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유미-
dc.contributor.author홍성희-
dc.creator홍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01-
dc.description.abstract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mporary people have become more used to diverse multimedia than printed media, more actively utilizing the multimedia. The interne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access information in the most convenient and rapid means. However in the case of education on relic understanding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it is only depending on small photos and images of relics in textbooks.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enforced, emphasizes field study based on the textbook contents, which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evaluation criteria. These days middle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a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cquire information not only based on textbooks but also through creative field study. History is an important subject that actualize the past, an abstract concept, to the contemporary students, through the medium of 'relics'. Students visit museum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al needs or personal interest. However, due to timely and spacial limitations, students are not able to visit museums frequently. Thus, as an alternative, they acquire information on relics through cyber museums or various searching engines on the internet, and utilize the information for their study. According to a survey, students pointed out that it takes a lot of time when searching for diverse relic images or information on a particular topic, and that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lic inform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cyber museums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Existing cyber museums are providing information for children or adults, but there are deficiencies in the perspective of providing relic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actual learning levell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searching relic information in cyber museums, they pointed out inconveniences in deficiency of visual materials, uncategorized described information,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professional terminologies, and lack of relic related guidance, et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relic information of the cyber museums more efficiently in the visual perspective considering the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is to assist students' self-initiated learning by providing them with materials of photographic, explanation, multimedia information meeting the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relic understanding learning is examined and theor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al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contemplated.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a learner can be increased by organizing and sufficiently suggesting relic contents considering the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 and area of interest. Secondly, comprehension on current condition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y were done. Thirdly, the needs and current status of relic education in cyber museums were studied through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ly, relic information contents of cyber museums associated with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proposed based on the improvement scheme drawn from the case study and survey on relic information contents of cyber museums. It is expected that the relic information contents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motivate learners to have more curiosity and interest in the searching process,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self-motivated learning and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while shortening the time spent on data collection.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relic information contents abundant with visual materials will be of help to ordinary people, who previously could not easily approach to relic information classified mainly by the museums' stance. A follow-up research that mutually considers the process of effectiveness verification will be necessary as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suggesting relic inform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relic learning of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In addi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greatly anticipated that relic information contents of cyber museums will be further developed for users with various demands.;오늘날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들은 인쇄매체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에 익숙해지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은 가장 쉽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중등 역사 교육의 경우 교과서에 실린 작은 유물 사진과 이미지에 의존한 평면적인 유물교육을 하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은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한 체험학습을 강조하고 이를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삼고 있다. 현재의 중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정보 습득과 함께 창의체험학습이라는 변화된 교육 환경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교과 과목 중 역사 과목은 추상화된 과거를 ‘유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현재의 학생들에게 구체화 시켜주는 중요한 과목이다. 학생들은 학습 상 필요에 의해또는 개인적 관심으로 박물관을 찾는다. 그러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직접 박물관을 자주 방문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이버박물관이나 인터넷 상의 여러 검색 엔진에서 유물 정보를 얻고 학습에 활용한다. 설문에 따르면 학생들은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유물 이미지나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데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함을 지적하였다.본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사이버 박물관 내의 중등 교과 과정과 연계된 유물정보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사이버박물관은 어린이나성인을 위한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 학습에 많이 활용하게 될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유물정보 제공 면에서 부족한 면이 많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사이버 박물관에서 유물정보를 검색하는 데 있어 시각자료의 부족, 미분류된 긴 분량의 설명글, 전문 용어, 한자어 해석의 어려움, 관련 유물 안내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를 중학생의 인지 특징을 고려하여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중학생의 요구에 맞게 구성된 사진 자료, 설명자료,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에 도움이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유물이해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필요성에 관하여살펴보았고, 중학생의 인지 발달 특징을 피아제의 이론을 통하여 고찰하여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관심 영역을 충분히 고려하여 유물 내용을 구성하고 제시하여야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기존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현황에 대한 사례 연구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이버박물관에서의 중학생 눈높이의 유물정보 콘텐츠의 필요성과 개선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 교과와 연계한 사이버박물관 내 유물정보콘텐츠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물정보 콘텐츠가 학습자가 유물 정보 탐색과정에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고,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자료수집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시각 자료가 풍부한 유물정보 콘텐츠는 기존 박물관 입장의 분류 위주의 유물정보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본 연구가 중등 역사 교과 유물학습과 연계한 유물정보의 콘텐츠 제안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효과 검증 과정이 병행이 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요구를 가진 사용자 를 위한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의 개발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방법 및 내용 1 2. 이론적 배경 3 2.1. 유물이해학습의 이론적 배경 3 2.1.1. 유물 이해 학습의 의의 5 2.1.2. 후퍼 그린힐의 유물이해 방법론 6 2.2. 중학생의 인지발달특징 9 2.2.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9 2.3. 유물이해학습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의한 중학생의 인지발달을 고려한 유물콘텐츠 전달 방법 14 3.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실태 파악과 사례연구 16 3.1. 기존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분석 17 4.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에 관한 연구 24 4.1.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1차 설문조사 25 4.2.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국내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사용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이뮤지엄) 30 4.3.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국외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사용성에 대한 3차 설문조사 (오르세미술관) 39 4.4. 설문 결과를 통한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전달 방향 고찰 46 5. 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사이버 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제안에 관한 연구 48 5.1. 유물학습 현장의 실태와 개선방향 고찰 49 5.2. 후퍼 그린힐의 유물이해 방법론/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기존 사이 버박물관 분석/설문에 의한 유물정보 콘텐츠 개선안 제안 51 5.3. 콘텐츠 계획 제안 53 5.4. 콘텐츠 모형 제안, 설계 61 5.5. 콘텐츠 모형 사용성 평가 69 6. 결론 및 제언 80 부록 82 참고문헌 9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3911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생 눈높이에 맞춘 사이버박물관의 유물정보 콘텐츠 제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ic Information Contents of Cyber Museums Levelled on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Hong, Sung Hee-
dc.format.pageix,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