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이명희-
dc.creator이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8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산업화 시대를 지나 21세기를 특히 문화의 시대라고 일컫는 것은 문화가 경제, 산업, 생산의 주 원동력이 되면서 모든 생산물, 서비스의 최종적 가치가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생산 가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척도 역시 그 문화의 잠재력 속에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화의 가치를 담아내어 그릇의 역할을 하는 문화상품 만을 문화산업이 생산해낸 결과물로 정의하는 것은 그 범위를 너무 좁게 보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으나 최근의 국제적인 추세는 문화의 가치가 담긴 문화상품의 의미로 그 개념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문화상품의 개념을 문화적 요소가 담긴 상품으로 보게 되면 사실상 거의 모든 상품이 문화상품이 될 수 있고 따라서 문화상품의 범위가 무한대로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문화상품 개념에 의한 상품 범위는 문화의 영역이 경제적 영역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모든 유형, 무형의 상품들을 포괄하여 폭넓은 장르를 만들게 한다. 또한 정보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사회가 고도로 복잡해짐에 따라 인간의 감각 기관에 호소하듯 우리의 생활 패턴을 급격 하게 변화 시키고 있다. 즉 현대의 소비자들은 많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어 감성이 더욱 다양화, 다원화됨으로 인해 문화상품을 단순히 상품의 겉형태나 색채로 평가 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만들어 내고 구매하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내적 감성의 확장 선에서 오감을 통해 충족 할 수 있는 문화상품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는 현대 사회가 정신적인 면의 교류와 문화 사회적 가치를 융합하여 만들어낸 새로운 문화상품을 중시하는 형태로 변하고 있다는 결과다. 본 논문에서 연구 할 문화상품 대상은 디자인 문화상품을 위주로 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전통적인 요소인 전통 공예, 민속·민예품, 전통 문화재 재현품 등 전통 공예분야 문화상품 분야는 제외시켰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화상품 디자인은 새로운 문화상품의 원천으로 자폐아동의 그림에서 그 모티브를 찾고자 했다. 즉 자폐증 아동들의 그림을 특화하여 문화상품화 시키는 것이다. 자폐아동들에게 다양한 미술교육을 제공해 주고 이를 통해 그 과정에서 자폐아동들 개개인의 사물을 보는 독특한 해석과 창의적인 표현 방법들의 특성을 표현해 낸 각자의 작품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을 가지고 브랜드 디자인 전문가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문화상품으로 접목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방향을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의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그림들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의 한 부분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새로운 문화상품을 만드는 것에 있어 무형적 가치인 감성적 창의 요소를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는 동시에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이 나름대로의 해석과 감각으로 표현하는 것을 대상으로 문화상품으로 만드는 것이 전통 뿐만 아니라 같은 시대에 같은 공간에서 사는 사람들이 공통으로 느끼는 문화의 다원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문화는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 일어나는 행위 사건 사고 사람들의 인식 등 모든 것이 문화라고 생각하여 본 연구는 이런 포괄적 관점에서의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살펴보면, 자폐성향을 지닌 아동들 70여명을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서울시특수교육지원센터 및 사회복지관, 서울디자인지원센터 내에서 한해 30회씩 총 2년 동안 60회의 미술교육 및 디자인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자폐증은 좌뇌의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 ‘우뇌의 힘’이 ‘좌뇌의 그늘’에 가려질 때 일어나게 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정상적인 천재들에게 보여 지는 우뇌의 발달과 어떤 일치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이런 자폐 성향을 가지고 있는 장애 아동에게 체계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우리가 쉽게 증명해 낼 수 없었던 우뇌의 힘을 각자의 미술창작 작업을 통해 나타냄으로써 우리가 미처 표현해 낼 수 없었던 새로운 인식의 순수성과 독창성 그리고 창의성을 그들만의 드로잉 작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자폐 성향이 있는 아동들의 경우 자신에게 관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아이들보다도 더욱 세부적이고 정교하고 사물을 보고 느끼며 표현 한다는 점을 각자의 그림들 속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의 작품들의 특성을 분류 분석을 통해서 디자인 5대 원칙을 세우며 디자인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문화상품으로는 문헌 조사를 통해 문화상품의 종류를 여러 카테고리로 나눠 본 결과 대부분의 온라인 샵에서 악세사리, 문구·사무용품 위주의 상품이 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디자인 제작에 있어서도 악세사리, 문구·사무용품 3가지로 나누어서 전체 디자인 문화상품을 제안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의 1%의 예술적가능성에 그 목적을 두고 일반 아동들과 조금 다른 세상을 바라보는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만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창의적 예술 재능으로부터 각자의 작품 속에 감추어져 있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형상들을 모티브로 하여 새롭게 디자인된 디자인 문화상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자폐 성향을 지닌 아동들의 예술 활동을 촉진시키며, 기존에 없던 문화예술 시스템을 정착 시키고 문화상품으로 개발된 것을 브랜드화 시켜 봄으로써 새로운 사회문화적 경제활동의 기회를 제공 하는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21st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because the definitive value of all products and services are resulted from the cultural productive value since the economy, the industry, and the production are driven by the culture. A country's potential economical growth is also determined by the culture. Hence it would be very narrow-minded to define the product of the cultural industry only as plastic cultural products; the recent international trend acknowledges the cultural product as any artifacts with cultural values. If we define a cultural product as a product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almost every product would become cultural products, and the range of the cultural products would broaden almost unlimited. So the product range, defined by the concept of the cultural product, includes all the tangible and the intangible products resulted from the conjunction of cultural territory and economical territory and create a wide range of genre. As forms of information vary, as the society becomes highly complex, our life pattern changes fast as if it demands human sensory to adopt quick. Present-day consumers are more variety and diverse in their emotion due to the information exposure. So the cultural products are not evaluated by the appearance or the color anymore, they are assessed by the emotional gratification of the consumers. This tells us that the present society considers new cultural products crucial due to their converging character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value. This paper set the research limit to the design cultural product, so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traditional craft - traditional craft, folk arts, and repl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 were excluded. In this paper, the arts of autistic children are adapted for the resource of the new design cultural product. Through various art classes, the autistic children express their unique approach toward the objects in creative ways. A brand design expert helps them to create a new form of cultural product with these arts of autistic children. This paper aims to project the diverse cultural aspect through the unique and creative art of the autistic children. It is important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with the unique creation of autistic children, while the creative intangible elements become an important emotional value. It is also an important cultural diversity to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space and time, because all the perception, events, thoughts, and behavior of present-tense are the culture that I described throughout the paper. The autistic children's art classes were conducted with thirty classes per year for two years with seventy autistic children at the Seoul Special Education Center, social welfare center, and Seoul Design Center. Autism occurs with left side brain damage. The right side of the brain tends to overshadow the left. While intelligence develops normally on the left side of the brai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is responsibl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refore causes the autistic condition. Furthermore, an autistic child's drawings are often more accurate and detailed than those of a child without autism. They are often able to fill a screen with numbers and words, or repeat the creation of an image unknown to anyone but them. Because it is easier for them to process the image of items rather than the image of people, it is easier for them to recognize patterns. Through the research,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utistic children's arts and develop design cultural product under five design principles. Through the references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I could group the cultural products into various categories. Most of the cultural products selling via on-line store are the accessories, desk and office stationary. Therefore I suggested three types of design cultural products - accessories, desk and office stationary.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velop the design cultural product in the lieu of accelerating art activities of autistic children, and creating cultural art system that never existed before. The autistic children has one percent of artistic potential that may be unnoticed to the ordinary eyes, and creating cultural products can stimulate their artistic activities. Also, developing a brand with design cultural products can offer autistic children a new socio-cultural economic opport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4 II. 문화상품 7 A. 문화상품에 관한 이해 7 1. 문화상품의 이론적 고찰 7 2. 문화상품의 정의 7 B. 문화상품의 분류 12 1. 문화상품의 분류 12 2. 문화상품 분류기준 설정 14 가. 하나아트갤러리 샵(HANA ART SHOP) 15 나. 품(POOM) 17 다. 밀리미터 밀리그람(MMMG) 20 3. 분석을 통한 문화상품 분류의 결과 23 C. 사례분석을 통한 문화상품 현황 31 1. 작가의 작품을 문화상품의 소재로 이용한 경우 31 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31 나. 준이치(JUNICHI) 34 다. 육심원 39 III. 자폐증 아동 47 A. 자폐증 아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47 1. 자폐증 아동의 정의 47 2. 자폐증 아동의 그림 특성 51 B. 자폐증 화가의 그림 분석 58 1. 국내 자폐증 화가 사례 58 가. 곽성민 58 나. 이두열 59 다. 김범진 60 2. 국외 자폐증 화가 사례 61 가. 핑리안(Ping Lian) 61 나. 조나단 러만(Jonathan Luhrman) 63 다. 스테판 월트셔(Stephen Wiltshire) 63 IV. 자폐증 아동의 그림을 이용한 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및 제안 65 A. 상품개발 기획 개요 65 B. 브랜드 개발 67 1. 브랜드 개발 67 2. 브랜드 포지셔닝 69 가. 디자인상품 포지셔닝 69 나. 자폐증 아동 이미지 포지셔닝 70 다. 자폐증 아동 키워드 마인드 맵 71 라. 자폐증 아동 키워드 도출 72 마. 자폐증 아동 키워드 그룹핑 72 바. 자폐증 아동 디자인 5대원칙 73 3. 브랜드 네이밍 76 4. 그래픽 요소 77 가. 자폐증 아동 그림 -자연물 77 나. 자폐증 아동 그림 -동물 78 다. 자폐증 아동 그림 -사람 79 라. 자폐증 아동 그림 -인공물, 기타 80 C. 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81 1. 디자인 계획 81 2. 디자인 표현방법 82 3. 모티브 디자인 시안 84 D. 디자인 제작 89 1. 디자인 개발 방향 89 2. 상품 개발 92 V. 결론 103 참고문헌 106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077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그림을 이용한 디자인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the Art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dc.creator.othernameLee, Myung Hyee-
dc.format.pagexi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