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안정주-
dc.creator안정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30-
dc.description.abstractArt education in these days also recognizes importance of appreciation activity getting out of the overvaluation on the creation activity. There is meaning of art education in cultivation of the whole personality of a human who can enjoy the fine art in the life by raising aesthetic insight and emotion through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art educ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school site, specially elementary school is not properly performed. Recognition and effort of the teacher who actually operates lesson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are firstly required to overcome this problem. Especially, for the modern art that a leaner can feel somewhat difficult with suggestions in various methods, the role of the teacher is the most important so that the appreciation education gets out from superficial and one-shot appreciation since the leaner thinks the appreciation itself difficult or embarrassed. Thu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orientation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where the leadership of a teacher is exhibited and is performed with the targets, procedures and methods as follows suitab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appreciation lesson of modern art bed by a teach on the learning motive and the school achievement degree.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sson led by a teacher, teaching methods to effectively proceed the lesson led by a teacher and the meaning of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as theolog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process and its contents system applied to the object of study, and appreciation sections of the text book that students as object of this study used. This study also designed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on them. The o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28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for 58 total persons of 2 classes of the sixth grade of the B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Ilsan-gu, Gyeonggi-do, and the lesson was performed over 4 hours for 2 groups. Students appreciated works of 5 modern art artists selected from the text book in the 1st and 2nd hour. Students were divided into 5 teams on 5 artists learned in the 1st and 2nd hour. Every team appreciated art works in the 3rd hour. This study integrated and arranged learning contents in the 4th hour, and performed a writing evaluation. The study performed a prior and post evaluation by using evaluation papers to measure the change of learning motive and lesson achievement level of every group.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the SPSS WIN 18.0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whether or no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s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led by the teacher with the control group subject to the general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works by team derived through practical training ac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appeared that the evaluation of learning motive regarding search, curiosity, relationship, self-confidence, content and continuity of motive of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led by the teacher showed higher improvement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t was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led by the teacher showed higher improvement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aper evaluation. Third, special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in artistic expression. Conclus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appreciation lesson led by the teach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motive and the school achievement degree of students in the six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ositive direction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appreciation lesson of the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appreciation lesson of the modern art, and has meaning as related data. In addition, this study has meaning in the verification of the lesson led by the teacher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rt appreciation instruction method of art appreciation led by the teacher on the learning motive and the school achievement degree. A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education is gradually emphasized, the supplementation in the systematic level will be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o that appreciation education will be activated but the recognition and effort of the teacher for appreciation education is needed above all. Appreciation education must be performed so that students are interested in art appreciation through the lesson led by the teacher where positivity of the teacher is exerted, not lesson led by the teacher's authority and become a cultural person who can enjoy the art in the life. In addition, the various studies for the appreciation lesson useable in the site of school must be continuously developed.;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창작활동에 편중되어 있던 것에서 벗어나 감상활동의 중요성 또한 인식하고 있다. 다양한 미적 체험을 통해 미적 안목과 정서를 길러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양성하는데 감상교육의 의의가 있으며, 감상교육은 미술교육의 중요한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감상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교사의 감상교육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되어 학습자가 다소 난해하다고 느낄 수 있는 현대미술의 경우, 학습자가 감상 자체를 어려워하거나 당혹감을 느껴 피상적이고 일회적인 감상에 그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교사의 주도성이 발휘되는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통해 감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다음과 같은 목적 및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 주도의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교사 주도 수업의 개념과 특징, 교사 주도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교수방안과 현대미술 감상교육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대상에게 적용된 교육과정과 그 내용체계, 연구대상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감상단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고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일산구에 위치한 B초등학교의 6학년 2학급 총 58명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은 두 집단 모두 4차시에 걸쳐 이루어 졌다. 1~2차시에는 교과서에서 선별한 현대미술 작가 5인을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작품을 감상하였고, 3차시에는 1~2차시에 학습한 작가 5인에 따라 5조를 나누어 조별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4차시에는 학습한 내용을 종합, 정리하고 지필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변화의 측정을 위해서 평가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를 통해 교사 주도의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실기활동을 통해 도출된 조별작품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주도의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지속에 관한 학습동기평가에 있어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증진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주도의 현대미술 감상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지필평가에 있어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증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기평가에 있어서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이에 표현 능력상 격차는 없었으나 통제집단에서 수업내용과 다소 연관성이 없는 작품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주도의 감상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감상교육, 특히 현대미술 감상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하여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자료로써 의의를 갖는다. 또한 교사 주도의 미술 감상 지도방안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사 주도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만큼 초등학교에서의 감상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감상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제도차원에서의 보강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감상교육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의 권위를 앞세운 교사 주도 수업이 아닌, 교사의 적극성이 발휘되는 교사 주도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미술 감상에 흥미를 가지고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인이 될 수 있도록 감상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감상수업 연구가 지속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교사 주도형 수업 4 1. 개념 및 특징 4 2. 효과적 교수 방안 6 B. 현대미술 감상교육의 의의 8 C. 초등학교 6학년 감상교육 10 1.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 10 2. 교과서 분석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및 절차 15 1. 연구대상 15 2. 연구절차 18 B. 연구도구 19 1. 수업도구 19 2. 측정도구 36 C. 자료처리 3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9 A. 연구결과 39 B. 논의 57 Ⅴ. 결론 59 참고문헌 61 부록 62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88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교사 주도의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Appreciation Lesson of Modern Art Led by a Teach on the Learning Motive and the School Achievement Degree of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An, Jeong Ju-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