/Wisdom and Personal Health. Young-Adult’s intrinsic value is Truth/Wisdom and Ability. Instrumental value is Confidence and Personal Health. Intrinsic value of Mid-Adult is Personal Growth, Human Dignity and instrumental value is Personal Health and Confidence. Intrinsic values in Senescence period are Human Dignity and Personal Growth and instrumental value is Personal Health and Confidence. Dewey says “ education is the growing and continued with life “ It can be found at ‘Personal Growth’ as an intrinsic values at Senescence period. Question 3 is that After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re will b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o chose the terminal value. Statistically, it shows χ2=19.547 (df=6, p=.003)on the life cycle and χ2=22.375(df=6, p=.001) on the stage. To chose the terminal values after this program, Intrinsic values of man is changed from Pretest, 14(31.8%) to Posttest, 33(75%) and from Pretest, 30(68.2%) to Posttest, 11(25%) in instrumental values . Intrinsic value of woman is changed from Pretest, 64(41.0%) to Posttest, 122(78.2%) and Pretest, 92(52.0%) to Posttest, 34(21.8%) in instrumental values.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 but man and woman shows big difference Pretest- Posttest. Question 3-2 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of the terminal values depending on instrumental-Intrinsic of life cycle and stage. And found the meaning of each stage statistically.(χ2=19.547, df=6, p=.003) Here, it shows that all Life-cycle stage is changed from Pretest-1 stage (17, 8.5%) to Posttest- 1 stage(0,0%), specially. Happiness stage with goods is changed by improving the spirit after get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Question 3-3 shows that difference of every stage of the terminal value chosen.47% of people are increased, 40.5% is non-changable and 12.5% is decreased. So, after culture and art education , there is stage change is going upward. Especially,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 but moving from instrumental to Intrinsic value is the effec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is change can be gotten as ‘Time of Chiros. While people who are tightened on instrumental values can have instrumental life, people who have Intrinsic values as a life goal can be happier. Moreover, Looking at the change of Intrinsic value, change from instrumental to Intrinsic value is 45.5% , non-change is 47.5% and from Intrinsic to instrumental value is 7% after culture and art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e change of the personal value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even though Raths said value is personal and flexible and never easily changeable. Mikhail Bakhtin says that these ‘Me to myself ‘,’Others to me’,’Me to others’ which are Academic Value, Aesthetic value, political period value and meaningful value are all the affects factors. So culture and art education makes people find the new value of life and help to make themselves keep changing as a main of their life. The one can be grown who has a great insight to read the fast changeable world critical think to chose the right information and knowledges, solving the problem skill and creativity to make the creative idea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Though this card is an small experiment, it could be expected to be a ‘butterfly effect’ i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