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양은혜-
dc.creator양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역경을 가족의 구조적 결손과 낮은 경제적 수준으로 정의하였다. 학교적응유연성은 1) 역경 상황에도 불구하고 2) 학교 적응에 있어서 저역경 집단의 평균적 적응 혹은 그 이상을 유지하는 결과적 현상으로 정의하였으며, 3) 학교 적응유연성의 세부 영역은 학업 적응유연성, 사회 적응유연성, 일반(정의적) 적응유연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 요구조사 및 관련 활동 수집과 선정과정을 거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책임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구성요인으로 하는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타당화 과정을 통해 본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한 초등학교의 3, 4학년 학생 중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24명의 학생을 12명씩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고 실험집단에게만 2012년 3월 30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10회기 동안 방과 후에 주 1-2회씩 본 연구자와 보조리더 1명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는 별다른 처치를 하지 않았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로 김택호(2004)의 ‘학교생활적응’ 척도 50문항 중에서 본 연구 목적과 관련성이 적은 학교환경만족도 5문항을 뺀 45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9.0에서 공분산분석(ANCOV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활동소감과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는 학교적응유연성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사회 적응유연성 영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학생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가정환경역경을 가진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유연성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여 학교 기반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의 대부분을 이뤘던 사회적·정서적 내용뿐 아니라 학업 관련 내용도 포함하여 보다 종합적인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책임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적응유연성의 주요한 보호요인임을 간접적으로 재확인하였다. 넷째,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이론에 따라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초등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연구대상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들 중에서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 24명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인원을 확보하고, 이미 개발된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저학년이나 고학년을 대상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10회기로 구성된 단기간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며, 추후검사를 하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추후검사 실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개인·가정·지역사회 보호요인 중 개인 및 지역사회와 관련된 보호요인만을 포함한 프로그램이므로, 가정의 보호요인도 프로그램 구성요인으로써 포함하여 보다 균형 잡힌 적응유연성 향상 프로그램으로 확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역경을 가진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학교생활척도와 단순한 관찰만을 사용했으나, 후속연구에서는 행동측청, 학업성취도 평가 등 보다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심화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resilience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confirm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family adversity. In this study, family adversity was defined as structural defects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School resilience refers to: 1. Despite having adversity, 2. Resulting in average or better school resilience than students with minimum adversities and 3. School resilience can be divided into 3 areas; academic 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general(emotional) resili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 the goal of the program and developed a preliminary program which consisted of self-efficacy, social relationship, responsi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known as main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resilience through the process of research on students' needs, collection and selection of related activities. The program was confirmed after preliminary program and program validation proces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carried out with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rade 3 and 4 with family adversity who attend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se 24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chool resilience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arried out by one main leader, the writer of this study, and a sub leader during 10 sessions for 60 minutes twice a week after school from March 30, 2012 to April 30, 2012. For the control group, no treatment was given. 'Th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by Taek-Ho Kim (2004) was used as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ANCOVA from SPSS 19.0 program. Experience reports from students and counselors' observation were analyzed along with statistical result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s on school 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social resilience but not in that of academic and general resilience area.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and counselors' observation reports, it turned out that this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promoting school resilience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chool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family advers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has made suggestions for school-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by developing a school resilience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proving its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family adversity.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a comprehensive school resilience promotion program including academically supportive contents, as well as socially and emotionally supportive contents which occupy most parts of the existing school resilience promotion programs. Thirdly, this study indirectly reconfirmed that self-efficacy, social relationship, responsi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make up this program, are main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resilience by prov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Fourthly, this study put an effort to develop a counse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ory of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ffect of the school resilience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nti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pulation with family adversity because the effect was verified only in a group of 24 students with family adversity from only two grades, 3 and 4 from a certain school.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experiments with more students in a diverse area and within a wider range of grades. Secondly, because the length of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brief and a follow-up test was not carried out, plans for a longer and more systematic program with a follow-up test are needed for the follow-up studies. Thirdly, the program of this study only included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 and community protective factors. Therefore, adding family protective factors as a constituent of the school resilience program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school resilience promotion into a more balanced and comprehensive one. Lastly, this study used limited methods to estimate school resilience improvements. For the follow-up studies, diverse methods such as behavioral measur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can be used as well as th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and simple observation used in this study, which would enable us to conduct an advanced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용어의 정의 5 Ⅱ.이론적 배경 6 A.적응유연성 6 B.가정환경 역경 11 Ⅲ.연구방법 21 A.연구대상 21 B.연구절차 23 C.실험설계 24 D.측정도구 25 Ⅳ.프로그램 개발 27 A.프로그램 개발 이론 27 B.프로그램 개발 과정 27 C.프로그램 개발 28 Ⅴ.연구 결과 49 A.객관적 효과 평가 49 B.주관적 효과 평가 60 Ⅵ.논의 및 결론 63 A.요약 및 결론 63 B.논의 및 제한점 67 참고문헌 72 부록 79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4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가정환경 역경에 대한 학교적응유연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생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a School Resilience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Family Adversity :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Yang, Eun Hye-
dc.format.pagex,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