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왕식-
dc.contributor.author이보배-
dc.creator이보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1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3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priority associated factors has been studied and analysis the difference of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by social demography. For these aims above, research topics were set like followings. First, it is research about relations between social-economic capital and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Second, it is research about relations between social-economic capital including parents' vocation, education, incom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it is research about effects of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u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ir answers to figure out correlations among social-economic capital including parents' vocation, education, income,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gender effect of parents' vocation, education, income, and self identity in adolescent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n total 545 human subjects ranging from male to female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Incheon have been researche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Two-way ANOVA, X²(chi-square test), 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re like following. First, Adolescent self identity depends on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power. After we examined the population statics variable,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by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power but gender and grade did not. Second, Adolescent career attitude maturity also depends on gender,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power. Girls show more independence and decide behaviour than the boys. But grad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dolescent self identity effect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higher self-identity adolescent shown that he or she have more positive mind of future and way and great value for life than lower self-identity adolescent. As a resul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adolesc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mental develop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self-identity. Thus, understanding of variables that can increase career attitude maturity needs to be preceded, and students' self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in providing them with guidance and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in school. A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recognition and maturity of prope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adolescent are warrantable.;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우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의 하위 요소를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성별, 학년, 부모의 학력과 직업, 가구의 월 소득, 그리고 가정의 구성 형태와 같은 배경 변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배경 변인 중 선택된 변인과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따라서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외국어고등학교, 인문계 남녀공학고와 여고, 남녀공학중, 남중과 여중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545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카이제곱검정,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인 청소년의 사회경제학적 배경변인 중 성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의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 외에도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가구의 월 총소득, 가정의 구성형태가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높고 낮음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아정체감이 강한 집단의 진로태도성숙 점수가 자아정체감이 낮은 집단의 진로태도성숙 점수 평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의 높고 낮음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의 차이를 하위 요소별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섯 가지 하위 요소 모두에서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의 평균이 낮은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이 경우에는 결정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 요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진로태도성숙 점수를 비교한 결과, 총 진로태도성숙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그리고 하위 요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다섯 가지 하위 요소 모두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의 진로태도성숙 점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아정체감은 진로태도성숙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단지 진로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진로태도에 대한 성숙을 자연스럽게 이루도록 한다고 본다. 셋째, 자아정체감의 구성요소가 진로태도성숙의 각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래확신성이 결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뒤로 주체성과 목표지향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정체감의 각 구성요소와 함께 그 외의 독립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독립변수로 한꺼번에 투입할 때도 미래확신성이 결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뒤로 목표지향성과 가족구성원이 영향을 미쳤다. 목적성의 경우에는 미래확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뒤로 주체성과 그리고 주도성, 자기수용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 외의 독립변수를 포함했을 때는 미래확신성이 결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뒤로 성과 가족구성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래확신성은 준비성에도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뒤로 주체성과 자기수용성과 친밀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 외의 독립변수를 포함해도 역시 미래확신성이 준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뒤로 성별, 주체성, 학년, 친밀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미래확신성은 독립성에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뒤로 주체성과 친밀성, 주도성 그리고 목표지향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 외의 독립변수를 포함할 경우에도 미래확신성이 독립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뒤로 성별, 가족구성원, 가정생활수준이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특히 미래확신성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과 민주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준비해야 할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기 위하여 사회과 교육에서 실천적이고 참여적인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이 자아정체감을 쌓고 진로태도성숙을 기르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부모의 직업과 가정생활수준 그리고 가족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에서 부모의 학력이 높지 않고, 가정생활수준이 낮으며, 가족의 형태가 다양한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을 고르게 증진시키기 위해 지식 교육과 더불어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교육을 함께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학교 현장에 창의적 체험활동 등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도 사회과 교육과 진로교육이 융합된 수업과 과외 활동 그리고 동아리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본다. 둘째, 자아정체감이 전반적으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앞으로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태도를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진로에만 집중된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을 함께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과 교수학습방법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민주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준비해야 할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고,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라 할 수 있는 자아정체감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능력, 현실과 꿈꾸는 이상 사이에서의 고민 등을 하며 동료 학생들과 함께 협동이나 협조를 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자각할 수 있도록 사회과교육에서 실천적이고 참여적인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연구 문제 및 방법 4 C.선행연구 검토 5 Ⅱ.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 9 A.자아정체감 9 B.진로태도성숙 15 C.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28 Ⅲ.연구설계 33 A.연구모형 33 B.연구 대상 35 C.측정도구 36 D.분석방법 41 Ⅳ.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42 A.연구대상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 수준 45 B.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수준 분석 47 C.자아정체감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수준 분석 57 D.자아정체감의 구성요소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의 수준 분석 60 Ⅴ.결론 및 제언 72 A.진로태도성숙을 위한 자아정체감 증대의 필요성 72 B.한계점 및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1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25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identity in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dc.creator.othernameLee, Bo Bae-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