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한수연-
dc.creator한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35-
dc.description.abstractCurrent trends show that single person households are growing more rapidly than other types of househol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emerge as the most dominant living arrangement in Korea. The report by Statistics Korea show single person homes will rise from 27.1% in 2015 to 31.3% in 2025. They expect this trend will continue unchanged up till 2035 when single person homes will make up 34.3% of the total housholds. These trends attribute to the demographic factors such as low marriage rate, increasing number of late marriages, decrease in birthrate and longer life span. Main target of this research will be focused on households of single people in their 20s-30s, who can support themselves financially. As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continuously, supplies of single person housings is on the rise, but they are yet to accomodate lifestyles and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ain objective of research is to present future trend key words to fulfill their lifestyle and needs of housing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ain trend key words drawn from the research are typified by five characteristics of cluster analysis. To explore single person household's lifestyle and needs of house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re was 144, and the survey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of SPSS WIN 15.0.;통계청이 발표한 장례가구추계 2010-2035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1인 가구는 2015년 27.1%, 2025년 31.3%로 급증했다가 2035년에는 34.3%를 기록, 3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가 될 전망이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교육수준이 향상되었고 그로 인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가, 초혼연령 상승, 출산율 저하, 평균수명의 연장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 등 사회 전반적으로 여러 변화들이 가구 유형의 다양화에 변화를 가져왔다. 가족규모가 소규모화 됨으로써 1인가구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중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지속 될 것이라는 점에서 1인 가구 싱글족, 혼자 사는 노인들 중 골드 싱글 족에 초점을 맞추어 생활실태 및 유형에 따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1인 가구의 증가로 1인가구대상의 주택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는데 20-30대 싱글들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에 충족되는 주택공급은 부족하다. 20-30대 싱글들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여 미래 트렌드를 예상한 주거 공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계획은 첫째, 이론배경으로서 가족구조의 변화와 1인가구의 증가양상을 살펴보고 1인가구의 주거 현황 및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현재 1인가구들이 주로 모여 사는 오피스텔 2곳을 선정하여 조사하고 분양을 마치고 향후 1-2년 내에 준공예정인 1인 가구 대상 주거환경 2곳을 선정하여 기존사례와 준공예정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셋째, 다양한 1인 가구 주요수요자 20-30대 싱글의 주거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도를 조사 분석한다. 넷째, 설문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를 위한 미래 주거환경 트렌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한다. 다양한 1인 가구 주요 수요자 20, 30대 싱글의 만족스러운 주거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그 특성에 맞는 만족스러운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거공간산업발달에 있어서 꼭 필요한 트렌드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트렌드의 진행방향을 이해하여 주거공간 산업에서 직면한 미래 시장 환경의 변화 속에서 미래 소비자의 니즈를 발견해내는 안목과 통찰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기여하고자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과 의의 1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2. 1인가구의 이론적 고찰 3 2.1. 가족구조의 변화와 1인 가구 증가 3 2.1.1. 1인가구의 개념 및 유형 3 2.1.2.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1인 가구 증가양상 4 2.1.3. 1인 가구의 주거현황 및 특성 6 2.2. 1인가구를 위한 기존 주거사례분석 9 2.2.1. 사례선정 기준 9 2.2.2. 기존 국내사례 9 3. 골드싱글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도분석 16 3.1. 골드 싱글(GoldSingle)의 개념 16 3.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3.3. 설문조사 결과 분석 18 3.3.1. 조사 설계 18 3.3.2.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20 3.3.3. 라이프스타일 유형분석 23 3.3.4. 주거선호도 분석 25 3.4. 라이프스타일유형별 주거선호도 요약 55 4. 미래 골드 싱글 주거환경 트렌드 키워드 58 4.1. 스마트 미니멀리즘(Smart Minimalism) 59 4.2. 도심녹지화(Urban Forest.) 61 4.3. 엔터테인먼트화(Entertainment) 63 4.4. 커뮤니티화(Community) 64 5.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6 부록.설문지 70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62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인가구를 위한 미래주거환경의 방향설정에 관한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 30대 골드싱글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도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ingle-Person Household's Future Plan-
dc.creator.othernameHan, Soo Yeon-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