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숙-
dc.contributor.author김보람-
dc.creator김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의 직무환경,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일반적 수준을 살펴보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에 있는 초등학교 9개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78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들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F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초등교사의 직무환경이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고, 유의한 하위변인들에 대해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악한 직무환경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직무환경이 열악할수록 심리적 소진이 증대되고, 직무환경이 긍정적일수록 직무열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전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회피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심리적 소진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도전적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소진은 낮아졌고 회피적 대처방식이 높아지면 심리적 소진은 높아졌다. 또한 도전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도전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직무 열의도 높아졌다. 셋째, 도전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유의하게 조절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과 함께 긍정적인 태도인 직무열의를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심리적 소진이 부정적 개념이라면 긍정적인 태도인 직무열의를 함께 다뤄 직무 환경이 이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동시에 살펴보았다. 또한 모든 직장인에게 적용해볼만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변인으로 두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도전적 대처 방식이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냄을 밝혀 도전적 대처방식의 유용성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도전적 대처방식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더해 초등 여교사와 남교사의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른 점을 밝혀 여교사의 직무 환경 개선 및 여교사가 남교사와 다른 정서적 특성에 대한 심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eacher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identify whether teachers' stress management plays a moderating role that affects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factors on teacher burnout and job engagement such a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teachers’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0 teachers of 9 elementary schools teachers who work in Incheon. They were surveyed in terms of work environment, burnout, job engagement and stress management. The final results were based on 178 completed copies of the survey.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each variable lead to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business-related characteristics, F tests were used. To find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teachers' job environment on burnout and job engagement,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urther, to determine if stress management played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s between job environment factors, burnout and job engage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work environments effected burnout and job engagement. Teachers in negative work environments suffered from higher burnout rates, whereas those in positive work environments resulted in higher job engagement rates. Second, teachers with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and those with avers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differed in burnout rates. Those that were able to effectively manage stressful situations had lower burnout rates. Also those with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had higher levels of job engagement. Third, teachers with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burnou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work, or job engagement, as well as teacher burnout. It deals with burnout, nega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job engagement and posi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work, or job engagement, as well as teacher burnout. It deals with burnout, nega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job engagement and posi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It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to other fields as well.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teacher burnout. It gives u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usefulness of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university level education programs or teachers' seminars in this area. Furthermore, this study allows us think about the work environment rate of female teacher in comparison to male teachers. It helps us understand that we have more to learn about creating a positive work environment for female teachers. It will assist school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design better programs to reduce female teachers' burn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II. 이론적 배경 4 A. 심리적 소진 4 1. 심리적 소진(burnout)의 개념 및 특성 4 2.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5 B. 직무환경 5 1. 직무환경의 개념 및 특성 5 2. 초등교사의 직무환경 6 C. 직무열의 8 1. 직무열의의 개념 및 특성 8 2. 직무열의의 원인 9 D. 스트레스 대처 방식 10 1. 스트레스의 개념 및 특징 10 2. 스트레스 대처방식 11 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2 III. 연구방법 14 A. 연구참여자 14 B. 측정도구 14 C. 분석방법 19 IV. 연구결과 20 A. 주요변인의 기술통계치 20 B. 직무환경,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교사 성차 검증 22 C. 주요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23 D.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의 중다회귀 분석 결과 28 E.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31 F. 그 외 변인별 분석 결과 36 V. 결론 및 논의 41 A. 연구결과의 결론 및 논의 41 B.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 · 실제를 위한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 질문지 52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0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stress management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with job engagement and burnout respectively-
dc.creator.othernameKim, Bo Ram-
dc.format.pagev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