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초등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itle
초등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comparison of special school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Authors
오혜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윤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특수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서 차이가 있는지 검증·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 경기도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직 중인 교사 161명,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초등특수교사들이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 위험요소,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기술통계치를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사회적 지지 및 소진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기술통계치를 살펴본 결과,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척도의 평균은 2.04~2.95, 표준편차는 .57~.75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의 평균은 1.97~2.55, 표준편차는 .51~.63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평균은 2.11~3.01, 표준편차는 .59~.79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3.08~4.25, 표준편차는 .67~.72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경우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2.43~3.14, 표준편차는 .59~.80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의 평균은 2.05~2.76, 표준편차는 .44~.74로 나타났다.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평균은 1.97~3.14, 표준편차는 .59~.85,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2.99~4.22, 표준편차는 .76~.80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로 집단을 나누어 상관의 패턴을 살펴본 결과, 약간 다른 양상을 보이는 부분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상관 패턴은 두 집단이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부적상관을 나타내거나 혹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척도들은 대부분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특수학교 교사집단과 일반학교 교사집단 모두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하위척도인 정서적 고갈의 상관이 .74, .71로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 요인이 직무스트레스를 부분매개하여 심리적 소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는 초등특수교사의 소진을 낮추는데 중요한 매개효과를 하므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교사의 업무경감, 적절한 도전 기회 제공을 위한 다양한 방안과 행정가 및 동료교사의 지지 체계를 확고히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의 상대적 설명량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는데, 이는 두 직무환경의 질적, 인적 차이 및 이로 인해 제공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초등특수교사 개인의 교수효능감이나 소명의식 등 개인 내적 요인으로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기 위하여 개인적 요인과 외부 요인을 통합한 다차원적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risk factors in the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lay pivotal roles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363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161 from special schools and 202 from special classe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of the SPT (Stress Profile for Teachers) of Wilson (1979), as revised by Kim Hyo-sun (2006).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were measured with the questionnaire of Jayaratne and Chess (1981), as translated by Bu-sung Yoon (2000).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aplan, Cobb, French, Harrison, and Pinneau (1980) and translated by Sung-ho Park (2002) was also used to identify the social support that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 level of burnout was measured using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creat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as translated by Sung-ho Park (2002). Collected data were then used to detect descriptive statistics of job stress,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perception of job stress by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then related to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burnout. Ultimate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in special schools, the mean scores were: job stress 2.04~2.95, psychological burnout 1.97~2.55,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2.11~3.01, and social support 3.08~4.25. In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se scores were: job stress 2.43~3.14, psychological burnout 2.05~2.76,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1.97~3.14, and social support 2.99~4.22. Correlation patterns between factors were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most of the correlations were very similar between them. Social support showed negative o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and burnout. Other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between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of burnout, with scores of .74 in special schools and .71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both had a great influence on burnout by mediating job stress in both special and general schools. In other words,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appear to play important mediating roles in relieving burnout in both type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action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such as reducing tasks and opportunities to challenge and realizing a strong support system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colleagues. No marked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between the two groups . This suggests that intrinsic factors such as teacher efficacy and vocation reduce the qualitative and social differences in job environment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attempts should be made to integrate the intrinsic and extraneous factors that reliev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