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조정희-
dc.creator조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5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자 확산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의 흐름과 발맞추어 기술적으로 네트워크 환경 또한 시공간의 구애를 최소한으로 받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마련되었다. 사회적으로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되고 있으며 교통 혼잡에 따른 비용절감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볼 수 있는 ‘모바일 오피스’에 대한 관심이 날로 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오피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기술적 관점에 한정되어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비약적 발전은 단순히 기술의 확장임이 아니라, 인간에게 보다 유용하고 적합한 방향으로의 끊임없는 탐구와 개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오피스 전자결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연구를 통하여, 사용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요소를 도출해 내는 것이 핵심사항이므로 사용성에 대한 학자별 정의 자료를 분석하여 종합한 뒤 중복된 사항을 삭제하여 최종 사용성 평가 요소를 추출한다. 이러한 사용성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다. 둘째, 모바일오피스의 인터페이스 평가 대상에 대해 조사한다. 인터페이스의 GUI 요소를 분석한 뒤 평가 대상 항목을 선정한다. 셋째, 모바일오피스의 현황 및 사례연구를 한다. 실제로 상용화되고 있는 모바일오피스의 개념, 도입사례, 인터페이스 분석을 실시한다. 넷째, 모바일오피스 사용자 조사를 통해 앞서 선행 연구된 사용성 평가 요인을 인터페이스 조사 대상에 적용시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제안 할 모바일오피스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사용자 조사를 통해 분석한 5가지 모바일오피스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모바일오피스 결재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목적 지향적 디자인을 위해 페르소나를 제작하여 예상 시나리오를 연구함으로서 사용자 지향적 디자인을 연구한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탭 위치에 따른 개선된 모바일오피스 결재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2종류로 최종 프로토타입 디자인한다. 여섯째, 프로토타입 디자인 된 것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자는 앞서 인뎁스 인터뷰(In depth Interview)를 진행한 인터뷰어를 대상으로 조사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성이 개선되었는지를 점검하였고 탭바에 따른 친숙도를 알아본다. 현재 모바일오피스는 초기 도입단계라 사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성 측면에서 다양한 고민과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오피스 인터페이스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과정은 향후 모바일오피스 사용성 평가를 위한 학문적 연구의 기반이 되고 모바일오피스 사용성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As smart phones are being introduced recently, the number of their users is increasing in an exponential way worldwide. Keeping up with the flow of mobile, an infrastructure was created to connect a network that has minimum time and space restraints in its environment from a technology perspective. Socially, population in working ages is in decline, caused by low birth rate and graying population, and provisions for cost reduction caused by traffic congestion should be made without delay. These social factors bring an interest of "mobile office" which enables people to conduct business anywhere and at anytime. Despite increased social interests in mobile office, conducting related research is restricted to technology. So a new technology and rapid development of it should be conducted for not only a simple extension of technology, but also constant research and improvement that are useful and appropriate to human beings.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mprove an electrical approval interface usability of mobile office.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the following methods and steps. Firs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sability is a prerequisite for the research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Since the research aimed to draw evaluation factors of usability, final evaluation factors of usability were drawn after analyzing and summarizing definition data by researcher and deleting overlapped inform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usability, the foundation of research is established. Second, interface evaluation objects of mobile office were investigated. After analyzing GUI factors of interface, evaluation object items were selected. Third, a present status of mobile office and the case studies of it are conducted. Analyzed were a concept of mobile office, introduction cases, and interfaces that are actually being commercialized. Four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by applying evaluation factors of usability, a precedent study previously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mobile office users, to interface survey objects. A user survey should enable a mobile office prototype to be drawn, which aims to suggest. Fifth, 5 mobile office problems and requirements related to them analyzed through user survey were summarized to design an electrical approval interface of mobile office. To devise a goal-oriented design, a persona was created, leading to research on a baseline scenario and a user-oriented design. For a final prototype design, 2 types of enhanced interface prototype of mobile office approval, resulting from a tap posi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 Sixth, usability was evaluated with prototype design. Assessors of usability conducted research on interviewers participating in an in-depth interview previously conducted, which inspected whether or not usability is improved and identified the degree of intimacy of tap bar. Currently, as mobile office is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usability of mobile office. Consideration and efforts should be given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usability.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evaluated usability of mobile office interface and suggested the enhanced design related to it. Results and processes derived from the research will be based on the future groundwork for evaluation of the future mobile office usability and will be used for enhanced mobile office us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1.3. 연구의 체계 6 2. 이론적 배경 7 2.1. 사용성에 대한 이해 7 2.1. 사용성 평가항목 도출 11 2.3. 모바일오피스 UI 구성요소의 이해 13 3. 모바일오피스 분석 18 3.1. 모바일오피스 개념 18 3.2. 모바일오피스 적용 디바이스 20 3.3. 국내 도입 사례 22 3.4. 모바일오피스 종류별 분석 28 4. 사용성 평가 대상 분석 31 4.1. 연구대상 선정 및 연구방법 31 4.2. UI디자인 구성요소별 비교 31 4.2.1. 메뉴구성 31 4.2.2. 네비게이션 37 4.2.3. 레이아웃 41 4.2.4. 아이콘 44 4.2.5. 타이포그래피 44 4.2.6. 컬러 45 5. 사용자 조사 49 5.1. 사용자 조사 목적 및 설계 49 5.2. In depth Interview 실시 50 5.2.1. In depth interview 실시 방법 50 5.2.2. 인터뷰 대상자 선정 51 5.2.3. 인터뷰 내용 선정 52 5.3. In depth Interview 결과 분석 53 5.3.1. 조사 참여자 샘플테스트 분석 53 5.3.2. 인터뷰 분석 54 5.4. 설문조사 실시 및 결과분석 56 5.4.1. 설문조사 목적 및 대상 56 5.4.2. 설문지의 구성 57 5.4.3. 설문조사 결과 분석 57 5.5. 문제점 파악 및 요구사항분석 61 6. 디자인 설계 및 평가 63 6.1. 목표 지향 디자인 적용 방안 63 6.2. 페르소나를 통한 사용자 모델링 64 6.3. 시나리오 작성을 통한 요구사항 도출 66 6.4. 디자인 설계 67 6.4.1. 디자인 컨셉 도출 67 6.4.2. 디자인 제안 범위 67 6.4.3. 디자인 방향 69 6.5. 프로토타입 디자인 사용성 평가 79 6.5.1. 평가 설계 및 수행 79 6.5.2. 결과 및 분석 82 7. 결론 85 참 고 문 헌 87 부록1. Mobile Office 전자결재 사용성 개선 샘플테스트 90 부록2. 모바일오피스 전자결재 사용성 향상을 위한 설문조사 93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364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모바일오피스 전자결재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ing Usability of Mobile Office-
dc.creator.othernameJo, Jung Hee-
dc.format.pagex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